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부자(附子)에 대하여
한방(韓方)에서 부자만큼 신비스롭게 다루어지는 약초 또한 드믑니다. 처방에서 사용되는 빈도 또는 사용량에서 인삼과 감초만큼은 아니지만 위급하고 중증일 때 부자(附子)가 생명을 살리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그 위치는 대단히 중요합니다. 독(毒)을 함유하고 있어 잘 쓰면 큰 효과를 보지만 잘못 사용하면 큰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부자는 항상 조심스럽게 다루어지며 그 사용할 증(證)을 아는 여부에 따라 시력이 많이 나누어지게 됩니다.
1. 부자(附子)는 대한민국에서 생산될까요?
부자는 대한민국에 있지 않습니다. 자생하지 않으며 생산조차 되지 않습니다. 부자의 학명은 Aconitum carmichaeli으로 중국의 사천성, 호북성, 호남성, 산시성 등에서 생산됩니다.
지금 유통되고 있는 부자는 전량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습니다.
2. 부자와 비슷한 약초는?
첫 번째, 천오두(川烏頭)
부자와 비슷한 효능을 지닌 약초로는 천오두가 있습니다. 부자와 천오두는 기원식물이 Aconitum carmichaeli으로 같습니다.
엄마뿌리는 천오두가 되고, 옆에 새롭게 자란 자식 뿌리가 부자가 됩니다. 따라서 천오두와 부자는 같은 식물에서 기원하지만 효능은 약간 다릅니다.
천오두는 천오 또는 오두로도 불립니다.
두 번째, 초오(草烏)
초오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약초입니다.
일명 투구꽃 또는 바꽃으로 불리는 약초로써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합니다. 8월 하순부터 보라색 또는 파란색의 투구모양의 꽃을 피웁니다. 그 꽃모양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도 기르기도 합니다.
야생화를 촬영하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좋습니다.
옛날에는 우리 조상들이 초오를 재배를 하여 원뿌리를 오두로 그리고 자식뿌리를 부자로 사용한 것 같습니다. 이명이 토부자(土附子)라고 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한의약학은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발전하였는데 세종때 향약집성방을 통해 우리나라의 한약재와 중국의 한약재의 기원, 효능 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체계에 맞게 맞추었습니다. 이 시기를 통해 부자와 초오의 분류를 한 것 같습니다.
허준선생께서 편찬하신 『동의보감(東醫寶鑑)』을 보더라도 唐附子라고 나와있습니다.
세 번째, 백부자(白附子)
백부자는 옛날 삼국시대에도 중국에 알려진 유명한 한약재입니다. 신라에서 생산되고 그 효능이 우수하다고하여 중국에서도 귀하게 여겼습니다.
생김새가 초오와 비슷합니다.
네 번째, 그렇다면 부자와 초오의 효능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효능은 비슷한데 온리(溫裏)와 거풍(祛風)의 효능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부자가 온리의 효능을 강하게, 초오가 거풍의 효능을 강하게 지니고 있습니다.
3. 본초학을 통한 부자, 초오의 효능 비교
<본초학> 출처 : 영림사
한약재명 | 부자(附子) | 천오두(川烏頭) | 초오(草烏) | 백부자(白附子) |
이명 | 白皮串(백피곶) 新羅白肉
| 川烏
| 烏頭 竹節烏頭 毒公 土附子 | 關白附(한국)
禹白附, 獨角蓮 (중국) |
기원 | 미나리아재비과 부자의 자근 가공 Aconitum carmichaeli
| 미나리아재비과 오두의 괴근건조 Aconitum carmichaeli
| 미나리아재비과 놋젓가락나물 Aconitum ciliare
중국 北烏頭 Aconitum kusnezoffii
| 미나리아재비과 백부자(關白附) Aconium koreanum
천남성과 독각련(우백부) Typhonium giganteum |
성미 | 熱 有毒, 辛甘 | 熱 有毒, 辛 | 熱 有毒, 辛苦 | 溫 有毒, 辛 |
귀경 | 心 脾 腎 | 脾 命門 | 心 肝 腎 脾 | 脾 胃 |
효능 | 回陽補火 散寒除濕 | 祛風濕, 散風邪 溫經, 止痛 | 祛風除濕, 溫經止痛 | 祛風痰, 定驚搐, 解毒散結止痛 |
4. 인터넷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1) 투구꽃 [비추천명 : 선투구꽃]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Aconitum jaluense Kom.
2) 한라돌쩌귀 [비추천명 : 섬투구꽃]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Aconitum japonicum subsp. napiforme (H.Lév. &Vaniot) Kadota
3) 백부자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Aconitum coreanum (H.Lév.) Rapaics
4) 놋젓가락나물 [비추천명 : 선덩굴바꽃]
Aconitum ciliare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투구꽃으로 검색 총9종
식물명 | 비추천명 | 학 명 | 과 |
투구꽃 | 선투구꽃 | Aconitum jaluense | 미나리아재비과 |
노랑투구꽃 | 넓은잎노랑투구꽃 | Aconitum sibiricum | 미나리아재비과 |
세뿔투구꽃 | 금오돌또기 | Aconitum austrokoreense | 미나리아재비과 |
각시투구꽃 | 각씨투구꽃 | Aconitum monanthum | 미나리아재비과 |
두메투구꽃 | 두메투구풀 | Veronica stelleri | 현삼과 |
한라투구꽃 | 섬오돌도기 | Aconitum quelpaertense | 미나리아재비과 |
선투구꽃 | 선오돌또기 | Aconitum umbrosum | 미나리아재비과 |
한라돌쩌귀 | 섬투구꽃 | Aconitum japonicum | 미나리아재비과 |
흰한라돌쩌귀 |
| Aconitum napiforme | 미나리아재비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