의대정원문제에 대한 의사와 정부의 대치가 길어지고 있습니다.
언제부터인가 우리사회에서 타협은 약한 사람이나 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어떤 문제 든지 양측이 극한으로 대치하여 결론없이 모든 사람들에게 피해가 커집니다.
의료서비스의 수혜자인 환자의 목소리는 들리지도 않습니다.
Medical professors demand vice health minister be excluded from media responses
의대교수들, 보사부차관의 미디어반응에서 배제요구
(Yonhap)
Posted : 2024-03-30 14:38 Updated : 2024-03-30 16:48
Korea Times
An association of medical professors urged the government Saturday to exclude Second Vice Health Minister Park Min-soo from making media responses to facilitate talks in the upcoming negotiations for medical reform.
의과대학 교수회는 토요일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다가오는 의료개혁 협상에서 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언론의 반응을 배제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The association, behind a campaign encouraging medical professors' resignations, made the request a day after Park firmly rejected the medical community's call for modifying the government's plan to markedly raise the medical school enrollment quota.
의대 교수들의 사퇴를 촉구하는 운동의 배경이 된 학회는 박차관이 의대 입학 정원을 대폭 늘리겠다는 정부의 계획을 수정해야 한다는 의료계의 요구를 단호히 거부한 지 하루 만에 이 같은 요청을 했다.
During a press briefing Friday, the vice health minister said the government will not repeat "the unfortunate history of succumbing to a specific job group" and vowed to complete the medical reform in accordance with the rule of law.
보건부 차관은 금요일 언론 브리핑에서 정부는 "특정 직군에 굴복한 불행한 역사를 반복하지 않을 것"이라며 "의료개혁을 완수하겠다"고 다짐했다.
"If Park, who unilaterally delivers the government's opinion, steps back from media responses, I think it could facilitate dialogue," Bang Jae-seung, head of the emergency response committee for the council of medical school professors, told a press conferenc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방재승 의과대학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서울대병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 의견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박 장관이 언론 대응에서 물러난다면 대화를 촉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Park previously came under fire for pronouncing the Korean word for doctors as a derogative term during a press briefing, though he claimed it was a slip of the tongue.
박차관은 이전에 언론 브리핑에서 의사를 뜻하는 한국어 단어를 경멸적인 용어로 발음하여 비난을 받았지만, 그것은 말실수라고 주장했다.
The association also recommended medical professors curtail work hours by focusing on essential medical services amid the protracted walkout by trainee doctors at major general hospitals.
학회는 또 전공의들의 파업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전공의들에게 필수 의료서비스에 집중해 근무시간을 줄일 것을 권고했다.
"Although we have been treating patients without constraint of time and reducing their numbers, it seems that we have reached physical limits. We will adjust our work hours," Bang said.
방 위원장은 "시간의 제약 없이 환자를 치료하고 환자 수를 줄여왔지만 물리적 한계에 다다른 것 같다며 근무시간을 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More than 90 percent of the country's 13,000 trainee doctors have been on strike in the form of mass resignations since Feb. 20 to protest the government's decision to increase the medical school enrollment quota by 2,000 seats from the current 3,058 starting next year.
내년부터 의대 입학정원을 현재의 3,058명에서 2,000명 늘리기로 한 정부의 결정에 항의하기 위해 국내 수련의 1만 3,000여 명 중 90% 이상이 지난 2월 20일부터 대규모 사표 형태로 파업을 벌이고 있다.
Medical service disruptions are expected to worsen further as the professors, who serve as senior doctors at major hospitals, vowed to reduce their weekly work hours to 52 by adjusting surgeries and other medical treatments and to "minimize" medical services for outpatients. (Yonhap)
주요 병원에서 선임의사 역할을 하고 있는 교수들이 수술 등 진료를 조정해 주당 근무시간을 52시간으로 줄이고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최소화'하겠다고 공언하면서 의료서비스 차질은 더욱 심해질 전망이다. (연합)
#medicalprofessors의과대학교수 #vicehealthminister보건부차관 #mediaresponses언론대응 #negotiations협상 #medicalreform의료개혁 #emergencyresponsecommittee비상대책위원회 #essentialmedicalservices 필수의료서비스 #traineedoctors수련의 #massresignations대규모사표#outpatient외래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