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상 스님의 주련] 46.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보현보살의 참다운 행 실천 발원
중국불교서 유행…‘화엄경’ 인용
부처님 지혜는 말로 표현 어려워
고통받는 중생 구제하겠다는 원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 글씨 일중 김충현(一中 金忠顯 1921~2006).
智慧無邊不可說 光明照世爲所歸
지혜무변불가설 광명조세위소귀
願得普賢眞妙行 能救法界苦衆生
원득보현진묘행 능구법계고중생
(지혜는 가없어서 가히 다 설하지 못함이며/ 광명으로 세간을 비추시니 의지할 바가 됨이로다./ 원하건대 보현보살의 참다운 묘행을 얻어서/ 능히 법계의 고통 받는 중생을 구제하리라.)
이 게송은 중국불교에서 대련(對聯)으로 유행되는 내용을 옮겨 적은 것으로 보인다. 출처는 앞의 두 구절의 경우 80권본 ‘화엄경’에서 인용하고 뒤의 두 구절은 40권본 ‘화엄경’을 인용하여 만들어진 문구다.
운문사는 국내 내로라하는 대찰이다. 운문사 대웅보전(大雄寶殿)이라면 여기에 걸맞은 문구를 주련으로 삼아야 함이 원칙이라고 본다. 그런데 주련에 글귀가 제아무리 좋아도 경전의 여기저기에서 발췌한 문장이 걸려있음은 안타까운 일이다. 글씨는 일중 김충현 선생이 예서(隸書)로 썼다. 당시 서예계는 중국의 서첩(書帖)을 보고 공부를 많이 하던 시기다. 아마 선생께서 중국불교의 대련을 그대로 옮겨 쓴 것이 주련에 새겨진 것으로 짐작만 할 뿐이다.
첫 구절 ‘지혜무변불가설(智慧無邊不可說)’은 80권본 ‘화엄경’ 권제20 ‘십행품’에서 공덕림보살(功德林菩薩)이 부처님의 위신력을 받들어 부처님의 종성(種性)이 단절되지 않게 모든 부처님의 보리(菩提)를 비추어 알게 하려고 게송으로 찬탄하는 내용이다. 부처님의 지혜는 가없어서 말로 다 마칠 수가 없다는 표현이다.
‘화엄경’ 곳곳에는 부처님의 지혜를 찬(讚) 하는 지혜무변(智慧無邊)이라는 표현이 무려 십여 번 나온다. 이렇듯 부처님의 지혜는 불가설(不可說)이라고 하여 말로서는 다 나타낼 수가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화엄경’의 ‘ 보현행원품(普賢行願品)’에 보면 ‘보현보살이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하기를 선남자여, 부처님의 공덕은 비록 시방세계 모든 부처님이 이루 다 말할 수 없이 많은 부처님 세계의 아주 작은 티끌만치 많은 수의 겁을 계속하여 말할지라도 끝까지 다하지는 못할 것이니, 만일 그와 같은 공덕을 이룩하려면 마땅히 열 가지 크나큰 행원을 닦아야 한다’라고 했다.
두 번째 구절 ‘광명조세위소귀(光明照世爲所歸)’는 ‘화엄경’ 권제17 ‘초발심공덕품’에서 법혜보살(法慧菩薩)이 부처님의 위신력을 받들어 찬탄하는 게송 가운데 한 구절을 추려서 앞 문구의 대구로 삼았다. 광명조세(光明照世)는 진리로 세상을 비추신다는 표현이다. 그러므로 중생들의 귀의처가 되는 것이기에 귀소(歸所)라고 하였다. 권제3 ‘세주묘엄품’에서 시현궁전주주신(示現宮殿主晝神)이 부처님을 찬탄하는 구절, 권제60 ‘입법계품’에서 원지광명당왕(願智光明幢王) 보살이 부처님을 찬탄하는 게송 등 ‘화엄경’에서는 광명조세라는 표현이 여섯 번이나 등장한다.
세 번째 구절 ‘원득보현진묘행(願得普賢眞妙行)’은 40권본 ‘화엄경’의 권제16 ‘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에 나오는 말씀이다. 관자재보살이 해탈문의 뜻을 밝히려고 게송으로 노래하는 가운데 한 구절을 발췌하여 문장으로 삼았다. 여기서 보현보살의 행을 찬탄하는 것은 왜일까? 불교를 신행하는 데 있어 믿음만 있고 행(行)이 없으면 날개 잃은 새와 같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보현보살의 참다운 행을 나도 실천하고자 원하는 것이다.
마지막 구절 ‘능구법계고중생(能救法界苦衆生)’은 40권본 ‘화엄경’의 권제17 ‘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에서 춘화주야신(春和主夜神)을 찾는 말씀 가운데 춘화주야신이 해탈문(解脫門)의 뜻을 다시 설명하려고 부처님의 위신력을 받들어 선재동자에게 게송으로 일러주는 구절이다.
능구(能救)는 능히 구제하겠다는 원력과 동시에 능력을 갖추는 것을 말한다. 법계(法界)는 불교도들의 사회를 말하는 것으로 이를 널리 보면 곧 사바세계다. 그러기에 사바세계에 고통받는 중생들을 구제하겠노라는 원을 세우면서 이 게송은 마무리가 된다.
첫댓글 지정님
여전하시네요
대단하십니다
저도 이렇게 공부하고 있는거죠 뭐~
근데 깊이 있는 공부가 안 되네요, 눈공부만 하다보니....
눈공부가 살살 모여서 태산을 이룹니다.
이제는 실전 독송팀이나 명상팀에서 뛰어들어 한번 해보시어요
나름 재미있고 ~~~ 뭐 그런게 있어요 ㅎㅎㅎ
불교를 신행하는 데 있어 믿음만 있고 행(行)이 없으면 날개 잃은 새와 같기 때문이다.
마음속에 새겨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