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중국 양념소스 시장동향 | ||||||||||||||||||||||||||||||||||||||||||||||||||||||||||||||||||||||||||||
---|---|---|---|---|---|---|---|---|---|---|---|---|---|---|---|---|---|---|---|---|---|---|---|---|---|---|---|---|---|---|---|---|---|---|---|---|---|---|---|---|---|---|---|---|---|---|---|---|---|---|---|---|---|---|---|---|---|---|---|---|---|---|---|---|---|---|---|---|---|---|---|---|---|---|---|---|---|
작성일 | 2014-11-17 | 국가 | 중국 | 작성자 | 김성애(베이징무역관) | ||||||||||||||||||||||||||||||||||||||||||||||||||||||||||||||||||||||||
품목 | 소스와 소스용 조제품, 혼합조미료, 겨자의 고운 가루ㆍ거친 가루와 조제한 겨자 | ||||||||||||||||||||||||||||||||||||||||||||||||||||||||||||||||||||||||||||
품목코드 | 2103 | ||||||||||||||||||||||||||||||||||||||||||||||||||||||||||||||||||||||||||||
--> -->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중국 양념소스를 포함한 조미료 시장규모는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 2011년 570억 위안대의 규모에서 2012년에는 600억 위안을 넘어 2013년에는 687억100만 위안으로 즉, 700억에 육박하는 규모를 자랑함. - 성장률도 안정적, 2011년과 2012년에는 9%이상, 2013년에는 7.38%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음.
중국 조미료(양념소스 포함)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억 위안, %)
자료원: 중상정보망(中商情報網)
□ 시장전망
○ 중국 양념소스 시장뿐만 아니라 전반 조미료 시장은 계속해 안정적인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중국에는 민이식위천(民以食爲天), 즉 ‘백성은 먹는 것을 하늘로 섬기다’는 의미의 말이 2000여 년간 전해져오고 있음. - 그만큼 중국 사람은 ‘먹고 사는 문제’에 민감하며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배불리 먹는 것에서 맛있게 먹는 것이 더 중요시되고 있음. - 1990년대부터 2013년까지 중국인 가처분소득을 살펴보면 1인당 연 가처분소득이 1510위안에서 2013년에는 2만7000위안으로 증가해 중국인의 생활수준이 놀라운 속도로 증가됐음을 보여줌. - 식품 소비액은 1990년에는 700위안이었지만 5년 후인 1995년에는 1772위안, 2000년대에 진입하면서 2000위안에 육박하면서 2013년에는 6300위안으로 1990년의 9배로 증가함. - 따라서 중국인의 음식을 ‘맛있게’ 가미해주는 조미료도 시장규모를 확대해 갈 것으로 전망
중국인 1인당 가처분 소득과 식소비액 추이 자료원: 중국 통계연감(2014), KOTRA 베이징 무역관 정리
○ 무역관 전망 - 과거, 중국인의 음식을 가미해주는 조미료는 간장, 식초, 설탕 등에 그쳤음. - 그러나 최근 생활패턴의 변화, 생활 속에서 ‘간편함’과 ‘신속함’을 추구하는 중국인의 ‘게을러지는’ 추세로 보다 간편하면서 생활수준 향상에 도움이 되는 상품이 중국시장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 - 또 인스턴트식품이 건강하지 않다는 이유로 ‘홈 메이드’를 선호하는 젊은층에게 간단한 ‘홈메이드’ 요리가 가능하도록 양념소스를 포함한 조미료가 ‘해결사’ 역할을 톡톡히 하므로 계속해 호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 양념소스의 주요 소비자 계층은 아주 광범위, 요리에 취미가 없는 소비자도 간편한 요리를 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므로 다양한 맛에 따라 다양한 소비계층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특히 최근 중국의 다양한 도시생활 속에서 건강요리, 건강식습관을 선호하는 젊은층에게 인기를 끌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소비자 구매 동기 - 중국 소비자가 양념소스를 찾는 이유는 주로 간편함, ‘손맛’이 없더라도 ‘맛’을 보장하는 ‘양념소스’의 작용에 대한 선호도 - 안전하고 신선한 식자재를 스스로 구입해 양념소스의 ‘도움’으로 건강식을 만들 수 있음.
□ 수입동향
○ 2013년 중국 양념소스의 총수입량은 1억 달러를 초과 - 2012년 소폭 하락했다가 2013년 다시 7.8% 상승 -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점유율도 2011년 7.1%에서 2013년 12.5%로 급등 - 또 평균 성장률 7.8%를 훨씬 초월한 29.4%의 성장률을 보이며 안정적인 수입세를 유지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중국 양념소스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2103 기준) (단위: US$ 천, %) 주: 순위는 2013년 기준임.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 규제 제도
○ 규제내용 - 중국 식품위생법(食品安全法) 규정에 따라 수입 식품 등의 통관 수속 전에 중국수출입상품검사기구(中國出入境檢驗檢疫機構)에서 위생감독 및 검역(CIQ 검사)을 진행하며 합격한 후 출입국검험검역위생증서(出入境檢驗檢疫衛生證)를 발급하는데 세관은 이 증서를 근거로 수입을 허가함. - 통관 시 반드시 위생검사를 진행해야 하고 합격 후 위생검사합격을 근거로 수입을 허가하며 위생증서를 발급 받아야만 중국 내 판매가 가능함. - 위생증서는 한 번 수출하는 화물에 해당되며 다음번 수출 시 반드시 새로 위생증서를 발급받아야 함. - 식품 수출 전 중문라벨 신청과 해외식품수출기업 사전등록을 하지 않으면 수출 불가
○ 필수 인증 - 양념소스 등 조미료를 수입하면서 품질증명서, 원산지 증명서, 안전위생, 농약 및 식품첨가제 사용상황 증명서 등을 제출해야 함. - 상품포장지에는 라벨 첨부가 필수이며 라벨내용은 ‘식품라벨통요기준(食品標簽通用標準)’(GB7718-94) 규정에 부합돼야 함.
□ 관세율
자료원: 중국세관수출입세칙
□ 주요 유통채널
○ 중국 양념소스의 주요 유통 채널은 대형마트와 인터넷 쇼핑몰 - 일반적으로 중국의 양념소스를 포함한 조미료는 주로 대형마트, 편의점, 일반 슈퍼에서 판매됨. - 최근 중국 소비품의 유통채널이 급격히 변화되고 있으므로 대형마트뿐만 아니라 상품 비교와 배송이 가능하고 수입상품까지 자유롭게 구입할 수 있는 징둥(京東), 1호점(1號店) 등의 인터넷 쇼핑몰이 대인기
○ 이 외 수입산 양념소스, 특히 한국, 일본, 유럽 등 지역에서 수입하는 상품은 전문매장에서 판매되고 있음. - 유기농 식품을 원료로 제작하고 ‘웰빙’, ‘건강’ 등 트렌드에 부응해 소비자를 매료시킴. - 일부 상품은 맛의 특수성 등의 원인으로 전문 요리사의 사랑도 받고 있음.
3. 경쟁동향
□ 경쟁제품 주요 경쟁제품 현황
자료원: 1호점(1號店) 등 종합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 중국 양념소스 소비자는 아직 한국 상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 - 이는 주로 한국 양념소스는 한국인의 입맛에 맞고 한식요리에만 주로 사용되는 데에서 비롯됨.
○ 선호 브랜드 - 또 중국인의 입맛은 남방과 북방의 차이가 크고 지역특색이 있는 향토음식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 - 중국 지역마다 지방색이 강한 음식과 맛을 가지고 있는 만큼 해당 지역에서 오랜 기간 발전해 온 브랜드에 대한 애착이 강함.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한국 식품의 안전성, 맛, 이미지 등은 바이어의 이목을 끌고 있지만 안정적인 물류의 한계성 등으로 난항을 겪고 있음. - 중국인은 지역마다 5가지 맛, 즉 신맛, 단맛, 쓴맛, 매운 맛, 짠 맛에 대한 선호도가 상이함. - 지역 음식의 특색, 이미지, 마케팅 전략에서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 중국 소비층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전략적 진출방안을 제정할 필요가 있음. - 한식의 맛을 중국인에게 알리는 것도 좋지만 중국의 향토음식, 지방색 등을 충분히 살려 중국 소비자의 관심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음.
□ 마케팅 방안 및 타깃고객층
○ 상품 품질을 우선시하고 건강, 유행 등의 요소를 감안해 다양한 소비층의 다양한 소비수요를 만족시키는 마케팅 전략을 출시할 필요성이 있음. - 식품안전 면에서 한국 상품은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강조해 건강이 강조되고 있는 현재 중국의 소비트렌드를 감안할 필요가 있음. - 한류의 영향으로 ‘한식의 미’도 중국 대륙에 널리 알려져 있음. 이러한 트렌드에 맞추어 다양한 상품개발과 홍보가 필요함. - ‘완성품’보다 음식의 맛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 해주고 다양성을 보장하며 감칠맛을 더해주는 한국 양념소스의 ‘보조적 기능’을 강조하면 현지시장 진출에 유리할 것으로 전망 - 중국의 다양한 소비층을 위해 다양한 가격대의 상품으로 시장점유율을 제고할 수 있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