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머타임(일광절약시간)
사주명리학에서 시(時)를 구분하는데 혼동하기 쉬운 것이 바로 서머타임(일광절약시간)이다. 이 서머타임은 정치적·사회적 상황에 따라 인위적으로 시간을 변경시켰던 것이므로, 조정해서 보아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
서머타임(summer time)은 일출부터 일몰까지 낮 시간이 긴 여름철에 표준시보다 1시간씩 시간을 앞당겨서 일광시간 동안의 활동을 늘리는 제도로서(1시간 앞당겨 시행, 0시→1시), 일광절약시간(daylight saving time)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서머타임 실시기간 중에는 0시를 1시로 앞당겨 맞춰 놓음으로써 한 시간 일찍 낮의 활동을 시작해서 여름에 긴 낮 시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자는 것이다.
한국에서도 낮 시간을 최대한 능률적으로 활용한다는 취지로 1948년부터 서머타임을 실시했으나, 군(軍)과 기타 방면과의 연락상 혼선이 생긴다는 이유로 한국전쟁 기간 중에는 한차례만 실시하였다.
휴전 후 다시 실시했으나 한국인의 생리에 맞지 않아 서머타임에 반대하는 국민 여론이 압도적이었고 국제적인 시간 계산에도 불편하다는 점이 지적되면서 1961년 서머타임을 폐지하였다.
그러다가 88서울올림픽을 앞두고 미국 방송사와 중계료 협상에 유리하다는 이유로 1987년과 1988년 2년 동안 5월 둘째 주 일요일부터 10월 둘째 주 일요일까지 서머타임을 적용했다.
서머타임 실시기간 중에는 표준시를 1시간씩 앞당긴다. 곧 0시를 1시로 시곗바늘을 앞당겨 놓고 생활하는 것이다.
■ 서머타임 실시기간
지금까지 한국의 서머타임 실시기간은 다음과 같다. 이 기간 중에는 표준시를 1시각씩 앞당긴다. 즉 0시를 1시로 시곗바늘을 앞당겨 놓고 생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서머타임 실시기간 중에 출생한 경우에는 1시간을 빼줘야 실제 출생 시간이 된다.
1948년 6월 1일 0시 ~ 9월 12일 24시
1949년 4월 3일 0시 ~ 9월 10일 24시
1950년 4월 1일 0시 ~ 9월 9일 24시
1951년 5월 6일 0시 ~ 9월 8일 24시
1954.03.21. ~ 1961.08.09 : 동경 127° 30′기준 적용(한국 기준시)
1955년 5월 5일 0시 ~ 9월 8일 24시
1956년 5월 20일 0시 ~ 9월 29일 24시
1957년 5월 5일 0시 ~ 9월 21일 24시
1958년 5월 4일 0시 ~ 9월 20일 24시
1959년 5월 3일 0시 ~ 9월 19일 24시
1960년 5월 1일 0시 ~ 9월 17일 24시
1961.08.10 ~ 현재 : 동경 135° 기준 적용
1987년 5월 10일 2시 ~ 10월 11일 3시
1988년 5월 8일 2시 ~ 10월 9일 3시
Ex) 한국 기준시 적용기간의 경우(1시간을 빼준다)
1956년 5월 30일 오후 1시 10분에 출생했다면 실제 생시는 낮 12시 10분이므로 未시가 아니라 午시가 된다.
1960년 8월 9일 저녁 9시 30분에 출생했다면 실제 생시는 저녁 8시 30분이므로 亥시가 아니라 戌시이다.
☞ 1시간을 빼줘야 실제 출생 시각이 된다.
Ex) 일본 기준시 적용기간의 경우(1시간 30분을 빼준다)
1987년 5월 30일 오후 1시 10분에 출생했다면 실제 생시는 오전 11시 40분이고 午시가 된다.
1987년 5월 30일 오후 2시 10분에 출생했다면(일본표준시 적용기간) 실제 생시는 낮 12시 40분이므로 未시가 아니라 午시가 된다.
☞ 1시간 30분을 빼줘야 실제 출생 시각이 된다.
미국과 캐나다의 대부분 지역과 대부분 유럽 국가들이 서머타임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 국가 출생 사람들의 경우도 서머타임 적용 여부를 세밀하게 잘 판단해서 사주를 뽑아야 사주를 해석하는데 오류가 없다.
첫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