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자원 발생지 중심의 지역 거점화 공공사업 공동 추진
국내 상용화 기술로 폐자원 열분해 유화 사업 박차
환경시설관리, 화학적 재활용·원료화를 통한 열분해 유화사업 밸류체인 기반 마련
|
▲MOU 체결 3사 대표이사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권지훈 환경시설관리 대표이사(좌측), 최윤석 SK인천석유화학 대표이사(중앙), 곽재경 동서산업롤 대표이사(우측) |
[에너지경제신문 김지형 기자] SK에코플랜트의 자회사이자 국내 1위 환경전문 플랫폼 기업인 환경시설관리(EMC)가 SK인천석유화학, 동서산업롤과 함께 국내 폐플라스틱 열분해 유화 사업 특화를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 협력 모델을 구축했다고 24일 밝혔다.
환경시설관리는 지난 12일 정유·화학기업인 SK인천석유화학, 열분해 유화 테크(Tech)기업인 동서산업롤과 함께 ‘폐플라스틱 열분해 유화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열분해 유화는 폐자원(폐플라스틱, 폐비닐 등)에 열을 가하여 액체상태로 전환하는 기술로 생산된 열분해유를 정제하여 재생 연료나 원유 대체 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동서산업롤은 1974년 설립되었으며, 폐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 전문 테크 기업이다. 24시간 연속 운전이 가능한 열분해 유화 생산설비를 순수 국내기술로 상용화하여 지난 2022년 3월 경남 통영시 해양자원순환센터 열분해 유화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2024년 6월부터 9월까지 폐기물 투입을 통한 종합 시운전 후 열분해유를 본격 생산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3사는 국내외 폐플라스틱 열분해 유화 사업 모델의 성공적인 구현과 보급·확대를 위해 적극 협력한다. 또한, 열분해 유화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폐자원의 순환체계 완성을 위해 지속적인 열분해유 기술 개발과 활용 등에 대해 공동사업을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다.
환경시설관리의 환경기초시설 비즈니스 모델 개발·운영 역량에 SK인천석유화학의 기존 자산을활용한 열분해유 처리와 동서산업롤의 연속식 열분해유 생산 기술이 더해져, 국내외 폐자원 열분해 유화 시장에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이번 협력 모델은 폐자원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거점화를 추진하고 있어, 공공분야 열분해 유화시설 구축사업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폐자원의 수집, 열분해유 생산 시스템 및 정제를 통한 고부가치 원료 생산 체계를 하나의 모델로 연결하여 폐자원 순환경제 체계를 구축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한편, 환경시설관리는 지난 해 8월 SK인천석유화학과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한데 이어,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최고 수준의 연속식 열분해 테크 기업과의 상생협력체계를 구축하며 폐자원의 화학적 재활용 및 고부가치 원료화 등 밸류체인 완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열분해유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폐자원 확보 강화 및 공공분야 열분해 유화시설의 구축으로 업계를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권지훈 환경시설관리 대표이사는 "환경시설관리는 국내 종합 환경플랫폼 1위 기업으로, 폐기물 분야를 중심으로 국내 환경산업을 선도하고 있다"며 "이번 협력 체계 구축으로 공공분야 열분해 유화사업의 가속화를 기대하고 있다. 향후 환경부가 2026년까지 10개 지자체에 공공 열분해시설을 확충하는데 본 사업이 지자체별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할 것이며, 폐자원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통해 순환경제 모델 완성, 탄소중립을 선도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