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조경종(尊祖敬宗)조상을 높이고 공경한다는 뜻
국가기관의 장을 지낸 고급 공무원 출신인 70대가 최근에 자기 친구에게
조상 산소를 다 파서 화장해서 강물에 뿌려 버려야겠다 고 했다.
그 친구가 왜 그렇게 하려고 하느냐고 하니까? 해마다 제사 묘사 등이 부담이 되어서 그렇다고 했다.
또 한 사람은 역사 교사를 하다가 대도시의 공립고등학교 교장을 지낸 분이 제사 때문에 귀찮아서
못 살겠다라고 짜증을 냈다.
위의 두 사람은 최고의 지식층이라 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자기 조상에 대한 생각이 이러니 일반
사람들은 어떠할지 가히 짐작할 수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세계 어느 나라에 못지않는 전통 족보(族譜)를 잘 정리해온 민족입니다.
족보가 위조가 있는 등 약간의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자기의 혈통과 출신을 알려주는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자신의 역사인 동시에 한 집안의 역사이고 타향에서 같은 성(姓)을 가진 사람을 만나서 몇 마디만 나누어 보면
어느 할아버지의 자손이고 어디서 갈라져 나왔으며 자기와 몇 촌 간인지 알 수 있습니다.
우리와 아주 가까이 있고 문화적으로 많은 교류가 있었던 중국 사람들도 우리 만큼 족보를 중시하지 않았습니다.
촌수(寸數)라는 말 자체가 없습니다.
삼촌 사촌 하면 중국 사람들은 무슨 말인지 모름니다.
촌수에 대해서 역사를 전공하는 중국 교수에게 설명해 주었더니 아주 훌륭하고 편리한 호칭법이라고 찬탄한 적이 있었다.
자신의조상 5대조 이상만 올라가면 잘 모르고 할아버지 존함도 모름니다.
중국의 교수들 가운데 자신의 조상을 모르는 사람을 여럿 보았습니다.
1981년 겨울 독일의 세계적인 사회학자 보르노 박사가 우리나라를 방문하였다.
돌아가기 직전에 기자회견을 가졌는데 우리나라 기자가 앞으로 한국이 어떻게 하면 잘 되겠습니까? 라고 물어보자
보르노 박사는 한국은 다른 것은 할 것 없고 지금껏 해온 것처럼 한국인의 족보를 잘 지켜나가면 됩니다라고 했다.
대한민국 기자들은 전혀 예상 밖의 답을 듣고 어리둥절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사람이 별로 중시하지 않거나 혹은 낡은 제도로 여기는 족보를 서양의 세계적인 학자가 왜 그렇게 칭찬을 했을까?
서양학자가 보기에 국가와 사회와 가정의 질서를 잡아주고 개인을 도덕적으로 바른 길로 인도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족보의 기능을 매우 높게 평가로 보았던 것 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어떤 말이나 행동을 할 때 자기의 조상을 생각하고 자기의 후손을 생각합니다.
내가 이런 언행을 하면 조상님들에게 욕이 되지 않을까?
먼 훗날 나의 후손들에게 누가 되지 않을까라고 그러니 말 한 마디 발 한 걸음 옮길 때도 신중히 하고
한 번 더 생각하고 돌아봤습니다.
그러나 서양 사람들에게는 이런 관념이 없습니다.
오늘날 범죄자가 증가하고 사회가 혼란한 것은 가정에서의 교육이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학교가 책임지지 않는다고 나무라는 사람이 있지만 학교가 교육하고 책임지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사람의 근본은 가정에서 이루어집니다.
보통 남을 욕할 때 누구 자식인지 참 못됐다고 하지요.
누구 집 자식인지 본데없다 라고 하지요.
어느 집안 자식(손)인지 참 못됐다 라고는 하지 않습니다.
족보를 만들어 자기가 누구의 후손이고 누구의 자식인지 그 사람의 위치를 확인시켜 주면 사람이 함부로 처신하지
못합니다.
또 옛날에는 대부분 동족 마을을 이루어 살았기 때문에 동네 안에서 문 밖에 나가도 모두가 할아버지 아재 형님 동생 조카
관계이기 때문에 감히 함부로 하면서 살 수가 없었지요.
훌륭한 조상이 있으면 그 행적을 새긴 비석속의 비문 글을 새기고 학문이나 덕행이 뛰어난 조상은 후손들이
유림들과 협력하여 서원을 지어 제사를 지냈습니다.
이런 것은 단순히 조상을 자랑하려는 것이 아니고 훌륭한 조상을 교육의 자료로 활용하여 후손들을
바른 길로 인도하려는 것 입니다.
조상을 다 버리고 도시에 나와서 문 밖에만 나가면 어디 출신이고 누구 집 자식인지 모르는 상황에서는
쉽게 범죄행위를 할 수 있고 언행을 함부로 하기 쉽습니다.
조상을 존경하고 높이는 좋은 전통이 너무 빨리 무너지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좋은 전통마저 다 버리는 것이 발전이고 개혁이라면 큰 착각입니다.
인간은 살아있는 동안 가족의 틀속에서 살아가는 것 입니다.
교육은 가정교육이 근본이되어야합니다.
가화만사성은 모든 사랑의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가정안에 사랑이 없다면 어떻게 이웃을 사랑할 수 있으랴!
가족이란 삶을 지켜주는 단단한 버팀목임을 젊어서는 몰랐습니다.
자신의 조상을 기리는 풍습은 우리민족의 자랑입니다.
대한민국의 문화 족보를 자랑서럽게 세계문화임을 젊은이(후손)에게 뿌리를 알려서 길이 길이 빛내 주기바랍니다.
나는 누구인가를 깊이 생각하면 삶에 답이 나옴니다.
박사(博士)가 넘쳐나는 세상 엷븐 박사(博士)보다 두터울 박사(博士)가 되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