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사표음(簞食瓢飮)
대나무 그릇의 밥과 표주박의 물이라는 뜻으로, 좋지 못한 적은 음식을 말한다.
簞 : 소쿠리 단(竹/12)
食 : 밥 사(食/0)
瓢 : 표주박 표(瓜/11)
飮 : 마실 음(飠/4)
(유의어)
누항단표(陋巷簞瓢)
단표누항(簞瓢陋巷)
단표(簞瓢)
가난 구제는 나라도 못한다는 속담처럼 가난을 모두 두려워한다. 하지만 즐기는 것은 아니라도 최소한 가난에 굴하지 않고 더불어 생활한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삶도 예부터 많이 전해진다.
그 중에서 가난하면서 의연히 학문을 닦아 이 성어를 낳은 공자(孔子)의 수제자 안회(顔回)의 이야기가 가장 유명하다.
허술한 대 밥그릇에 담은 밥(簞食)과 표주박에 든 물(瓢飮)만으로 지냈다 하여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기도 한다.
여기서 본뜬 것은 아닐지라도 가난하다는 말은 너무 적게 가진 사람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니라 더 많은 것을 바라는 사람을 두고 하는 말이라고 로마 세네카는 명언을 남겼다.
공자의 3000명 제자 중에서 뛰어난 70인을 칠십자(七十子)나 칠십이현(七十二賢)라고도 부른다. 그중 고락을 함께한 10명을 공문십철(孔門十哲)로 압축하는데 언제나 첫손에 꼽히는 제자가 안연(顔淵; 안회의 자)이다.
학문과 재능이 뛰어나 후세에 안자(顔子)나 아성(亞聖)으로까지 불렸다. 안연은 평생 지게미조차 배불리 먹어본 적이 없을 정도로 찢어지게 빈한하여 끼니 거르기를 밥 먹듯 했지만 가난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고 학문에 힘썼다.
공자는 어질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한 대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 물만 마시면서 누추한 곳에 산다면 다른 사람은 견디지 못하거늘 안회는 즐거움을 잃지 않는구나.'
一簞食一(일단사일)
瓢飮在陋巷(표음재누항)
人不堪其憂(인불감기우)
回也不改其樂(회야불개기락)
논어(論語) 옹야(雍也)편에 나온다. 하지만 안연이 스승의 기대를 살리지 못하고 31세에 요절하자 공자는 대성통곡하며 하늘을 원망했다.
취업준비를 위한 홀로족과 경제 불안으로 인한 결혼 기피 등으로 1인 가구가 급속으로 늘어난다고 한다. 오늘날은 옛날보다 풍요로워 안연처럼 청빈의 생활을 요구하지도 바라지도 않을 것이다.
다만 지표상으로는 이전보다 경제가 발전하고 소득이 높아졌어도 여전히 가난을 느끼는 사람은 많다. 동반성장이 되지 않아 부가 부자에게만 몰리고 가난한 사람은 자꾸 오그라드는 빈부격차 때문이다.
앞날도 희망이 보이지 않기는 마찬가지라 획기적인 성장정책이 나오지 않는다면 원하지 않는 단사표음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
단사표음(簞食瓢飮)
한 소쿠리의 밥과 표주박의 물이라는 뜻으로, 매우 소박한 생활을 말한다.
단(簞)은 본디 대나무로 엉성하게 얽은 작은 소쿠리를 뜻하며, 사(食)는 파음자로 ‘먹다’ 일때는 '식', 밥 일때는 '사' 로 발음한다.
따라서 단사표음(簞食瓢飮)은 도시락 밥과 표주박 속의 국으로 구차하고 보잘 것 없는 음식을 뜻한다. 줄여서 단표(簞瓢)라고 한다.
단사(簞食)란 도시락 밥이라는 뜻이고, 표음(瓢飮)은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이다. 즉, 이말은 대오리로 만든 그릇(소쿠리)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변변치 못한 음식이나 가난한 살림 또는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뜻한다.
논어(論語) 옹야편(雍也篇)에 나오는 말이다.
공자(孔子)는 일생 동안 무려 3천명의 제자를 두었다고 한다. 그 가운데는 자공(子貢)처럼 이재(理財)에 밝은 사람이 있었는가 하면, 자로(子路)처럼 벼슬길에 나아가 성공한 사람도 있고, 안회(顔回)처럼 가난하지만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러나 그 가운데에서도 공자가 가장 사랑하고 아끼던 제자는 안회였다. 공자는 제자들을 그 역량에 따라 평하고 그에 맞는 충고를 하곤 했지만, 안회에게만은 늘 칭찬을 잊지 않았다.
공자의 기대에 맞추어, 안회도 워낙 학문을 좋아하여 나이 29세에 벌써 백발이 되었다 한다. 자공(子公)이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聞一知十)며 자신과는 비교할 수 없다고 말한 사람도 바로 안회이다.
그러나 안회는 찢어지게 가난하여 끼니 거르기를 밥 먹 듯했으며 평생 찌게미조차 배불리 먹어 본 적이 없을 정도였다. 그러나 가난은 그의 수행과 학문 연구에 아무런 영향도 줄 수 없었다.
이런 안회를 보고 공자가 칭찬하였다. “어질도다, 안회여. 한 소쿠리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로 누추한 곳에 거처하며 산다면, 다른 사람은 그 근심을 견디어내지 못하거늘 안회는 즐거움을 잃지 않는구나. 어질도다 안회여”
한 소쿠리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로 사는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즐거움을 잃지 않으므로 공자는 두 번이나 ‘어질도다 안회여’라고 찬미한 것이다.
옹야편에는 이 말고도 안회를 칭찬하는 내용이 많다. 가령 “안회는 그 마음이 석 달이 지나도 어진 것을 어기지 않는다. 그러나 나머지 제자들은 겨우 하루나 한달 동안 어진것에 이를 뿐이다”라든가, 애공(哀公)이 학문을 좋아하는 제자에 대해 묻자, “안회가 있어 학문을 좋아하고 노여움을 오래 지니지 아니하며, 허물되는 일을 두번 하지 않았으나, 불행하게도 명(命)이 짧아 일찍 죽은지라, 그가 떠나간 지금에 와서는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에 대해 듣지 못하였다”고 대답하는 예 등이다.
요절한 안회에 대한 공자의 그리움이 절절하다. 물론 지금 안회와 같은 삶을 요구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의식주가 해결된 지금 과연 정도를 걷고 있는 자가 얼마나 되는지 생각해 볼 일이다.
공자의 말씀 이후 단사표음(簞食瓢飮)은 초야에 묻혀 사는 은사들의 생활의 표상이 되었다. 옹야편의 표현 그대로, 일단사일표음(一簞食一瓢飮)이라고도 한다.
▶️ 簞(소쿠리 단)은 형성문자로 箪(단)은 통자(通字), 箪(단)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대 죽(竹; 대나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單(단)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簞(단)은 참대 그릇의 하나로, 참대를 결어 밥을 담도록 만든 작은 그릇의 뜻으로 ①소쿠리(대나 싸리로 엮어 테가 있게 만든 그릇) ②대로 만든 둥근 밥그릇 ③상자(箱子) ④호리병박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도시락밥으로 도시락에 담은 밥을 단사(簞食), 도시락과 표주박을 단표(簞瓢), 표주박으로 조롱박이나 둥근 박을 반으로 쪼개어 만든 작은 바가지를 표단(瓢簞), 표주박과 같은 모양을 표단형(瓢簞形), 대그릇의 밥과 표주박의 물이라는 뜻으로 좋지 못한 적은 음식을 단사표음(簞食瓢飮), 도시락과 표주박과 누추한 거리라는 뜻으로 소박한 시골 생활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단표누항(簞瓢陋巷), 대나무 그릇에 담긴 밥과 제기에 담긴 국이라는 뜻으로 얼마 안되는 음식이나 변변치 못한 음식을 단사두갱(簞食豆羹), 도시락 밥과 병에 담은 음료수라는 뜻으로 간소한 음식을 마련하여 군대를 환영함을 이르는 말을 단사호장(簞食壺漿), 누항에서 사는 사람의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아주 가난한 사람의 생활 형편을 이르는 말을 누항단표(陋巷簞瓢) 등에 쓰인다.
▶️ 食(밥 식/먹을 식, 먹이 사, 사람 이름 이)은 ❶회의문자로 饣(식)은 동자(同字)이다. 사람(人)이 살아가기 위해 좋아하며(良) 즐겨먹는 음식물로 밥을 뜻한다. 사람에게 먹이는 것, 먹을 것, 먹게 하다는 飼(사)였는데 그 뜻에도 食(식)을 썼다. 부수로서는 그 글자가 음식물 먹는데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❷상형문자로 食자는 ‘밥’이나 ‘음식’, ‘먹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食자는 음식을 담는 식기를 그린 것이다. 갑골문에 나온 食자를 보면 음식을 담는 식기와 뚜껑이 함께 그려져 있었다. 食자는 이렇게 음식을 담는 그릇을 그린 것이기 때문에 ‘밥’이나 ‘음식’, ‘먹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食자가 부수로 쓰일 때도 대부분이 ‘음식’이나 먹는 동작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된다. 참고로 食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모양이 바뀌어 飠자나 饣자로 표기된다. 그래서 食(식)은 ①밥 ②음식 ③제사 ④벌이 ⑤생활 ⑥생계 ⑦먹다 ⑧먹이다 ⑨현혹케하다 ⑩지우다 그리고 ⓐ먹이, 밥(사) ⓑ기르다(사) ⓒ먹이다(사) ⓓ양육하다(사) ⓔ사람의 이름(이)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음식을 청해 먹은 값으로 치르는 돈을 식대(食代), 부엌에서 쓰는 칼을 식도(食刀), 여러 가지 음식을 먹는 일을 식사(食事), 한 집안에서 같이 살면서 끼니를 함께 먹는 사람을 식구(食口), 음식점이나 식당에서 먹을 음식과 바꾸는 표를 식권(食券), 밥을 먹기 전을 식전(食前), 식사를 마친 뒤를 식후(食後), 음식을 담아 먹는 그릇을 식기(食器), 음식만을 먹는 방 또는 간단한 음식을 파는 집을 식당(食堂), 뜻밖에 놀라 겁을 먹음을 식겁(食怯), 음식에 대하여 싫어하고 좋아하는 성미를 식성(食性), 음식(飮食)을 만드는 재료를 식료(食料), 남의 집에 고용되어 부엌일을 맡아 하는 여자를 식모(食母), 음식(飮食)을 먹고 싶어하는 욕심을 식욕(食慾), 한번 입 밖으로 냈던 말을 다시 입속에 넣는다는 뜻으로 앞서 한 말을 번복하거나 약속을 지키지 않고 거짓말을 하는 경우를 가리키는 말을 식언(食言), 각종 식품을 파는 가게를 식품점(食品店), 음식을 먹은 뒤에 몸이 느른하고 정신이 피곤하며 자꾸 졸음이 오는 증세를 식곤증(食困症), 식량이 떨어져 기운이 다함을 식갈역진(食竭力盡), 식객이 삼천 명이라는 뜻으로 함께 하는 사람이 대단히 많음을 식객삼천(食客三千), 나라의 녹을 받아먹음을 식국지록(食國之祿), 근심 걱정 따위로 음식 맛이 없음을 식불감미(食不甘味), 음식을 잘 차려 먹지 아니함을 식불이미(食不二味), 먹는 것으로 하늘을 삼는다는 뜻으로 사람이 살아가는 데 먹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말을 식이위천(食以爲天) 등에 쓰인다.
▶️ 瓢(바가지 표)는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오이 과(瓜; 오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票(표)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瓢(표)는 바가지의 하나로 ①바가지 ②표주박(박으로 만든 작은 바가지) ③박 ④구기(자루가 달린 술 따위를 푸는 용기)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표주박을 닦는 데 쓰는 솔을 표성(瓢省), 펄럭이며 날아 흩어짐을 표산(瓢散), 표주박으로 조롱박이나 둥근 박을 반으로 쪼개어 만든 작은 바가지를 표자(瓢子), 조롱박이나 둥근 박을 반으로 쪼개어 만든 작은 바가지를 표단(瓢簞), 무당벌레를 표충(瓢蟲), 표주박처럼 만든 작은 배를 표주(瓢舟), 바가지와 술통으로 술을 담는 그릇을 표준(瓢樽), 도시락과 표주박을 단표(簞瓢), 쪽박을 참 또는 빌어먹음의 비유의 말을 패표(佩瓢), 과실을 담는 표주박을 과표(果瓢), 쪽박으로 작은 바가지를 엽표(葉瓢), 밥을 담은 바가지를 반표(飯瓢), 집오리를 목표(鶩瓢), 술을 넣는 호로병을 주표(酒瓢), 표주박과 같은 모양을 표단형(瓢簞形), 옹근 야자 열매로 만든 표주박을 전야표(全椰瓢), 모과나무로 만든 표주박을 모과표(木果瓢), 박으로 만든 표주박을 연표자(軟瓢子), 구리로 만든 표주박을 동표자(銅瓢子), 한 개의 표주박을 단표자(單瓢子), 한 쪽박의 물 또는 술을 일표음(日瓢飮), 바가지에 밤 담아 놓은 것 같다는 뜻으로 고만고만한 어린 자식들이 많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여표성률(如瓢盛栗), 대그릇의 밥과 표주박의 물이라는 뜻으로 좋지 못한 적은 음식을 단사표음(簞食瓢飮), 허유가 나뭇가지에 표주박을 걸었다가 시끄러워서 떼어버렸다는 뜻으로 속세를 떠나 청렴하게 살아가는 모양을 허유괘표(許由掛瓢) 등에 쓰인다.
▶️ 飮(마실 음)은 ❶형성문자로 飲(음)은 통자(通字), 饮(음)은 간자(簡字), 㱃(음), 淾(음)은 고자(古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밥식변(飠=食; 먹다, 음식)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欠(흠; 입을 크게 벌리고 하품하는 모양, 음)이 합(合)하여 마시다를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飮자는 '마시다'나 '음료'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飮자는 食(밥 식)자와 欠(하품 흠)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欠자는 입을 벌리고 있는 사람을 그린 것이다. 그러니 飮자는 식기에 담긴 것을 먹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갑골문에 나온 飮자는 지금과는 조금 달랐다. 갑골문에서는 술병을 그린 酉(닭 유)자 앞에 혓바닥을 내밀은 사람이 그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술병에 담긴 술을 마시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飮자의 본래 의미는 '술을 마시다'였다. 그러나 후에 酉자가 食자로 바뀌면서 단순한 의미에서의 '마시다'를 뜻하게 되었다. 그래서 飮(음)은 ①마시다 ②호흡하다 ③마시게 하다 ④먹이다, 먹게 하다 ⑤머금다, 품다 ⑥숨기다 ⑦음식, 음식물의 총칭(總稱) ⑧음료(飮料), 마실 것 ⑨술자리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마실 흡(吸)이다. 용례로는 술 마시는 데 쓰는 기구를 음구(飮具), 약을 마심을 음약(飮藥), 독약을 먹음을 음독(飮毒), 물이나 술 등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음료(飮料), 제사를 마치고 제관이 제사에 쓴 술이나 다른 제물을 먹음을 음복(飮福), 더위를 먹음을 음서(飮暑), 마심이나 먹음을 음용(飮用), 흑흑 느끼어 욺을 음읍(飮泣), 저자의 이름을 나타내지 않은 글을 음장(飮章), 술을 마시고 받는 화를 음화(飮禍), 술을 마시며 즐거워함을 음락(飮樂), 마시는 분량을 음량(飮量), 말에게 물을 먹임을 음마(飮馬), 먹는 것과 마시는 것을 음식(飮食), 술을 마심을 음주(飮酒), 술을 잘 마시는 사람을 음호(飮豪), 말에게 물을 마시게 할 때에 먼저 돈을 물 속에 던져서 물 값을 갚는다는 뜻으로 결백한 행실을 이르는 말을 음마투전(飮馬投錢), 물을 마실 때 수원을 생각한다는 뜻으로 근본을 잊지 않음을 일컫는 말을 음수사원(飮水思源), 먹고 마시고 할 뿐인 사람 또는 음식만을 즐기는 사람을 일컫는 말을 음식지인(飮食之人), 물이 많이 있더라도 마시는 분량은 실상 배를 채우는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이 제 분수의 넉넉함을 알아야 한다는 비유의 말을 음하만복(飮河滿腹), 재를 마셔 위 속의 더러운 것들을 씻어낸다는 뜻으로 악한 마음을 고쳐서 선으로 돌아감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음회세위(飮灰洗胃)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