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에 위치한 유니클로 매장 손님들로 붐비는 모습
"불매운동 이제 끝난 거 아닌가요? 가성비를 따지는 편이라· 애용해요."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한 유니클로 매장 세일 코너를 둘러보던 40대 직장인 이 모씨는 이렇게 말했다. 그는 "유니클로뿐 아니라 다른 일본 기업들도 많이 있기도 하고 결국 내 돈을 직접 내고 물건을 구매해야 하는데 가격이 싸고 디자인이 좋은 제품을 자연스레 찾게 되는 건 당연한 수순인 거 같다"고 덧붙였다.
유니클로, 6년만에 매출 1조원 재돌파
수년 전 '노재팬 운동'으로 직격탄을 맞은 유니클로가 국내 시장에서 완전히 활기를 되찾으며 매출액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한국 시장에서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으며 6년 만에 매출 1조원을 넘기며 SPA 업계 1위를 자리를 단단히 지켰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유니클로 운영사 에프알엘코리아의 지난해 회계연도(2023년 9월1일~2024년 8월 31일)기준 매출액은 1조601억원으로 집계됐다.
서울 용산구의 유니클로 매장 세일코너에서 손님이 옷을 구경하고 있다.
22일부터 24일까지 기자가 찾아본 서울시 내 유니클로 매장 들에서는 곳곳에 '기간한정가격', '가격인하', '초특가 가격인하' 팻말을 붙인 매대에는 평일 저녁임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은 손님이 모여있었다.
매장 내 초특가 세일 코너에서 옷을 둘러보던 주부 정모 씨(44)는 "편안한 가격에 편안한 옷이 가장 큰 강점인 거 같다"고 말했다. 바로 옆 코너에서 친구와 함께 쇼핑을 나왔다는 대학생 윤 모씨(26)는 "아무래도 학생이기 때문에 불매운동 보다는 현실적인 소비에 초점을 맞출 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평일 저녁뿐 아니라 점심시간에도 유니클로 매장에는 손님이 꾸준했다. 점심시간을 쪼개 쇼핑하러 왔다는 직장인 서 모씨(38)는 "옷 살 게 있으면 유니클로를 많이 오는데 불매운동 한 걸 알고 있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당장 내 주머니 사정이 어려운데 가성비가 좋은 제품을 찾는데 당연하지 않냐"며 "국내 스파 브랜드도 많지만, 유니클로가 특히 질도 좋고 가격도 괜찮다"고 전했다.
"불매운동 없다…합리적 가격과 품질이 소비심리 부추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