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 胡 十 六 國 時 代
後 燕 王 朝 世 家
後燕(후연 AD. 384∽AD. 407 鮮卑族(선비족) 위치 중국 화북 성: 慕容(모용)
代數 | 在位期間 | 位 | 姓名 | 關係 | 首都 | 現地名 |
| AD. 384∽AD. 386 | 燕王(연왕) | 慕容垂(모용수) |
| 中山(중산) | 河北省 定縣 |
제 1대 | AD. 386∽AD. 396 | 成武皇帝(성무황제) | 慕容垂(모용수) |
|
| 하북성 정현 |
제 2대 | AD. 396∽AD. 398 | 惠愍皇帝(혜민황제) | 慕容寶(모용보) | 모용수의 넷째 |
|
|
제 3대 | AD. 398 | 昌黎王(창려왕) | 蘭汗(난한) | 모용보의 외숙부 |
|
|
제 4대 | AD. 398∽AD. 401 | 昭武皇帝(소무황제) | 慕容盛(모용성) | 모용보의 서장자 |
|
|
제 5대 | AD. 401∽AD. 407 | 昭文皇帝(소문황제) | 慕容熙(모용희) | 모용수의 막내 |
|
|
前燕 황제 모용황의 다섯째 아들이며, 전연 최후의 황제인 모용위의 숙부인 모용수가 부흥시킨 나라이다. 문무에 뛰어난 모용수는 384년 연왕이라 칭하고 중산에 도읍을 정하였다. 이후 황제를 칭하면서 같은 모 용씨 국가인 서연을 멸망시키고 산동을 얻는 등 강자에 오르면서, 394년 북위를 공격하였으나 參合陂(삼 합피 大同부근)에서 대패하여 모용수는 분사하고 북위군에게 중산이 함락되어 괴멸하였다.
제 1대 성무황제(AD. 326∽AD. 396)
모친은 段氏(단씨)이며, 부인도 단씨였는데 慕容儁(모용준. 모용황의 둘째아들 전연의 2대 황제)의 황후인 可足渾氏(가족혼시)와 불화가 있어 누명을 쓰고 죽었다. 황후는 동생을 모용수의 부인으로 삼았으나 사이 가 좋지않아 모용수를 더욱 미워하였다. 369년 東晉의 桓溫(동진의 환온)이 북벌군을 일으켜 전연을 처 들어오자 모용수는 북벌군을 물리치는 1등 공신이 되었지만 모용수의 세력을 두려워한 慕容評(모용평)과 태후는 모용수의 암살을 모의하였으며 이 소식을 들은 모용수는 전연을 탈출하여 前秦(전진)으로 망명하 였다. 우여곡절 끝에 그 후 연왕에 즉위하였다.
제 2대 혜민황제(AD. 355∽AD. 398
모용수의 넷째 아들로 모친은 段氏(단씨)이다. 모용수의 사망으로 396년 즉위하였다.
황제에 즉위한 모용보는 배다른 동생인 慕容隆(모용륭). 慕容農(모용농) 등의 보좌를 받으며 치세를 시작 하였다. 즉위하자마자 호구조사와 개혁을 실시하여 민심을 잃었으며 11세의 어린 아들 慕容策(모용책)을
태자로 삼아 후계자 분쟁의 원인을 만들었다. 8월에 북위가 침공을 개시하여 화북일대를 석권하자 모용 보는 중상. 업 신도 등의 거점을 중심으로 농성을 시작하였다. 397년에 탁발규가 신도를 함락하자 모용 보는 반격을 개시하여 북위군과 호타수에서 맞붙었으나 대패하여 다시 중산에서 농성하였다. 3월에 대장 군 慕容麟(모용린)이 모용보를 죽이고 황위를 찬탈하려다가 실패하고 도주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이에 모 용보는 龍城(용성)으로 천도하였다. 용성으로 이동도중 서장자 慕容會(모용회)가 모반을 일으켜 모용룡이 죽고 모용보와 모용농은 용성으로 도망쳤다. 반란군을 이끌던 당숙 난한이 모용보를 살해하였다.
제 3대 창려왕(AD. ?∽AD. 398)
왕실의 외척이다. 398년 중신들의 반대에도 혜민 황제가 북위에게 빼앗긴 영토를 되찾기 위해 남하하다 가 乙連(을련)이란 곳에서 段速骨(단속골)이라 자가 반란을 일으켜 다시 용성으로 돌아가야 했다.
난한은 사실 단속골과 한패였고, 용성으로 돌아온 난한은 혜민제와 그의 태자인 慕容策(모용책)을 시해하 고 자신을 창려왕이라 칭한 후 제위에 오른다. 자신의 사위인 모용성이 정변을 일으키면서 난한과 그 일 족은 처참히 목숨을 잃었고 이 후 모용성이 제위에 오른다.
제 4대 소무황제(AD. 373∽AD. 401)
모용보의 서장자로 모친은 정씨이며 침착하고 민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난한을 살해하고 장락왕인 상태에서 정권을 장악하고 후연을 부흥했다. 그러나 후연은 이미 遼東(요동)과 遼西(요서)만을 지배하는 약소국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모용성은 10월에 정식으로 황제라 일컬으며 국력 부흥을 도모했지만 실현되지 않았고 401년 모용성이 금군의 반란에 의해 살해되고 숙부이며, 모용수의 막내 아들인 慕容熙(모용희)가 태후 정씨에 영입되어 천왕에 즉위하였다.
제 5대 소문황제(AD. 385∽AD.407)
모용희는 모용수의 아들로 모친은 귀빈 단씨이다. 401년 반란에 의해 모용성이 죽자 군주로 즉위하였다.
후연은 북위의 압력과 무모한 고구려의와 契丹(계단. 거란)의 원정으로 국력을 소모하고 게다가 406년에 는 요동에 고구려가 진출했기 때문에 후연의 지배영역은 불과 용성 주변의 요서에 한정되어 버렸다.
그리고 407년 모용희가 한인 중위장군 馮跋(풍발)에게 살해당하고 후연은 멸망하였다.
사료 출처
司馬光(사마광)의 資治通鑑(자치통감)과 三崎良章(삼기양장)의 五胡十六國(오호십육국)과 인터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