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위 | 국가명 | 2015년 | 2016년 | 2017년(1~10월) |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
- | 총계 | 32,069 | 76.1 | 40,823 | 27.3 | 95,161 | 181.0 |
1 | 태국 | 567 | 35.7 | 435 | -23.3 | 30,776 | 6,985.1 |
2 | 말레이시아 | 3,647 | 112.5 | 4,024 | 10.3 | 14,291 | 268.0 |
3 | 프랑스 | 2,372 | 9.9 | 5,063 | 113.4 | 11,063 | 162.5 |
4 | 일본 | 4,176 | 84.3 | 4,537 | 8.7 | 7,796 | 86.0 |
5 | 미국 | 3,322 | 13.8 | 6,253 | 88.2 | 6,142 | 65.0 |
6 | 인도네시아 | 141 | 101.1 | 110 | -22.0 | 5,998 | 5,386.9 |
7 | 한국 | 6,163 | 126.4 | 7,644 | 24.0 | 4,246 | -35.5 |
8 | 대만 | 989 | 2.0 | 814 | 75.4 | 2,841 | 357.9 |
9 | 홍콩 | 5,029 | 237.0 | 605 | -38.9 | 1,988 | 239.6 |
10 | 오스트리아 | 162 | -17.7 | 4,781 | -4.9 | 1,689 | -57.9 |
주: 순위는 2017년 10월 기준
자료원: KITA
ㅇ 우리나라는 2011년부터 중국 수입시장에서 1~3위를 유지했으나, 2017년에 수입규모 및 중국 시장 내 점유율이 크게 감소함.
- 우리나라는 최근 몇 년간 수입 음료분야에서 중국 내 높은 점유율을 유지했음. 2017년 수입규모 감소의 원인은 한중관계 냉각에 따른 소비재 수출 부진 때문으로 분석됨.
- 2017년 3월까지는 전년 동기 대비 수입규모가 38.9% 증가추세를 보였으나, 관련 이슈가 불거진 후 4월부터 수입규모가 급감세로 전환됨.
대한 수입현황(HS Code 2202.1000 기준)
구분 | 수입액(천 달러) | 증감률(%) | 점유율(%) | 순위 |
2011년 | 1,608 | 62.6 | 32.4 | 1 |
2012년 | 1,533 | -4.7 | 19.3 | 1 |
2013년 | 1,279 | -16.6 | 11.9 | 3 |
2014년 | 2,722 | 112.8 | 14.9 | 2 |
2015년 | 6,163 | 126.4 | 19.2 | 1 |
2016년 | 7,644 | 24.0 | 18.7 | 1 |
2017년 1~10월 | 4,246 | -35.5 | 4.5 | 7 |
자료원: KITA
□ 주요 경쟁 기업
브랜드명 | 가격대 | 제품 사진 | 설명 |
Red Bull(红牛) | 약 6원 | | 세계적으로 유명한 에너지 드링크이며, 중국에서 가장 잘 팔리는 에너지 드링크 중 하나임. |
MONSTER (怪物能量饮料) | 약 6.5원 | | 세계적으로 유명한 에너지 드링크 이며 음료에 과라나, 타우린, 인삼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강한 효과가 있다는 평이 있음. |
黑卡6小时
| 약 6원 | | 2010년에 출시돼 천연 과라냐와 카페인을 함유해 강력한 효과를 냄. 피곤할 때나 정신을 깨어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고 함. |
脉动 | 약 4원 | | 2003년에 중국 시장 출시 이래 풍부한 비타민 조합과 은은한 과일 맛으로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음. 주로 운동할 때 소비하며 현재 다양한 과일 종류의 맛이 출시돼 있음. 젊은 층에 인기가 많음. |
健力宝 | 약 4원 | | 운동할 때 주로 찾는 음료로 탄산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 내 알카리성 전해질 운동 음료 영역에서는 가장 유명한 음료임. |
尖叫 | 약 5원 | |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음료회사 중 하나인 농부산천(农夫山泉)에서 출시한 음료로 2003년 말 시장 출시 이후 많은 사랑을 받고 있음. 전해질과 비타민B, 식이섬유를 첨가해 일상에서도 소비자들이 즐겨 찾음. 제품의 뚜껑 포장은 특허를 받음. |
东鹏特饮 | 약 4원 | | 중국의 비타민 기능성 음료 중 하나이며 아미노산 및 여러 종류의 비타민B 등을 함유해 소비자에게 충분한 영양과 에너지를 보충해 주는 음료임. 중국 국가 위생부 인증을 받은 비타민 기능성 음료 중 하나임. |
자료원: 百度 및 KOTRA 광저우 무역관 자체정리
ㅇ 위에 소개된 에너지 드링크 외에도 한국에서도 유명한 게토레이, 포카리스웨트, 박카스 등의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 드링크를 편의점이나 일반 소매점에서도 쉽게 구입 가능함.
□ 시사점
ㅇ 중국 에너지 드링크시장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중국 시장에 진출할 좋은 기회임.
- 소매점에서 에너지 드링크의 상품이 하나의 주력 음료 종류로 진열돼 있으며, 이는 현재 상품의 꾸준한 소비자층이 형성돼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음.
- 중국 소비자의 에너지 드링크 섭취량이 아직 세계 수준과 비교해 낮은 편이므로, 앞으로 시장은 더욱 확대될 수 있을 것임.
ㅇ 아직 중국 기능성 에너지 드링크 제품은 고카페인 음료, 스포츠 음료 등으로 한정적이기 때문에 한국의 비타민C 드링크, 수면 보조 드링크 등 새로운 분야의 음료로 시장을 공략한다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임.
- 또한 한중 FTA로 관세가 경쟁국 대비 매년 낮아지고 있어 가격 면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음.
ㅇ 우리나라의 2017년 대중 음료 수출은 정치적인 이슈로 전년 대비 많이 감소했으나, 중국의 수입 음료시장이 최근 몇 년간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고, 2016년까지 우리나라의 음료 수입이 1위를 차지하고 있었던 점 등을 고려하면, 2018년부터는 다시 수출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
자료원: 중국 산업정보, 중투고문산업연구센터, KITA, 百度, 관세청, KOTRA 광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