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레시팍 vs 실데나필
심혈관계 약물
셀레시팍(Selexipag)과 실데나필(Sildenafil)을 간단히 비교해 보겠습니다.
실데나필(Sildenafil)과 셀레시팍(Selexipag)은 어떤 질환에 사용됩니까?
두 약물은 모두 폐동맥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PAH)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폐동맥고혈압(PAH)으로 인해 발생하는 폐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PH)을 WHO Group Ⅰ으로 분류하고, 증상에 따라 4단계로 기능적 분류 단계(WHO functional class)를 나눴습니다. WHO 기능분류 II단계는 휴식시에는 증상이 없으나 활동 시에 약간의 불편함, 호흡곤란이 발생하는 단계이며 III단계는 휴식 시에 증상이 없을 수도 있으나 호흡곤란, 피로함으로 인해 정상 활동이 제한되는 단계입니다.
셀레시팍(Selexipag)은 WHO 기능분류 II-III단계에 해당하는 폐동맥고혈압(WHO Group I) 성인 환자의 장기 치료에 승인되었고 실데나필(Sildenafil)은 WHO 기능분류 단계 II-III에 해당하는 폐동맥고혈압(WHO Group Ⅰ) 환자의 운동능력 개선에 승인되었습니다.
실데나필(Sildenafil)은 FDA에서 상품명 Revatio®로 성인과 1세 이상 소아에서도 승인되었으나 셀레시팍(Selexipag)은 상품명 Uptravi®로 소아에서 안전성과 효과가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두 약물의 작용기전은 무엇인가요?
셀레시팍(Selexipag)은 프로스타사이클린(prostacylin)의 IP 수용체 작용제로, 카르복실에스테라제 1(carboxylesterase 1)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약 37배 정도 더 강력한 활성 대사체를 생성합니다. Selexipag과 활성 대사체는 IP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해서 혈관확장 작용을 합니다.
실데나필(Sildenafil)은 cGMP 특이적인 포스포디에스테라제 5형 (Phosphodiesterase type-5, PDE-5) 저해제로, cGMP 분해를 담당하는 PDE-5를 저해하여 폐혈관 평활근 세포 내에서 cGMP를 증가시켜 혈관을 확장합니다.
용법·용량을 알려주세요.
셀레시팍(Selexipag)은 초기에는 200μg씩 1일 2회 12시간 간격으로 복용합니다. 식사와 관계 없이 복용할 수 있으나, 식사와 함께 복용하면 내약성이 개선됩니다. 최대 용량(1회 1600μg씩 1일 2회)에 도달할 때까지 1주 간격으로 200μg 1일 2회씩 증량합니다. 엔도텔린 수용체 길항제(endothelin receptor antagonist, ERA) 또는 PDE-5 저해제와 병용요법 또는 단독요법으로 투여할 수 있습니다.
복용을 잊었을 경우 다음 복용 예정시간이 6시간 이상 남았다면 가능한 빨리 복용하고, 3일 이상 복용을 잊은 경우, 저용량으로 다시 시작합니다.
- 경증의 간장애(Child-Pugh 분류 A): 용량 조절 필요 없음
- 중등증의 간장애(Child-Pugh 분류 B), 중등도의 CYP2C8 저해제 병용: 1일 1회
- 중증의 간장애(Child-Pugh 분류 C): 투여 피함
실데나필(Sildenafil)은 20mg 1일 3회 4~6시간의 간격을 두고 식사와 상관없이 복용합니다.
신기능 저하 환자나 중등도 이하(Child-Pugh class A 또는 B) 간장애 환자는 용량을 조절할 필요 없습니다. 그러나 중증(Child-Pugh class C) 간장애 환자는 sildenafil을 복용하지 않습니다.
두 약물의 약동학적 특징을 알려주세요.
셀레시팍(Selexipag)의 생체이용률은 약 49%이며, selexipag과 활성 대사체는 경구투여 후 각각 1~3시간, 3~4시간 이내에 최대 혈장농도에 도달합니다. 간에서 주로 CYP2C8에 의해 활성대사체로 대사됩니다. Selexipag의 반감기는 0.8~2.5시간이고 활성 대사체의 반감기는 6.2~13.5시간입니다.
실데나필(Sildenafil)의 생체이용률은 41%(25~63%)이며, 공복에 복용 후 30~120분 내 최대 혈장 농도에 도달합니다. 주로 CYP3A에 의해 대사되며 반감기는 약 4시간입니다.
이상반응과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두 약물은 혈관 확장작용을 하므로 혈압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약을 투여하기 전에 약의 혈관확장 때문에 부적절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기저 질환(예: 혈압 <90/50 mmHg)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셀레시팍(Selexipag)의 흔한 이상반응은 두통, 설사, 턱 통증, 구역, 구토, 관절통, 사지 통증, 홍조입니다. 갑상샘기능항진증이 보고되었으므로 증상에 따라 갑상샘기능 검사가 권장됩니다. 폐부종 증상(호흡곤란, 기침 등)이 나타나면 폐정맥폐쇄성 질환(pulmonary veno-occlusive disease, PVOD) 가능성이 있습니다. PVOD일 경우는 약의 투여를 중단해야 합니다.
실데나필(Sildenafil)의 이상반응은 코피, 두통, 소화불량, 불면, 호흡곤란, 홍조 등입니다. 이명, 현기증과 동반한 갑작스러운 청력저하, 난청이 발생하거나 시력 저하 또는 상실되는 경우에는 약을 중단하고 처방의에게 알립니다. 시력 상실은 비동맥전방허혈성시신경증(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NAION)의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대부분 50세 이상, 당뇨병,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고지혈증, 흡연과 같은 위험 인자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나타납니다. 색소성망막염과 같은 유전성 퇴행성 망막질환을 가진 환자들에 대한 sildenafil의 효과나 안전성 연구가 없으므로 투여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Sildenafil은 폐정맥폐쇄성 질환(PVOD) 환자의 심혈관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자료는 없으므로, PVOD 환자에게 투여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함께 복용 시 주의해야 할 약물은 무엇인가요?
셀레시팍(Selexipag)은 CYP2C8에 의해 대사되므로 강력한 CYP2C8 저해제인 겜피브로질과 병용금기입니다. 또한 중등도의 CYP2C8 저해제인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 데페라시록스(deferasirox),
테리플루노마이드(teriflunomide)와 병용할 경우에는, 투여횟수를 1일 1회로 줄입니다. CYP2C8 유도제인 리팜피신(rifampicin)과 병용시에는 용량을 증량합니다.
실데나필(Sildenafil)은 동일한 기전의 PDE-5저해제(avanafil, mirodenafil, sildenafil, tadalafil, udenafil, vardenafil)와 관상동맥확장제인 nitrate (nitroglycerin, ISMN, ISDN), molsidomine, nicorandil과 병용금기입니다.
또한 riociguat, ritonavir, 팍스로비드정(nirmatrelvir/ritonavir)와도 병용 금기로 함께 복용해서는 안됩니다. 병용하면 급격히 혈압이 저하되고 심혈관 허탈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폐동맥고혈압에 쓰이는 약물은 어떤 종류가 있나요?
작용기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약물이 있습니다.
실데나필(Sildenafil)은 폐동맥고혈압 치료 외에 어떤 효능이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