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젓가락은 중국과 일본의 나무젓가락과는 달리 쇠젓가락입니다.
반도의 특성이어서인지 일본의 것보다는 길고 중국의 것 보다는 짧습니다.
밥상문화라서 굳이 젓가락이 길 필요가 없어서 젓가락이 짧은 편이고
국문화가 발달했는데 나무젓가락은 국물에 젖어서 비위생적일수 있기때문에 주로 쇠젓가락을 씁니다
뾰족하기보다는 납작한 편이며 위 아래 굵기의 차이가 적습니다
한국은 밥그릇을 상에 두고 먹고 ,
중국과 일본은 찰기가 없는 쌀이기 때문에 밥그릇을 입 가까이 손에 들고 젓가락으로 먹습니다
한국 젓가락은 지리적 위치만큼이나 중간적입니다. 25㎝ 안팎 길이에, 끝은 뾰족하지도 뭉툭하지도 않고 납작합니다. 두 나라와 결정적으로 다른 것은 쇠붙이를 젓가락 재료로 씁니다.
예전에는 은과 놋쇠를 주로 썼고, 현대에 와선 묵직한 스텐레스 스틸이나 가벼운 알미늄 둘 다 쓰입니다.
일본 사람들은 밥그릇과 반찬, 국그릇을 모두 자기 앞에 놓인 상에서 먹기 때문에
젓가락도 짧고 뭉뚝합니다.
또 가시가 있는 생선이나 껍데기가 있는 해산물, 우동과 같은 면류를 많이 먹기 때문에
젓가락의 끝 쪽은 뾰족합니다. 일본에서는 제사용 젓가락은 흰색을 쓰는데,
이는 죽은 사람에 대한 존경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의미가 담겨있다고 합니다
중국 사람들은 온 식구가 둘러앉아 식사를 해 음식과의 거리가 멀고
반찬에 기름기가 많고 집기가 어렵기 때문에 젓가락이 가늘고 깁니다.
중국에서는 나이 많은 사람이 세상을 뜨면 죽은 사람의 덕분에 장수하고 재해를 막을 수 있다고 여겨
붉은 색 젓가락을 쓰기도 합니다.
한국의 경우 길이는 비교적 보통 수준이다. 주 재질은 금속 계통. 중국의 경우 길이가 가장 긴 편. 중국 음식 특성상 뜨거운 기름을 사용한 경우가 많아 데이는 등의 위험을 방지코자 길어진 듯. 주 재질은 나무. 일본의 경우 길이가 보통이거나 짧고 음식을 먹는 방법에 따라 짧게 발달 . 역시 나무가 주 재료 .
15억 아시아인이 젓가락 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한·중·일 3국이 젓가락 종주국을 자처한다. 중국에서는 최근 베이징 올림픽의 성공을 위하여 ‘올바른 젓가락 사용부터’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전통문화 계승에 불을 지피고 있고, 일본에서는 이미 ‘젓가락의 날’을 지정한 지 오래되었다.
한국과 중국과 일본의 젓가락은 각각 어떤 차이가 있나. 젓가락 사용은 중국→한국→일본 순으로 전파되었다. 하지만 젓가락 발전사(史)는 음식문화의 발전과 함께 크게 변화되었다 |
첫댓글 이렇게 깊은뜻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