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유리전자를 포획하는 작용을 하는 것 ? 감광핵
(2) 필름의 제조 공정 중에서 만들어지는 시기 ?
제2숙성(화학숙성)
(3) Grotthus - Drapper의 법칙 ?
반응계는 흡수된 광량자의 에너지만이 광화학 반응을 일으킬수 있다
☞ 광화학 제1법칙
(4) 필름의 투과도 ? T = 투과량 / 입사량
(5) 필름 불투과도의 상용 대수치 ? 사진농도 (density)
D = log10 입사광 / 투과광
(6) 입사한 빛의 1/10을 투과 했을 때 필름의 불투과도 ? 10
(7) 사진 농도가 3.0일 때 필름의 투과율 ?
- D = 3.0 = log 10³이므로 , 불투과도 = 1000 투과도 = 1 / 1000
- 투과율 = (1 / 1000) × 100 = 1 / 10 = 0.1 %
(8) 필름의 불투과도 = 2 일 때 , 농도(D) ?
D = log 2 = 0.3 그러므로 농도 = 0.3
(9) 사진 농도 1.0 , 0.5 인 두 필름을 겹쳐 놓았을 때의 사진 농도 ?
1.5
(10) 은원자의 집합으 크기가 가장 큰 것 ? 잠상
(11) 노출후 또는 현상전에 감광재료에 만들어진 불가시의 상 ?
잠상
(12) 특성곳선에서의 적정 노출부분 ? 직선부
(13)
족부 = 노출이 부족한 부분
견부 = 노출이 과도한 부분
(14) 노광량이 증가하면 , 사진 농도가 감소되는 부분 ? 반전부
(15) 반전의 특성을 이용한 필름 ? 복제용 필름
(16) 특성곡선에서 직선부의 연장이 노광축과 교차되어 형성하는 각
도의 tangent값 ? 감마치
(17) 직선부의 경사도 ↑ , 감마치 ↑
(18) 필름의 γ치의 영향인자 ?
- 필름의 종류
- 현상온도
- 현상시간
- 현상액의 종류
(19) 의료용 X선 필름에서 γ치의 범위 ? 2.0 - 3.5
(20) 특선곡선에서 계조도가 가장 큰 부분 ? 직선부
(21) X선 진단에 유효한 사진 농도의 범위 ? 0.25 - 2.0
(22) 진단 유효 농도의 범위 ? base + fog + 0.25 - 2.0
(23) X선 필름의 fog 농도 범위 ? 0.05 - 0.2
(24) 필름 대조도를 결정하는 인자 ?
- 특선곡선
- 현상처리
- 사진의 농도
- 증감지에 의한 노출
- 직접적인 X선 노출
(25) 특성곡선에서 최대의 경사부 ? 직선부
(26) 피사체 대조도를 결정하는 인자 ?
- 해부 구조의 두께 차
- 실효 원자번호 , 밀도의 차
- 조영제의 사용
- X선 관전압의 적용
- X선속의 여과
- 산란선
(27) 피사체 대조도가 있어야 필름 대조도가 형성된다
(28) 피사체를 투과한 X선 감약의 차이 ? 피사체 대조도
(29) analog 영상법 ? 증감지 - 필름 방사선 촬영법
(30) 현상기에 삽입된 필름이 밖으로 나오지 않을때의 원인 ?
- 롤러가 제자리에 있지 않을 때
- 현상기에 필름을 비로 넣지 않은 경우
- 공기 관이 제자리에 있지 않은 경우
- 건조부 벨트가 느슨해졌을 때
(31) 선예도 측정방법 ?
- 해상력 측정
- MTF (변조 전달 함수)
- halation 측정
- 혼탁도 측정
- acudance 측정
(32) 특성곡선에서 얻을수 있는 필름의 특성 ?
- 노광 영역
- fog 농도
- 최고 농도점
- γ치
- 평균 계조도
- 관용도
- 감도 , 비감도
- 필름 대조도
(33) 직선부의 경사도 ? γ치
(34) 해상력이 10개 / mm 인 필름 영상에서 식별 가능한 최소의 선폭
?
해상력 R(lines/mm) = 1 / 2d = 1 / (2 ×10) = 1 / 20 = 0.05
(35) 선의 폭이 0.1 mm 일 때 해상력 ? 1 / (2 ×0.1) = 1 / 0.2 = 5.0
(36) X선 사진의 입상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 현상온도
- 증감지 형광체의 크기
- 현상액의 농도
- 할로겐화은 결정입자의 분포상태
(37) 미노광된 할로겐화은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 ? 정착액
(38) Al step wedge를 이용한 사진 특성곡선의 작성법 ?
Bootstrap 법 , sensitometer
(39)
투과율 = 50 % 농도(흑화도) = 0.3 투과도 = 0.5 불투과도 = 2.0
(40) 사진농도(흑화도) = 2.0 일 때 , 필름의 투과율은 1%
(41) 노광의 허용범위 ? 관용도 (latitude)
(42) 진단에 유효한 농도범위 ? 0.25 - 2.0
(43) 감마치 ↑ , 노출의 관용도 ↓ , 대조도 ↑
(44) 입자의 크기 , 분포상태 ===> 입상성
(45) 현상온도 ↑ , 입상성 ↓
(46) 할로겐 원소 ? Br , Cl , F , I , At
(47) 할로겐 원소의 가전자 수 ? 7개
(48) 할로겐화은의 종류 ? AgI , AgCl , AgBr
(49) X선 필름의 감광 주체로 사용되는 할로겐화은 ?
요오드 - 브롬화은
(50) 할로겐화은 제조시 원료은으로 사용하는 것 ? 질산은
AgNO₃+ KBr ---> AgBr ↓ + KNO₃
(51) 비정색성 + 증감색소 ---> 정색성
(52) AgBr의 감광 파장단 ? 480 nm 부근에 있다
(53) AgI을 함유한 것은 장파장 쪽으로 연장된다
(54) 희토류계 형광체 증감지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직접 촬영용 X선
필름의 감색성 ? 정색성
(55) CaWO₄형광체 증감지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직접 촬영용 X선
필름의 감색성 ?
단색성 (비정색성 , 청색감성)
(56) 간접 촬영용 X선 필름의 감색성 ? 정색성
(57) 고감도 nega film의 감색성 ?
범 정색성 (전정색성 , panchromatic)
(58) X선 필름에 감광되지 않는 방사선 또는 빛 ? 적색광
(59) X선 필름은 적색 , 등색(orange) 등의 장파장 가시광선에는 감광
되지 않는다
☞ 적색에는 감도가 없기 때문이다
(60) 단색성(비정색성) 필름의 최고감도 ? 자청색
(61) 단색성 필름의 최고감도 ? 430 nm 전후 (자청색)
(62) 정색성 필름의 최고감도 ? 530 - 580 nm (녹황색)
(63) 진단용 X선의 파장 ?
0.1 - 1 Å 0.01 - 0.1 nm
(64) 필름의 감광에 관계되는 가시광선의 파장범위 ?
3600 - 7600 Å (400 - 700 nm)
(65) 필름 사용시의 증감처리 ? 초증감 (hyper - sensitization)
(66) 필름을 제조할때의 화학 증감법 ?
황화증감 , 환원증감 , 금증감 , 금속증감
(67) 감광 유제에 증감색소를 첨가하는 증감처리 ?
분광증감(광학증감 , 색증감)
(68) 파장을 넓혀주는 증감 - 광학증감
감도를 넓혀주는 증감 - 화학증감
(69) 증감색소가 첨가되지 않은 감광유제 ? 단색성
(70) 할로겐화은 고유 감광 파장에만 감광도를 갖는 것으로 증감색소
를 첨가하지 않은 필름 ?
비정색성 필름 (단색성 , 청색감성 , regular)
(71) 할로겐화은 결정입자의 결정체 ? 등축정계
(72) 할로겐화은 결정입자의 결정계 ?
식염(NaCl) 형태의 등축정계
(73) 양이온 , 음이온의 중심 사이의 거리 ? 격자 간격
(74) 격자의 간격이 가장 가까운 것 ?
AgCl > AgBr > AgI
(75) 할로겐화은 결정의 평균 크기 ? 1.0 - 1.5 ㎛
(76) gelatine의 특징 ?
- 투명해야 한다
- collagen을 가수분해 하여 만든다
- 감광유제를 제조할 때 증감작용을 도와준다
- 현상처리 중에 팽윤되어 현상 처리액을 확산 시킨다
(77) 불에 타지 않는 난연성을 가지고 있어 최근의 X선 필름에 주로
사용되는 것 ? polyester
(78) 최초의 X선 필름 지지체 ? 유리판
(79) X선 필름의 구조 중에서 polyester로 구성된 층 ?
지지체(base)
(80) X선 필름의 지지체의 두께 ? 150 - 250 ㎛ (0.15 - 0.25 mm)
(81) 직접 촬영용 X선 필름의 감광 유제층의 두께 ? 5 - 25 ㎛
(82) 90초 , 45초 자동 현상용 X선 필름의 감광 유제층의 두께 ?
5 - 6 ㎛
(83) X선 필름의 지지체 ?
- 푸른 색소가 첨가된다
- 필름의 구조 중에서 가장 두껍다
- 필름에 사용되는 지지체 = film base
(84) Base fog의 의미 ?
지지체가 가지고 있는 극소의 흡수 또는 색소의 농도
(85) 의료용(직접 촬영용) X선 필름에서 지지체의 양면에 감광유제가
도포되어 있는 이유 ?
감도를 높이고 사진 대조도를 증가 시키기 위해
(86) 집단 검진에 사용되는 X선 필름 ? 간접 촬영용 X선 필름
(87) 간접 촬영용 필름 ?
- 감광유제가 지지체의 한면에 도포되어 있다
- 정색성
(88) 비파괴 검사에 사용되는 X선 필름 ? 공업용 X선필름
(89) 분광감도가 단색성인 필름을 사용하는 촬영법 ?
직접 X선 촬영
(90) x선 필름의 이상적인 보관 조건 ?
습도 40 - 60 % 온도 10 - 15 ℃
(91) 10 ℃ 보관온도에서 미노출 X선 필름을 사용할수 있는 기간 ?
1년
(92) 제1숙성(물리적 숙성) : 할로겐화은 결정의 생장
제2숙성(화학적 숙성) : 감도 , 감마치가 증대된다
(93) 유효 사용기간이 지난 필름 사용시 미치는 영향 ?
- fog의 증가
- 필름 감도의 저하
(94) 감광핵이 형성되는 시기 ? 제2 숙성 중에 형성된다
(95) 필름의 제조공정 ?
감광 유제의 제조 - 물리숙성(제1숙성) - 분쇄 - 수세 - 회학숙성(제2
숙성) - 첨가제의 첨가(증감색소 , 경막제 , 안정제) - 도포
(96) 첨가제가 필름 유제에 첨가되는 시기 ? 제2숙성 후
(97) 증감지의 형광체층 , base 사이에 있는 층 ? 빛 반사층
(98) X선 필름을 구성하고 있는 층 ?
보호막 , 지지체 , 감광 유제층 , 하인층
(99) 단면유제 X선 필름에만 특징적으로 있는 충 ?
컬링 , halation 방지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