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금 산조(伽倻琴散調)
우리나라 민속음악의 하나.
산조의 기본장단은 진양조, 종모리, 자진모리이고, 연주하는 사람과 연주악기에 따라 그
이외의 장단은 유동성있게 짜여짐.
가야금 산조에서는 여러 유파에 따라 중모리 다음에 중중모리, 굿거리를 삽입하기도 하고
자진모리 뒤에 휘모리, 단모리 등과 같은 빠른 장단을 삽입하기도 함.
그러나 거문고, 대금, 피리, 해금 등의 산조에 있어서는 휘모리 이하의 빠른 속도의 곡은
연주하지 않음.
갈라콘서트(GALA concert)
갈라란 흔히 아리아와 중창등 약식으로 꾸며진 오페라에 붙는 말. 하지만 격식을 꼬박지키
지 않는 축제성(祝祭性) 기획공연을 말함.
그래미상(Grammy Award)
전미국 레코드 예술과학아카데미(약칭 NARAS)가 주최하는 1년간의 우수한 레코드와 앨범
이 주어지는 상.
광상곡(rhapsody)
원래는 유명한 노래의 멜로디를 연결하여 만들어진 가곡을 말하나, 오늘날에는 일정한 형시
이 없고 환성적이고 자유스러운 악장으로 발전시킨 화려한 악곡을 말함.
리스트"헝가리 광시곡"이 유명
관현악(orchestra music)
관악기, 현악기 타악기의 대합주 음악.이를 연주하는 단체 중 대규모적이고 본질적인 것을
교향악단, 필하모닉 관현악단이라고 부른다.
골든디스크(golden disk)
100만장 이상 팔린 레코드를 가리킴
교향곡(symphony)
관현악을 위해 작곡된 가장 대규모의 기악곡(器樂曲)으로, 보통 4악장으로 구성됨.
관현악기는 현악기군(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 목관악기군(플루트,오보에, 클라
리넷,파곳), 금관악기군(호른, 트럼펫, 트롬본), 타악기(팀파니) 등으로 크게 나뉘고, 그편성
은 현대에는 최소75명 가량 필요하고 대규모적인 것은 각 파트의 인원수도 많고 각군의 악
기 종류도 다양함.
※세계3대 교향곡: 베토벤의 "운명", 슈베르트의 "미완성교향곡",칭;코프스티의 "비창"
교향시(symphony)
시적인 내용이나 회화적인 내용의 관념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관현악곡.
국악의 5음계
중국의 음악은 궁, 상, 각, 변치. 치. 우. 변궁의 7음계로 이루어지나 우리나라의 음악은 궁,
상, 각, 치, 우의 5음 음계와 3음계로 이루진 것 많음. 국악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선법은
평조(平調)과 계면조(界面調) 임.
국악(國樂)
- 정악(正樂)
전통음악을 크게 분류하여 그 중한 한 갈래를 가르키는 말로 아악, 과거 궁중과 상류층에
서 연주되던 음악의 총칭. 일명 아악. 현재 남아있는 아악은 문묘제례악 (文廟祭禮樂)하나
뿐임.
-민속악(民俗樂)
조선 순조 이후에 발생하여 발달된 서민적이며 한국적인 토속음악을 말함.현재 연주되고
있는 판소리, 시나위,무악, 농악, 민요, 잡가 등이 속함.
내드름
판소리, 산조, 농악 등에서 한 악절의 시작선율.
뉴에이지 음악(new age music)
고전음악이나 포크뮤직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음악장르를 포괄하는 연주음악. 청각적으러 부
답이 없고 청소년정서에 해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무공해 음악이라고 함.
노동요(勞動謠)
논이나 밭에서 농사일을 하면서 부르던 노래의 총칭.
농현(弄絃)
거문고와 같은 현악기의 왼손기법 중의 하나로 일종의 장식법.
다스름
본 곡의 연주에 앞서 호흡을 고르기 위해 미리 연주하는 짧은 악곡.
일명 조음(調音).
당악(唐樂)
당나라의 음악이라는 뜻.
아악이 중국 고대의 궁중음악이라면 당악은 민속음악으로서 현재 전해지는 것은 <보허자(步
虛子)>와 <낙양춘(洛陽春)> 두 곡뿐임.
-보허자 : 일명 장춘불로지곡(長春不老之曲)이라 불리우는 이 곡은 조선시대 궁중의식과
정재반주에 사용하던 당피리가 편성된 관악 협주곡
-낙양춘 : 고려시대 송나라에서 들여와 조선시대 궁중의식에 사용하던 악곡의 하나로 당피
리 중심의 관악 합주곡
담시곡(譚詩曲)
발라드(ballade). 자유로운 피아노를 위해 작곡된 소극에 붙여진 이름.
더늠
판소리의 유파에 따라 계승되어오는 특징적인 대목이나 음악적 스타일.
디베르티멘토(divertimento)
희유곡(嬉遊曲). 18tprl 중엽에 나타난 일조의 기악모음곡으로 형식은 보통 모음곡보다 자유
로우며 4개 내지 10개의 비교적 짧은 악장으로 이루어 짐.
대풍류
관악기가 중심이 되는 삼현육각편성으로 연주하는 영산회상. 일명 삼현풍류.
이 안에는 상영산, 세령산, 삼현도드리, 염불, 타령 등의 악곡이 포함됨.
대취타(大吹打)
태평소, 나발, 나각같은 취악기와 징, 용고, 자바라, 장고 같은 타악기 만으로 연주하는 옛
궁 악곡의 하나.
독공(獨功)
판소리 가객들이 득음(得音)하기 위해 토굴 또는 폭포 앞에서 하는 발성훈련.
론도(rondo)
중세의 성악곡 형식에서 유래하여 17C-18C에 크게 유행한 기악형식. 되풀이해서 나오는
주제와 그 되풀이 사이에 별도의 악상이 끼어드는 것임.
레퀴엠(requiem)
진혼곡. 카톨릭 교회의 "사자(死者)를 위한 미사곡"을 뜻함.
마드리갈(madrigal)
14-16세기경에 성행하던 이탈리아의 성악곡으로서 목가적인 내용을 갖는 음악임.
MOR(middle of road)
가벼운 기분으로 들을 수 있는 음악 "easy listening"과 같은 뜻임.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
문묘제례에서 연주되는 의식음악
블랙뮤직(balck music)
미국 흑인 음악의 노래와 연주의 한 양식으로 대부분 구슬프로 감상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
음.
바로크음악(baroque music)
유럽을 중심으로 1600년대에서 1970년에 이르는 약 150년간의 음악. 성악과 기악의 어법
이 뚜렷이 분리되어 소나타,모음곡,협주곡 등 새로운 장르가 나왔으며 점차 화성음악쪽으로
가고 있음. 이탈리아의 비발디, 프랑스의 쿠프랭, 영국의 퍼셀 등이 대표적인 작곡가로서 바
흐와 헨델에 의해 바로크 음악의 총결산이 이루어졌음.
발림
판소리 연주에서 창자가 소리의 극적인 전개를 돕기 위해 하는 못짓.
일명 너름새, 사체임.
범패(梵唄)
석가여래의 공덕을 찬양하며 절에서 재를 올릴 때 부르는 노래.
보사노바(bossa nova)
삼바(samba)에 모던재즈의 감각이 가미되어 발달한 브라질의 새로운 음악.
블루스(blues)
노예해방 후에 미국 남부에서 발생한 흑인 민요의 일종. 여자에게 버림받은 쓸쓸한 마음을
노래하는 내용이 많다.
비나리
걸립패의 상쇠가 마당굿을 마친 후 고사상 앞에 서서 부르는 고사소리.
산조(散調)
국악기 독주음악의 하나.
남도 소리의 시나위가 락을 장단에 넣에 연주하는 것.
삼바(samba)
브라질의 음악, 리오의 빈민가에서 생겨 1940년대부터 카니발의 공식음악이 되어 발전하였
음.
삼현육각(三絃六角)
악기 편성법의 하나로 일명 육잡이.
주로 무용반주에 쓰이는데 향피리 2, 젓대 1, 해금1, 장고 1, 북 1의 6악기로 편성됨.
살사(salsa)
뉴욕의 푸에르토리코入 지구에서 생겨난 새로운 라팀음악, 쿠바음악을 바탕으로 하며 뉴욕
한 가운데에서 나온 것이 특징.
3대악성(三代樂聖)
조선왕조세종때 궁중음악인 아악의 기초를 확립한 박연. 고구려때 칠현금에 능했던 왕산악.
12월을 상징하여 가야금을 만든 우륵 등 세사람을 지칭.
소울 뮤직(soal muaic)
1960년대를 대표하는 음악. 리듬&블루스를 바탕으로 가스펠의 영햐을 받은 흑인 음악.
스트라디바리우스(Stradivarius)
이탈리아의 스트라디바리(Antonio Stradivari:1644∼1737)와 그의 아들 프란체스코가 만든
바이올린과 그밖의 현악기 임. 재료, 이니셜, 보관상태, 음질 등에 따라 10억-30억에 이르
는 고가품임.
스텀프(stomp)
영국의 언더그라운드 뮤지컬로 "스텀프"는 "발을 세게 구르다"라는 뜻. 무대위에서 생활주변
의 물건들을 악기로 사용, 폭발적인 리듬을 펼쳐 보이는 새로운 공연단체이자 공연형식임.
서곡(序曲)
오페라가 시작되기 잔에 연주되는 관현악곡.
세레나데(serenade)
소야곡. 저녁에 연인의 창 밑에서 노래하거나 연주하는 음악을 가르킴.
슈베르트의 "세레나데"가 유명함.
소나타(sonata)
16세기 중엽의 바로크 초기 이후에 유행하던 곡. 원칙적으로 표제가 없는 절대음악적이 닉
악을 위한 독주곡 또는 실내악곡으로 2악장 이상의 복악장(複樂章)으로 이루어져 있음.
수난곡(passion)
그리스도와 그 신자들이 고난을 당한 이야기를 극적인 음악으로 나타내는 큰 규모의 성악
곡.
수제천(壽齊天)
관악합주곡의 하나. 일명 정읍(井邑).
대단히 완만한 한배로 연주되는 유장한 곡풍과 독특한 짜임새로 인해 조선 후기 궁중음악
양식의 한 갈래를 대표하는 곡임.
12음 음악(十二音音樂)
12개의 반음으로 하나의 음형을 만들어 곡 전체를 이 음형의 변주로서 작곡하는 수범을
12음 기법임.
실내악(chamber music)
2명에서 10명이내의 소규모 연주 그룹에 의하여 연주되는 소나타.
시나위
굿에 뿌리를 둔 즉흥적인 기악합주음악.
아니리
판소리에서 한 대목의 소리와 다음 대목의 소리사이에 가락을 붙이지 않고 말하듯이 사설을
엮어가는 것.
아리아(aria)
오페라 중 주인공에 의해 불려지는 서정적이고 아름다운 독창곡임.
어쿠스틱(acoustic)
음향적이란 뜻. 그러나 록이나 팝의 용어로서는 엠프를 사용하지 않고 생음악으로 들려주는
악기나 연주를 가리킴.
오라트리오(oratorio)
기도장에서 행하여지는 종교적 악극을 말하며, 성담곡 또는 성극이라고 함.
오레파타(poeretta)
19세기 후반에 발달한 대중적인 음악희극으로 희가극(喜歌劇),경가극(輕歌劇)이라고도 함.가
벼운 희극속에 통속적인 노래와 왈츠, 펄카,캉캉 등의 춤을 넣은 오락성이 풍부한 음악극임.
이무지치(I Musici)
세계최정상의 실내악 그룹. "이무지치"는 이탈리아의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 출신의 연주자
12명이 52년 창단한 단체를 이탈리어로 "음악가들"이란 뜻.
인트로(intro)
원래는 음악의 도입부인 "전부"를 의미하는 용어.
인상주의(印象主義)
1890년대부터 1910년대에 걸쳐서 일어난 음악운동의 하나로 음악에서 주로 독일의 낭만주
의에 대한 반동으로 나타나 기능화성(機能和聲)에 의존 하지 않은 작곡기법과 형식이 시도
되었음. 프랑스의 드뷔시, 라벨이 대표적임.
언플러그 음악(unplugged music)
전자 기타와 전자 오르간 등 전기의 힘을 빌리는 신시사이저 대신 통기타 와 피아노를 사용
해 연주하는 음악
여민락(與民樂)
조선시대 관현합주곡의 하나로 일명 승평만세지곡(昇平萬歲之曲).
모두 7장으로 구성되며 연주시간이 1시간 20여분이 소요되는 대곡임.
이 여민락은 세종이 "백성과 더불어 줄긴다"는 뜻에서 지은 이름.
편성악기는 향피리, 대금, 해금, 거문고, 가양금, 당적, 아쟁, 장구, 좌고.
절대음악(absolute music)·표제음악(pro-gram music)
절대음악은 음악회의 문화학적·회화적·철학적 내용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순수한 음의
논리적 조합에 의해서 자기 완결적인 체계를 형성
하는 음악임. 바흐나, 빈고전파의 기악이 대표적예임.
표제음악은 설명적인 표제에 의해서 음악 외의 의미내용을 암시하거나 묘사하는 음악을 가
리킴.비발디의 "사계"와 베토벤의 "전원교향곡"에서 그예를 볼수 있음.
정간보(井間譜)
전통적인 기보법의 하나.
바둑판처럼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칸(間)을 지르고 칸의 수로는 음의 길고 짧음을, 칸 안
의 음이름으로는 음의 높고 낮음을 나타냄.
정격연주(政格演奏)
작곡당신의 여러음악적 논리와 어법을 그대로 재현해 내는 연주방식. 당시의 악기, 당시의
곡해석방식, 당시 악기편성 등 할 수 있는 한 모든 것들을 그대로 재현해 내는데 최고의
가치를 둠.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와 영녕전에의 제례의식에서 쓰이는 음악.
카논(canon)
어떤 성부의 멜로디를 다른 성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모방하면서 뒤쫓아 가는 대위법적
인 악곡임.
카덴차(cadenza)
연주자의 기교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화려하고 자유스런 무반주 부분.
카스트라토(castrato)
여성이 무대에 설 수 없었던 18세기 바로크시대의 오페라에서 여성의 음역을 노래한 남성
가수.
크로스오버(crossover)
"퓨전"이라고도 하며 재즈와 록, 소올, 민속 음악등이 결부된 음악을 지칭.
칸탄타(cantata)
교성곡(敎聲曲). 합창, 중창, 독창으로 구성된 대규모의 성악곡(聲樂曲)을 말함.
칸초네(canzone)
원래는 14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 이탈리아에서 유행한 세속적인 시(詩)에곡을 붙인 가곡
을 가리킨 말.
쾨헬번호
루드비히 폰 쾨헬에 의해 만들어진 모차르트의 전 작품의 연대순 리스트에 붙여진 번호. 흔
히 「K.V」혹은 「K」로 줄여서 쓴다
테크노 음악
기타. 드럼과 같은 악기 대신 컴퓨터기술을 이용한 신시사이저, 시퀀서, 리듬머신 등과 같은
기계에 저장된 온갖 소리들로 만든 음악.
트로트
5음계로 구성된 지극히 단수한 4분의 2박자 혹은 4분의 4박자의 음악형태
판소리 유파
판소리는 지역(地域), 창법(唱法), 조(調)의 구성에 따라 동편제, 서편제, 중고제 세 유파로
나뉘어 짐.
·동편제 : 명창 송홍록의 유파로서 우조를 잘 불렀고, 운봉, 구례, 순창, 홍덕 등지에서 흥
행하였음. 창법은 씩씩하고 담담한 것이 특징.
·서편제 : 박유전의 유파로서 계면조를 잘 불러고, 광조, 나주, 보성, 해남 등지에서 성행하
였음. 창법은 부드럽고 애절하며 꼬리가 김.
·중고제 : 염계달, 김성옥으 유파로서 경기도와 충청도에 성행하였음.
창법은 동편제와 서편제의 중간이며 상하성(上下聲)이 분명함.
팝(pop)
popularity의 준말. 일상적인 것을 이용한 예슬이라는 의미로 흔히 대중예술이라는 뜻으로
받아들여짐.
※팝스(pops):팝에서 발생한 음악용어. 록이나 재즈처럼 개성적인 표현방법이 없고 단순히
인기와 유행을 얻기 위해 보편성만을 추구하는 음악.
프리마돈나(prima donna)
"제1의 연인"이라는 뜻으로 오페라의 여주인공을 맡은 소프라노 가수.
이에 해당하는 남자 가수를 "프리모 우오모"라 함
퓨전음악
퓨전이란 융해, 용해,합동 등의 의미를 가진 단어로 대중 음악에서는 "퓨전재즈"식으로 특정
음악장르 앞에 이 단어를 붙여 사용함.
플라멩코(flamenco)
스페인 남부, 안다루시아지방을 중심으로 한 집시의 민족음악
풍물(風物)
우리나라 특유의 향토음악.
농촌에서 집단노동을 할 때나 흥을 돋우기 위해 연주하는 음악.
펑크(punk)
1970년대 뉴욕과 런던에서 일어난 과격한 록, 젊은세대의 불만이 폭발한 형대로 세계적으
로 확산되었음.
추임새
판소리 창자가 노래 부를 때 창자의 흥을 돋우어주기 위해 곳, 또는 청중이 가락의 알맞은
곳에 붙이는 "좋지, 얼씨구, 잘한다, 어디, 아먼, 으이"등의 말.
하우스 뮤직
컴퓨터와 신사사이자를 결합시켜 만든 첨단음악.
오선지에 악보를 일일이 그려가며 작곡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이용해 음악과 음색을 직접듣고 수정한 다음 이를 컴퓨터에서 기억시켜 작곡하는 방식
하바네라(habanera)
쿠바의 무곡(舞曲), 스페인에서 발생하였다고 하며 보통템포에 의한 4분의 2박자의 곡으로
2종의 리듬형이 특징임.
화청(和淸)
불교음악인 범패의 한 갈래.
회심곡(回心曲)
걸립패의 고사소리의 하나인 평조염불 중 부모은중경 부분을 특별히 지칭하는 말.
힙합(hiphop)
1980년대 미국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다이내믹 한 춤(브레이크 댄스 등)과 음악의 총칭.
헤비메탈(heavy metal)
1980년대에 들어와서 초기의 하드록 대신에 스테이지의 과격성을 풍속.패션, 움직임 등 모
든면에서 추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