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차례>
제1장 매헌공의 삶과 발자취
가. 시대적 배경 1
1) 매헌공 겸익 1
2) 임진왜란 3
3) 일본사회 6
4) 성씨제도 8
5) 경제와 계몽사상 9
6) 명치유신과 정한론(征韓論) 11
7) 웅상(熊上)의 기원 16
8) 우화현(于火縣)과 우풍현(虞風縣) 19
9) 고려시대(高麗時代) 흥려부(興麗府) 설치 19
10) 학성(鶴城)과 울산(山) 그리고 웅상(熊上) 27
11) 조선시대(朝鮮時代)에서의 울산군(蔚山郡)과 웅상 29
12) 조선시대 행정구역 변천과정 30
나. 매헌공 성장기 35
1) 매헌공의 출생지 35
2) 매헌공 생애 36
다. 매헌공 후손 세거지 38
1) 매헌공이 태어나 자란 주남마을 38
2) 덕계리(德溪里) 45
3) 대대리(大垈里) 53
4) 초천마을 유래 75
5) 석천리(石川里) 마을 85
가) 석천마을 85
나) 석천마을 유래 87
다) 근제공 고택 88
라) 이씨와 국풍(國風) 이야기 92
마) 붕어형 집터 94
바) 김씨(金氏) 솥 이야기 94
사) 석천리 지명 소개 94
6) 명동마을 102
7) 회야강(回夜江) 114
8) 천성산(千聖山) 116
가) 지형 116
나) 원효대사의 성지인 미타암 117
다) 千聖山傳說 120
라) 청성산 원효대사 민담 122
마) 금수굴(金水窟) 125
바) 원적봉(圓寂峰) 126
사) 우불신사(于弗神祠) 127
라. 매헌공의 생활 129
1) 매헌공(겸익) 할아버지 발자취 129
가) 매헌공과 회야강의 세 여인 129
나) 人生旅程(인생여정) 133
다) 회야강의 두 형제 134
라) 원적산에 핀 매화꽃 135
마) 매헌공할배의 일화 136
2) 반계마을 137
가) 반계(盤奚) 137
나) 반계마을 지명 소개 137
3) 괴천(槐川)마을 141
가) 고야마을 141
나) 고야마을 지명소개 142
4) 연답(蓮沓)마을 144
5) 체화당(棣華堂) 145
6) ‘죽오일기’를 통해 본 조선 후기 양산의 풍경 146
마. 매헌공의 비석 156
1) 매헌공 비석 156
2) 梅軒鶴城李公 墓碣銘 幷序 159
3) 매헌 이겸익 묘비(梅軒 李謙益 墓碑) 164
4) 가장(家狀) 168
5) 행장(行狀) 170
6) 매헌공 묘비 건립 과정 173
바. 7세 강성 문씨 176
1) 강성문씨 비문 177
2) 강성문씨(江文氏) 유래 179
3) 문씨 할매 친정 강성(남평)문씨 마을 180
사. 일직손씨 할매 친정마을 185
1) 일직손씨 시복(諟復) 묘비문 185
2) 시복 비석건립 고유문 187
3) 무원록발(無冤錄跋) 190
4) 손씨 할매 친정 마을 위치 191
제2장 매헌공 문중의 종적(宗蹟)
5세 종적(宗跡) 193
5세 변림(變林, 生卒年未詳) 193
6세 종적(宗跡) 196
6세 우춘(遇春, 1530.03.27.~1579.12.23) 196
7세 겸수(謙受, 1555.3.22.~1598.4.15.) 204
7세 겸익(謙益, 1575.1.29.~1645) 207
-. 부채 예장지에 대한 유례 216
8세 종적 218
8세 창발(昌發, 1599.3.23.-1653.8.15.) 55세 219
8세 융발(隆發) 219
8세 정원(廷元) 220
8세 정헌(廷憲, 1629.11.13.-1676.4.18.) 덕계 220
8世 정의(庭義, 1631~1698) 대여 220
8世 정례(庭禮, 1633~1687) 석천 221
8世 정지(庭智, 1636~1686) 초천 222
8세 정신(廷信, 1638.2.16.-1699.4.11.) 명곡 222
9세 종적(宗跡) 222
9세 필성(1635.3.15.-1696.4.13.) 62세 222
9世 문욱(文郁, 1658~1737) 225
9世 문옹(文翁, 1676~1755) 226
9世 문구(文耈, 1672~1721) 226
10世 시탄(時坦, 1692~1727) 227
10世 시윤(時潤, 1707~1786) 227
10세 시태(時泰), (1681.3.4.-1729.6.20.) 49세 227
11世 의채(宜埰, 1706~1776) 228
11세 의권(宜權, 1721~1753) 228
11世 의창(宜昌, 1725~1781) 228
11세 몽상(夢祥), (1707.5.1.-1778.6.16) 72세 229
12世 양오(養吾, 1737~1811) 237
12世 근오(覲吾, 1760~1834) 246
12世 양오(養吾, 1737~1811) 247
12世 성오(省吾, 1741~1789) 249
12世 근오(覲吾, 1760~1834) 250
13세 효강(孝綱) 252
13세 제강(悌綱) 258
13세 의강(義綱) 264
13世 여당(汝堂, 1705~1776) 271
13世 종적(鍾積, 1771~1848) 272
13世 종일(種馹, 1794~1871) 272
13世 종화(種譁, 1797~1832) 272
14世 정찬, 1826~1902) 273
14世 장찬, 1808~1886) 273
14世 우찬, 1821~1879) 274
14世 규진(奎鎭, 1853~1930) 275
15世 규린(奎麟, 1856~1936) 275
15世 규용(奎龍, 1842~1898) 279
15世 규학(奎學, 1846.5~1897) 279
15世 규현(奎現, 1855~1934) 279
15世 규로(奎魯, 1833~1888) 280
15世 규룡(奎龍, 1842~1898) 280
16世 석진(錫瑨, 1870~1924) 280
16世 상한(1858~1944) 281
16世 석강(錫强) 282
17世 재락(在洛) 282
17世 우락(宇洛) 286
17世 쾌경(快慶) 288
17世 중락(中洛, 1880~1965) 289
17世 후락(厚洛, 1924~2009) 290
18世 유락(有洛, 1921~2006) 291
18世 동설(東卨, 1918~1982) 291
18世 동립(東立) <1909.8.2.~1982.2.17> 292
제3장 매헌공 문중 제실
1. 매헌공 관련 제실 293
가. 매헌정사 293
1) 매헌정사 소개 293
2) 매헌정사 복원 296
3) 매헌정사 복원 송(頌) 299
5) 梅軒精舍 復元記 301
나. 중리문중 회관 305
다. 활천정 306
라. 초산재(椒山齋) 309
마. 안화암(安花庵) 안화재(安花齎) 310
바. 내광재(內光齋)=삼광재(三光齋) 311
사. 육석정(六石亭) 311
아. 반구재 312
자. 석천리 학성이씨 근제공 종택(이씨고가) 314
2. 문중 재실 317
가. 석계서원 317
1) 석계서원 소개 317
2) 석계서원 연혁(石溪書院 沿革) 320
나. 재천정(在川亭), 석천정(石川亭) 340
다. 高山齋와 水使公壇所 344
라. 구강서원(鷗江書院) 347
마. 우모재(寓慕齋) 349
바. 내광재(內光齋) 349
사. 남강서원(南岡祠) 350
아. 남창 3.1운동 기념비 353
자. 충의사 357
3. 문중 재실 위치 360
4. 매헌공 문중 산소 363
가. 문중 향사 일정 363
나. 선조 산소 소개 363
부 록 372
1. 매헌공 세계도 372
가. 강성문씨 세계도 372
나. 삼척심씨 세계도 373
다. 일직손씨 정헌(덕계) 세계도 373
라. 일직손씨 정의(대여) 세계도 374
바. 일직손씨 정지(초천) 세계도 376
사. 일직손씨 정신(명곡) 세계도 377
2. 용사잠록 378
1) 머리글 378
2) 이겸수와 임진왜란 378
3. 선조들의 교육 변천 381
가. 우시산국시대 381
나. 신라시대 383
다. 고려시대의 지방교육과 사학의 발전 385
라. 조선시대 교육과 웅촌지역 사학 386
마. 매한공 문중회 창립 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