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부세 계산 방법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에 따라 전국의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상승하면서 종부세를 부과받게 된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다주택 소유 시에는 종부세 부담이 커졌는데요, 사전에 미리 종부세 계산 방법(계산기)으로 편하게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1. 종부세란?
종부세(종합부동산세)는 국내에 소유한 재산세 과세대상인 주택 및 토지를 과세기준일인 6월 1일을 기준으로 매년 과세유형별 구분하여 재산세를 부과합니다. 이후, 각 유형별로 공제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대하여 과세되는 세금을 말합니다.
유형별 과세대상공제금액
2. 종부세 계산 방법
종부세 계산 방법은 과세표준과 세율로 요약됩니다. 과세표준은 공시가격에서 공제금액을 제외하고 공정 시장가액비율을 곱해 산출합니다. 종합부동산세 계산순서를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개인 주택기준)
인별 전국 보유주택 공시가격 합산 - 6억 원(1세대 1 주택은 11억 원)
= 과세표준 x 0.5 ~ 5.0% 세율
= 종부세액 - 종부세 과세표준의 기납부 재산세액 - 1세대1주택자 세액공제(장기보유공제+고령자공제) - 세부담 상한 초과세액공제
= 최종세액
개인 종부세 세율 <2023년 이후>
주택(2주택 이하)주택(3주택 이상)과세표준세율과세표준세율
종합합산토지분별도합산토지분과세표준세율과세표준세율
3. 종부세 계산기
종부세 계산방법을 이용해 계산할 수도 있지만 조금 더 편리하고 정확한 종부세 계산기로 간단하게 계산이 가능하니 편하게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토지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