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날 개념, 보양식, 얽힌 이야기 정리 (초복, 중복, 말복)
1. 복날이란?
날씨가 더워지면서 체력관리에 힘써야 하는 때가 온다. 이 시기가 흔히 말하는 '복날'을 말한다.
복날은 24절기 중 하나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실제로는 세시풍습이다. 복날에는 초복,
중복, 말복 3가지가 있으며 이를 일컫어 삼복이라고 한다. 삼복이란 음력 6월에서 7월사이에 있
으며, 복날의 복은 엎드릴 복자를 써서 너무 더워서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지내는 것을 뜻한다.
흔히 말하는 삼복더위 역시 더위에 세 번 엎드리거나 굴복한다고 하여 그렇게 불린다. 이는 곧
여름의 더운 기운이 가을의 서늘한 기운을 제압하여 굴복시켰다고 하여 '여름 불기운에 가을의
쇠 기운이 세 번 굴복한다.'라는 뜻으로 복종한다는 의미의 복을 써서 부르기 시작했다. 삼복은
삼경일이라고도 하며 10일 간격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때때로 10일이 아닌 20일이 되기도 하는
데 이는 월복이라고 칭한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진 덕공 2년에 처음으로 복날을 만들어 개를 잡아 열독으로 다스렸다고
한다.복날 더위를 피하기 위하여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계곡이나 산정을 찾아가 노는 풍습이 있
다. 옛날 궁중에서는 벼슬아치들에게 빙과를 주고 궁 안에 있는 장빙고에서 얼음 나누어줬다. 민
간에서는 더위를 막고 보신을 하기 위해 계삼탕과 구탕(보신탕)을 먹는다. 또한 금이 화에 굴하는
것을 흉하다 하여 복날을 흉일이라 믿고 씨앗뿌리기, 여행, 혼인, 병의 치료 등을 삼갔다.
삼복은 음력의 개념이 아니라 24절기와 일진을 기준으로 정하기 때문에 소서(양력 7월 7일 무렵)
에서 처서(양력 8월 23일 무렵)사이에 든다. 한 해의 복날과 이듬해 같은 복날은 360일 또는 370
일 간격이다. 초복은 전년도 말복의 340일 후가 보통이고, 가끔씩 330일 후가 된다. 공식적으로
무엇을 하거나 반드시 지켜야 할 필요는 없으나 예로부터 내려온 풍습으로 여기면 된다.
2. 2022년 삼복 언제일까? 또 어떻게 계산할까?
초복(2022년 7월 16일) : 첫번째 드는 복날, 하지로부터 세 번째 경일, 하지로부터 세번째 경일, 7
월11일~21일 사이
중복(2022년 7월 26일) : 중간에 드는 복날, 하지로부터 네 번째 경일, 7월 21일~31일 사이
말복(2022년 8월 15일) : 마지막에 드는 복날, 입추 후 첫 번째 경일, 8월 7일~8월 17일 사이
+) 2023년의 복날은? 초복 2023.07.21 중복 2023.07.31 말복 2023.08.10
1) 초복
하지 이후 제 3경일을 초복이라 하고 대략 7월 11일부터 7월 19일에 온다. 소서와 대서 사이로
더위가 본격적으로 오는 시기를 말한다. 초복이라고 하면 여름의 시초를 뜻한다.
2) 중복
하지 후 제 4경일을 말한다. 하지 후 제 3경일을 초복, 입추 후 제 1경일을 말복이라고 한다. 중복
과 말복 사이는 대게 10일 간격이지만 20일을 격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월복이라고 한다.
3) 말복
삼복 가운데 마지막에 드는 복날로 입추가 지난 뒤의 첫번째 경일에 든다.
3. 복날에 먹는 보양식은?
더위를 피해 체력보충을 하기 위해 고칼로리 영양식을 섭취해왔다. 옛날에 주로 선호된 것이 고
기 요리 중 수분 보충용으로 물기가 있고 열기를 돋게 하는 부재료를 이용한 국물 고기요리를 주
로 섭취했다. 그것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왔고, 고온다습해서 음식물 부패가 빨리 일어나는
시기라 저렴한 식재료인 고기를 이용해 삼계탕을 가장 많이 먹게 되었다.
과학적으로 닭고기는 대표적인 1고 3저 식품으로 체중과 건강에 신경을 쓰는 사람들에게 알맞은
음식이다. 동맥경화, 심장병 등 성인병 예방에 좋은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있고, 삼계탕에 들어가
는 인삼에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 증가, 피로회복, 고혈압억제, 호흡기 질환 개선 및 암예방 등
의 효과가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달곡기는 독이 약간 있으나 몸을 보호하는데 좋기때문에 식사요
법에 많이 쓰고, 또한 간의 양기를 도움으로써 체내에 부족한 양기를 보충하는 효과가 있다고 적
혀있다.
이 외에도 보신탕, 육개장, 민어, 장어, 추어탕, 설렁탕, 용봉탕, 전복죽, 흑염소 등을 먹는다. 장어
는 원기회복에 좋다고 소문난 식재료로 여름이 제철이라 가장 힘이 좋을 때이다. 구워먹거나 찜,
튀김, 덮밥 등 여러 요리로 해먹을 수 있다. 또한 팥죽을 먹기도 하는데 귀신을 물리치고 더위를
물리친다는 의미가 있다.전통적으로 먹던 보양식은 대부분 이열치열의 특징을 갖고 있다.반면 육
류를 풍성하게 섭취하기 힘들었던 옛날에는 증편, 주악, 백설기 등을 먹기도 했다.
영양섭취가 풍요롭지 못한 과거에 기력 보충을 하자는 의미로 시작됐던 만큼, 항시 단백질과 영
양분을 섭취하기 쉬운 요즘은 반드시 찾아 먹을 필요는 없다. 최근에는 냉면같은 시원한 음식을
찾는 사람도 있고, 찜닭, 닭볶음탕, 치킨 등을 먹기도 한다. 여름철 과일인 수박, 참외 등도 도움이
되는데 성질이 차서 몸의 열기를 없애주고 수분을 보충해주기 때문이다.
4. 복날에 얽힌 이야기
복날에 비가 오면 청산 보은의 큰 아기가 운다.
: 대추가 많이 생산되는 충북 청산과 보은 지방에 관련된 속담이다. 대추나무는 복날마다 꽃이 피
는데 이 날 비가 오면 꽃이 잘 피지 못하여 열매가 열지지 않기 때문이다. 대추 농사에 흉년이 들
면 청산과 보은 지방에서는 생계와 혼인비용에 문제가 생겨 이를 풍자하여 만든 속담이다.
복날에 벼가 나이를 한 살씩 먹는다.
: 벼 줄기에는 세 개의 마디가 있는데 이 마디가 복날마다 생기고 벼 줄기의 마디는 벼의 나이를 뜻
한다. 벼 줄기 세 마디 이상이 되어야 이삭이 생겨 수확이 가능해진다.
초복날 소나기는 한 고방의 구슬보다 낫다.
: 초복에 날씨가 무덥고 가뭄이 들기 쉬워 조금의 비도 매우 귀중하다는 의미로 벼의 성장이 시작되
는 초복무렵 비가 와야 벼농사가 잘 되기 때문에 생겨난 속담이다. (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