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도 잘 먹여서 달래서 보내면 기뻐한다.
마귀야 물러가라 식으로 깡다구 부리면 겁살 맞는 수가 있지요
쟁이 들이 겁살 많이 맞지요.
▸영혼을 어떻게 교육하나? [영가(靈駕)]
인생교육이란 학교에서 단순히 가르치는 것이라기보다는 평생교육의 차원인 다양성 교육이라 봅니다.
종교적 차원에서 본다면 영혼(靈魂)이나 혼(魂) 령(靈) 신(神) 귀신(鬼神) 천신 지신 하느님 등의 차원이 다른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불교에서는 영혼 귀신 등을 영가(靈駕)라고 부릅니다.
영가의 가(駕)는 짐을 지는 <멍에>를 뜻합니다.
업(業)의 멍에를 짊어졌기 때문에 영가(靈駕)라 합니다.
불교에서는 전생이나 현생 내생을 과거 현재 미래로 나누어 삼세(三世)라고 합니다.
이 삼세(三世)를 통하여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의 삼계(三界)로 돌고 도는 것을 윤회(輪廻)라고 합니다.
삼세(三世)와 삼계(三界)에서 삼(三)을 빼면 세계(世界)가 됩니다.
이 세계를 돌고 돌며 인연 있는 곳에서 만나고 태어나고 죽게 되지요.
임신을 잘 하게끔 어머니가 아이를 갖기 전에 몸가짐이나 마음가짐을 바르게 하는 것이 입태교육(入胎敎育)이요.
임신기간의 몸과 마음가짐을 잘 하는 것이 태아교육(胎兒敎育).
출산하여 어린 아기를 잘 키우는 것이 육아교육(育兒敎育),
학교에 들어가기 전 유아교육(幼兒敎育). 유치원교육(幼稚園) 학교교육(學校敎育)이 있습니다.
영혼교육(靈魂敎育) 영가교육은 사후교육(死後敎育)입니다.
이것을 불교에서는 천도(薦度)라고 합니다.
천도재(薦度齋)의 재(齋)는 제사(祭祀)의 제(祭)가 아닙니다.
재(齋)는 가지런하다. 엄숙하다. 세심(洗心)하다. 보내다. 지니다. 의 여러 뜻이 있습니다.
천도(薦度)는 부처님의 말씀을 통하여 법답게 천상(天上)이나 극락으로 천거한다는 뜻입니다.
육신이 없는 의식(意識)의 덩어리,
쉽게 말해서 영혼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영혼교육은 힘들지요,
육신을 통한 시청각(視聽覺)교육도 힘든데, 의식(意識)을 교육시키는 것이 얼마나 힘들까요?
그래서 천도재를 통하여 영혼 영가의 의식을 정화(淨化)를 자주하는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
무명(無明)의 의식(意識)이 부처님의 광명으로 의식(意識)이 정화(淨化)되는 것입니다.
기억도 오래가면 잊어버리는 것과 같이,
영혼이라는 의식도 훈습(熏習)에 의한 업력(業力) 때문에 악도(惡道)에서 벗어나기 어렵고, 천상에서 금방 떨어집니다.
그래서 부처님 말씀을 매일 반복해서 읽고 외우며 훈습(熏習)이 되게끔 하는 것입니다.
반복적(反復的)교육이ㅡ 익숙하게 합니다.
흙탕물도 거르고 거르면 맑아지듯이
<지금> 이 순간순간 좋은 습관을 익숙하게 연습합니다.
ㅡ ㅡ ㅡ
건강하고 행복하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