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5억엔 투자자 "조만간 금융쇼크 올겁니다" 언제인가… 2024년 후반 시세 전망, 대선 시뮬레이션 / 9/29(일) / 민카부 매거진
2024년 8월 5일 닛케이평균주가는 역사적인 하락을 했고, 이후에도 9월 미국의 고용통계와 국내 자민당 총재 선거의 영향으로 주가는 예년에 없던 널뛰기를 거듭하고 있다.
또, 10월에는 주가가 약해지기 쉽다는 미국발의 어나머리(anomaly)나, 11월의 미국 대통령 선거와 아직 파란이 예상되지만, 미일의 주식시세에 있어서의 향후의 전망이란 얼마나...?
그리고, 이번에, 피쳐 하는 것은 등록자 24만명을 자랑하는 YouTube 채널 「라이온 형의 미국주 FIRE가 최강」을 운영하는, 자산 5억엔의 라이온 형(X:@okane_315) 씨와, 그가 대표를 맡는 「Financial Free College」(이하, FFC)의 강사인 마츠모토 유씨다.
민카부 매거진 단기 연재 「등재자 24만명 투자자가 설파하는, 파란장세에서도 지지 않는 싸움 방법」 제1회는, 10월의 어나머리나 11월의 미국 대통령 선거의 행방 등, 2024년 후반의 시세관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다. 총 두 번의 첫 번째.
◇ 미 대통령 선거 '누가 당선되든 장기적으론 상승 추세'
ーー우선 10월 어나머리나 11월에 앞두고 있는 미국 대통령 선거에 대해 라이온형(이하 경칭략)의 견해를 들어 주십시오.
셀·인·메이(주식은 5월에 팔아라) 후, 여름철은 장사가 적고, 주가도 약하지만, 10월경부터 연말에 걸쳐 상승해 간다는 것이 통상적인 트렌드입니다. 하지만 2024년은 대통령 선거가 있기 때문에 불규칙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견해로는 감세 등의 정책을 내걸고 있는 트럼프가 당선되면 미국 주식에는 순풍으로 보는 사람이 많은 인상입니다.
반면 해리스 씨는 부유층의 자본 이득 과세를 증세한다고 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당선되면 일시적으로 주가 하락 조정이 있을 것이라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합니다. 다만 어느 쪽이 당선되든 당선 후 정책의 세부 사항이 보이면 주가는 상승해 가는 흐름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 선거기간 중 주가변동에 주의
ーー그 밖에 미국 대선에서 주목할 포인트가 있습니까?
9월 10일(일본 시간 11일 오전 10시)에 열린 두 후보의 첫 TV 토론회에서는 경제, 내정, 외교 등 폭넓은 문제를 놓고 논쟁이 벌어졌고 해리스 씨의 날카로운 설봉에 트럼프 씨가 초조하게 수세에 서기도 했습니다. 그러한 전개도 있어, 온라인 베팅 사이트 「프레딕트 잇」에서는, 해리스 씨의 승률이 53~57%로 상승하는 반면, 트럼프 씨는 53~47%로 저하했습니다.
미국 CNN TV가 토론회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해리스 씨의 승리라는 응답은 63%, 트럼프 씨는 37%였습니다. 이로써 만약 해리스 정권 탄생의 견해가 강해진다면 시장에서는 기업이나 부유층에 대한 증세가 의식되기 쉬워질 것입니다. 적어도 트럼프 전 행정부 시절의 감세는 실효되고 실질적으로 증세가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렇게 되면 재정 악화에 대한 우려가 희석되기 때문에 미국 금리는 저하하기 쉬워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는 해도, 증세는 미국 주식 전체에 있어서는 네거티브가 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토론회 후에 환율이 달러 약세·엔고에 흔들리는 장면이 있었던 것은, 미국 주가 하락과 미 금리 저하가 의식되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대선 중의 널뛰기 현상은 충분히 주의합시다.
◇ 조만간 금융 쇼크가 올 것입니다. 갖춰야 할 대책은…….
ーー그럼 예상되는 서브 시나리오에 대해 들려주세요.
리세션의 징후로 역수익 곡선 해소가 보이기 때문에 미국의 실업률과 기업 실적이 악화되면서 단숨에 역실적 장세에 돌입해 주가가 폭락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코로나 쇼크에 이은 다음 금융 쇼크가 2024년 후반, 2025년 또는 2026년에 발생할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어쨌든 조만간 찾아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다음 금융쇼크로 인한 주가 하락폭은 얕은 것인지, 깊은 것인지도 불투명합니다. 따라서 깊은 조정이 오더라도 대응할 수 있는 디펜시브한 포트폴리오나 현금 비율을 조금 높여두는 것이 좋습니다. 한편, 얕은 조정으로 끝나 주가가 폭발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기회 손실을 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우량 종목을 확실히 하면서, NISA를 활용한 인덱스 투자 등은 계속해 나갑시다.
〈구성·니시와키 쇼타〉
라이온형
https://news.yahoo.co.jp/articles/d21f9c3f628a525af46dd0cb32c3c31d003563a5?page=1
資産5億円投資家「近いうち金融ショックが訪れます」いつなのか…2024年後半の相場展望、大統領選シミュレーション
9/29(日) 17:10配信
62
コメント62件
みんかぶマガジン
(c) Adobe Stock
2024年8月5日、日経平均株価は歴史的な下落をし、以降も9月の米国の雇用統計や国内の自民党総裁選の影響により、株価は例年にない乱高下を繰り返している。
また、10月には株価が弱くなりやすいという米国発のアノマリーや、11月の米国大統領選とまだまだ波乱が予想されるが、日米の株式相場における今後の展望とはいかに…..?
そしてこのたび、フィーチャーするのは登録者24万人を誇るYouTubeチャンネル「ライオン兄さんの米国株FIREが最強」を運営する、資産5億円のライオン兄さん(X:@okane_315)氏と、彼が代表を務める『Financial Free College』(以下、FFC)の講師である松本侑氏だ。
みんかぶマガジン短期連載「登録者24万人投資家が説く、波乱相場でも負けない戦い方」第1回は、10月のアノマリーや11月の米国大統領選の行方など、2024年後半の相場観について話を伺った。全2回の第1回。
米国大統領選「どちらが当選しても長期的には上昇トレンド」
ーーまず、10月アノマリーや11月に控えている米国大統領選について、ライオン兄さん(以下、敬称略)の見解をお聞かせください。
セル・イン・メイ(株は5月に売れ)の後、夏場は商いが少なく、株価も弱いですが、10月頃から年末にかけて上昇していくというのが通常のトレンドです。しかし、2024年は大統領選挙があるのでイレギュラーがあると思っています。現状の見方では減税などの政策を掲げているトランプが当選すると、米国株には追い風と見ている人が多い印象です。
対して、ハリス氏は富裕層のキャピタルゲイン課税を増税すると言っているので、仮に当選すれば一時的に株価の下落調整があると個人的には思います。ただし、どちらが当選しても、当選後に政策の詳細が見えてくれば、株価は上昇していく流れだと予測しています。
選挙期間中の株価変動に要注意
ーーそのほか、米国大統領選において注目するポイントはありますか?
9月10日(日本時間の11日午前10時)に行われた両候補による初のテレビ討論会では、経済、内政、外交など幅広い問題を巡り論戦が繰り広げられ、ハリス氏の鋭い舌鋒にトランプ氏が苛立ち守勢に立つ場面もありました。そうした展開もあって、オンライン賭けサイト「プレディクトイット」では、ハリス氏の勝率が53~57%に上昇する半面、トランプ氏は53~47%に低下しました。
米CNNテレビが、討論会の視聴者を対象にした世論調査でハリス氏勝利との回答は63%、トランプ氏は37%でした。これで、もしもハリス政権誕生の見方が強まるとなれば、市場では企業や富裕層への増税が意識されやすくなるでしょう。少なくともトランプ前政権時代の減税は失効になり、実質的に増税になると予想します。そうなれば財政悪化への懸念が薄れるため、米金利は低下しやすくなると思います。
とはいえ、増税は米国株全体にとってはネガティブになると考えています。討論会後に為替がドル安・円高に振れる場面があったのは、米国株安と米金利低下が意識されたためでした。最後に、大統領選中の乱高下には十分に注意しましょう。
近いうちに金融ショックが到来します。備えるべき対策は……
ーーでは、想定されるサブシナリオについてお聞かせください。
リセッションの兆候として、逆イールドカーブの解消が見られるので、アメリカの失業率と企業業績が悪化し、一気に逆業績相場に突入して株価が暴落する可能性も考慮すべきです。コロナショックに続く次の金融ショックが2024年後半、2025年、または2026年に発生するかは明確ではありませんが、いずれにせよ遅かれ早かれ訪れると予想されます。
また、次なる金融ショックによる株価の下落幅は浅いのか、それとも深いのかも不透明です。よって、深い調整が来ても対応できるディフェンシブなポートフォリオや、現金比率を少し高めておくとよいでしょう。一方で、浅い調整で終わり株価が爆上げする可能性もありますので、機会損失をしないためにも優良銘柄をガチホしつつ、NISAを活用したインデックス投資などは継続していきましょう。
〈構成・西脇章太(にげば企画)〉
ライオン兄さ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