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허사상 한국학을 말하다.
19회 유교와 불교의 회통 2 – 10
마지막으로 書經(서경)입니다.
書經은 그냥 그 많은 중국의 역사에 관련된 얘기인데요.
가장 중요한 것이 精一執中(정1집중)이라고 그럽니다.
精一執中이라는 말은 어디서 나왔느냐?
[하ㆍ은ㆍ주. 3대의 요ㆍ순ㆍ우 임금이 서로]
전수한 마음 心法(심법)이 있습니다. 뭐냐?
[惟精惟一(유정유1), 允執厥中(윤집궐중)]을 줄여서,
精一執中이라고 하는 것이지요. ←이것은 “마음을 어떻게 써야 되느냐?
국가를 다스리는, 천하를 다스리는 황제 임금이 어떻게 마음을 다스려야
될 것이냐? 아주 정밀하게 쓰고(精), 한 생각을 전일하게 해서(一),
그 다음에 允執厥中 = 진실로 그 가운데를 잡아라.”
나라를 다스리려면 한 쪽만 치우쳐서 할 수 없지 않겠습니까?
한 쪽만 치우칠 수 없으니까 중도를 취해야 되는데요.
그렇게 중도를 취할 때,
‘마음을 전일하게 집중한 상태에서, 딱 가지고 있다가 어떤 상황이 다
벌어졌을 때 진실로 그 中을 잡아라.’ 라고 하는 것입니다.
요임금ㆍ순 임금ㆍ우 임금이 서로 전수한 心法이랍니다.
書經에는 많은 역사얘기들이 나오지만, 이 내용이 서경에서 핵심입니다.
[서경의 대우모에는 “인심은 위태롭고 도심은 은미하니 오직
정밀하게 하고, 한결같이 하여야 진실로 그 中을 잡을 것이다.” 라는
구절이 惟精惟一, 允執厥中에 나오는데,이것이 바로 옛 성인들이
천하를 다스리는 법을 전수해준 心法이었던것이다.
이 원리는 동양 정치사상의 핵심을 이루는 것으로, 탄허스님은 미래
에는 이 사상으로 서양 정치사상의 대안을 찾아야한다.]
고 하셨습니다.
동양의 정치사상은요?
마키아벨리의 君主論(군주론)같은 그런 패턴이 아니라는 겁니다.
‘다스리는 사람이 마음을 중도로써 써야 된다.’ 그 다음에
‘精一 執中해야 된다.’ 하나로 集中해서,
말하자면 마음을 一心으로 잘 모아서, 바른 마음을 가지고 리더들이
정치를 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권모술수같은 것을 쓰면 안 된다는
것이지요.
탄허스님은
“앞으로 서양의 정치사상 때문에 세상이 많이 시끄러워질
것이다. 결국 그 대안이 되는 것은 빙~~ 돌아가서 우월한
것처럼 보일지 모르나, 동양의 정치사상. 서경에 나와 있는
이러한 정치사상이 앞으로 대두 되게 될 것이다.
다시금 옛 것을 익히는 것으로 돌아가게 될 것이다.”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우리 불교는 治世(치세).
세상 다스리는 얘기는 많이 하지 않지 않습니까?
유교가 가장 강한 治世입니다. 어떻게 세상을 다스리고,
엇잡히 리더들은 있어야 되고, 빈부 격차도 있게 될 수 밖에 없는 상황
인데요. 이럴 때는 ‘어떻게 允執厥中할 것이냐?
중도를 어떻게 잡을 거냐?’ ←이것이 굉장히 중요하다는 겁니다.
북경의 자금성에 황제가 있었던 방에 보면요?
정각에 允執厥中이라고 딱 써놨습니다. ←이러한 것은 지나간 것이지만,
‘성인의 가르침을 우리 인간들이 영원토록 믿고 따라야 될 부분이다.’ 라고
제시해 주는 것이 탄허스님의 유교의 회통이고, 동양 정치사상이라고 하는
그런 부분으로 활용해야 된다는 말씀이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해서 간단하게 4서 3경 가운데 대학ㆍ중용ㆍ시경ㆍ서경
까지를 이 짧은 시간내에 핵심만 요약해서 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했습니
다. 다음 시간에는 노자 도덕경과 불교의 회통이라는 내용을 가지고 여러
분과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이것으로 마치겠습니다.
첫댓글 _()()()_
고맙습니다._()()()_
고맙습니다.
나무 대방광 불 화엄경
_()()()_
_()()()_
고맙습니다 _()()()_
고맙습니다. _()()()_
나무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
'精一執中' .. 堯 임금, 舜 임금, 禹 임금이
천하를 다스리는 법을 서로 전수한 心法
고맙습니다 _()()()_
精一集中. 리더들이 권모술수가 아닌 바른 마음을 一心으로 잘 모아 中으로 잡아서 정치를 해야한다.
우리나라 정치인들이 좀 익히고 실천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_()()()_
執이냐 集이냐 그것이 문제로다.ㅎㅎㅎㅎㅎㅎ
저도 보살님처럼 "精一集中"이라고 썼었어요.
그런데 일진화 보살님의 댓글을 읽는 순간 '앗' 했습니다.
문광스님이 작성하신 팜플렛대로 "執" 으로 수정했습니다.
執中 = 中을 잡을 것이다.
精一 執中...고맙습니다 _()()()_
文光스님 - 韓國學(呑虛思想) - 19-2-10. 儒佛와 佛敎의 會通.
고맙습니다 _()()()_
고맙습니다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