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랑새
한하운
나는
나는
죽어서
파랑새가 되어
푸른 하늘
푸른 들
날아다니며
푸른 노래
푸른 울음
울어 예으리
나는
나는
죽어서
파랑새가 되리
(시집 『보리피리』, 1955)
[어휘풀이]
-예으리 : 예다. ‘가다’의 옛말
[작품해설]
자유로운 삶에 대한 소망을 간절히 노래하고 있는 이 작품은 시 형시과 내용의 단순함으로 인해 오히려 더욱 강렬한 효과를 얻고 있다. 소록도 나환자 수용소의 부자연스러운 생활 속에서 극한적인 고독과 절망감으로 몸부림치며 살다 간 시인의 비극적 삶을 확인할 수 있는 이 시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자유의 삶을 차라리 죽어서 누릴 수 있기를 간절히 바라는 그이 소망이 잘 나타나 있다.
그러므로 화자가 그토록 되고자 했던 ‘파랑새’는 바로 나병 환자로서의 비통과 병고, 저주의 사슬로부터 벗아난 자유로운 존재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가 마음껏 날아다리고자 하는 ‘푸른 하늘’과 ‘푸른 들’은 곧 나병 환자들이 인간적인 대접을 받고 사는 이상 세계를 뜻한다. 또한 그가 마음껏 ‘울어 예’고 싶었던 ‘푸른 노래’와 ‘푸른 울음’은 삶을 긍정하고 예찬하는 소리로, 결국 자유로운 삶을 표상한다. 현실의 삶이 너무 고통스럽고 자주스럽게기에 다시 태어날 수만 있다면, 시인은 인간이 아닌 한 마리 ‘파랑새’로 태어나 마음껏 하늘을 날며 자유를 누리고 싶어한다. 이렇게 오랜 고통의 몸부림으로 살던 그간의 아픔을 다 토해 내고 싶다는 시인의 절실한 비원(悲願)이 읽는 이의 가슴을 뭉클하게 한다.
이와 같은 화자의 진솔한 정서는 이 작품의 운율 구조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즉 ‘나는’[1. 4연] · ‘푸른’[2,3연]과 같은 시어의 반복은, 그가 소망하는 바가 절실한 만큼 현실의 ㄱ통 또한 깊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또한 민요조의 3음보 율격은 전통적인 소재와 어우러져 그의 비애와 슬픔을 효과적으로 표출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한편 ‘파랑새’ · ‘푸른 하늘’ · ‘푸른 들’ · ‘푸른 노래’ · ‘푸른 울음’ 등에서 나타나는 푸른색의 이미지는 밝고 깨끗하며 즐겁고 명랑한 삶을 소망하는 화자의 내면세계를 잘 보여 주고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말에서 푸른색은 ‘푸른 꿈’ · ‘청운(靑雲)’과 같은 표현에서 보듯이 자유와 희망을 상징한다. 그런 점에서 특히 ‘푸른 노래 / 푸른 울음’이란 이승에서의 슬픔과 한을 벗어 버리고 자유와 기쁨을 노래하겠다는 화자의 간절한 희망을 나타낸다. 이러한희망이 너무나도 절실하기에 현세의 비극성이 더욱 강조되는 것이다.
[작가소개]
한하운(韓何雲)
본명 : 한태영(韓泰永)
1920년 함경남도 함주 출생
중국 북경대학 농학원 졸업
1944년 함경남도 도청 축산과에 근무
1945년 나병의 악화로 사퇴
1946년 함흥 학생 데모 사건 혐의로 체포되었다가 석방
1949년 『신천지』에 12편의 「한하운 시초」를 발표하여 등단
1975년 사망
시집 : 『한하운 시조』(1953), 『보리피리』(1955), 『한하운시선집』(1956),
『한하운시화집』(1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