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야간 조명을 통해 솟을대문 쪽 에서 본 원통보전과 7층석탑 |
| | |
빈일루를 지나서 원통보전으로 오르는 응향각 계단앞에서 |
| | |
원통보전 앞에 있는 7층석탑. 자세히 보면 한국전쟁 시 총탄자국이 남아 있다. |
| | |
▲ 닥종이를 주 재료로 조성한 관세음보살로 그 위에 칠을 한 뒤 금박을 입힌 건칠관세음보살. |
[한국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낙산사의 많은 관세음보살 조상 중에도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관세음보살이다.
관세음보살은 불교에서 아미타불의 좌측 협시불이 보통 사찰의 배치형식이나,
관세음보살은 자비의 화신으로 선하고 악한 모든이들의 소원을 들어주고
참회를 받아주는 보살이기에
그 누구나 부담없이 와서 매달리는 보살로 자리 매김되었다.
불교에서는 깨달음을 성취한 이를 부처라 부르고
그 깨달음의 성취를 미루고
중생을 구제하는 일을 자처한 이를 보살이라고 부르지만
그 중에서도 관세음보살은
가장 많은 중생들이 믿고 찾는 보살이기에 가장 친근한 보살이다.
그런데
그 관세음보살이 아미타불의 협시불이 아닌
관세음보살만의 집(전각)에 모셔지게 되면
그 전각의 이름은 관음전 또는 원통전 더 높이면 원통보전이 되는 것이다.
이런 원통전에는 관세음보살과
그를 따르는 선재동자나 남순동자 용왕 등과 함께 모셔지기도 하지만,
이렇게 관세음보살만 홀로 모시는 경우도 있다.
낙산사 원통보전의 관세음보살은
부처님과 같은 수인을 한 모습에 머리위에 보관을 쓰고,
옷주름이 화화롭고 여러 장식의 영락을 목걸리처럼 걸친 모습을
닥종이로 만들어 그 위에 칠을 하고. 다시 금박을 입힌 보살이라고 한다.
관세음보살은 중생이 원하는 바가 하도 크기에
중생들의 소원을 다 들어주고 하소연을 다 들어주고자
그 형상이 다양하게 만들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가장 대표적으로 만들어진 모습이 33응신으로 불리우기도 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조성되어진 형상은 해수관세음보살,
천수천안관세음보살이 있으며,
고려불화에는 수월관세음보살, 백의관세음보살, 마두관세음보살,
11면관세음보살 등이 있다.
이곳 낙산사에는
관세음보살들의 박물관처럼 다양한 모습의 관세음보살들이 조성되었고,
관세음보살만 모신 여러 전각들이 있다.
그 중에도 이곳 원통보전은 낙산사의 여러 관세음보살들 중에서도
가장 높은 위치에 아니타불의 수인을 하고 정좌한 모습으로
그 위상을 따진다면 낙산사에서 가장 높은 관세음보살이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