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3일 (녹) 연중 제7주일
제1독서
<주님께서 임금님을 제 손에 넘겨 주셨지만, 저는 손을 대려 하지 않았습니다.>
▥ 사무엘기 상권의 말씀입니다. 26,2.7-9.12-13.22-23
그 무렵 2 사울은 이스라엘에서 뽑은 부하 삼천 명을 거느리고
지프 광야에 있는 다윗을 찾아 그곳으로 내려갔다.
7 다윗은 아비사이를 데리고 밤을 타서 군대가 있는 곳으로 다가갔다.
그때 사울은 진지 안에서 머리맡 땅바닥에 창을 꽂아 놓고 잠들어 있었다.
아브네르와 그의 군사들도 사울을 둘러싸고 잠들어 있었다.
8 아비사이가 다윗에게 말하였다.
“하느님께서 오늘 원수를 장군님 손에 넘기셨으니,
이 창으로 그를 단번에 땅에 박아 놓겠습니다. 두 번 찌를 것도 없습니다.”
9 그러나 다윗이 아비사이를 타일렀다. “그분을 해쳐서는 안 된다.
누가 감히 주님의 기름부음받은이에게 손을 대고도 벌받지 않을 수 있겠느냐?”
12 다윗은 사울의 머리맡에서 창과 물병을 가지고 나왔다.
주님께서 그들 위에 깊은 잠을 쏟으시어 그들이 모두 잠들었기 때문에,
다윗을 본 사람도 알아채거나 잠을 깬 사람도 없었다.
13 다윗은 맞은쪽으로 건너가 상대와 거리를 멀리 두고
산꼭대기에 서서, 22 응답하였다.
“여기 임금님의 창이 있습니다. 젊은이 하나가 건너와 가져가게 하십시오.
23 주님은 누구에게나 그 의로움과 진실을 되갚아 주시는 분이십니다.
오늘 주님께서 임금님을 제 손에 넘겨주셨지만,
저는 주님의 기름부음받은이에게 손을 대려 하지 않았습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제2독서
<우리가 흙으로 된 그 사람의 모습을 지녔듯이 하늘에 속한 그분의 모습도 지니게 될 것입니다.>
▥ 사도 바오로의 코린토 1서 말씀입니다. 15,45-49
형제 여러분, 45 성경에 이렇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첫 인간 아담이 생명체가 되었다.” 마지막 아담은 생명을 주는 영이 되셨습니다.
46 그러나 먼저 있었던 것은 영적인 것이 아니라 물질적인 것이었습니다.
영적인 것은 그다음입니다.
47 첫 인간은 땅에서 나와 흙으로 된 사람입니다. 둘째 인간은 하늘에서 왔습니다.
48 흙으로 된 그 사람이 그러하면 흙으로 된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늘에 속한 그분께서 그러하시면 하늘에 속한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입니다.
49 우리가 흙으로 된 그 사람의 모습을 지녔듯이,
하늘에 속한 그분의 모습도 지니게 될 것입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너희 아버지께서 자비하신 것처럼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6,27-38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27 “내 말을 듣고 있는 너희에게 내가 말한다.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여라.
너희를 미워하는 자들에게 잘해 주고,
28 너희를 저주하는 자들에게 축복하며,
너희를 학대하는 자들을 위하여 기도하여라.
29 네 뺨을 때리는 자에게 다른 뺨을 내밀고,
네 겉옷을 가져가는 자는 속옷도 가져가게 내버려 두어라.
30 달라고 하면 누구에게나 주고,
네 것을 가져가는 이에게서 되찾으려고 하지 마라.
31 남이 너희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너희도 남에게 해 주어라.
32 너희가 자기를 사랑하는 이들만 사랑한다면 무슨 인정을 받겠느냐?
죄인들도 자기를 사랑하는 이들은 사랑한다.
33 너희가 자기에게 잘해 주는 이들에게만 잘해 준다면 무슨 인정을 받겠느냐?
죄인들도 그것은 한다.
34 너희가 도로 받을 가망이 있는 이들에게만 꾸어 준다면 무슨 인정을 받겠느냐?
죄인들도 고스란히 되받을 요량으로 서로 꾸어 준다.
35 그러나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여라.
그에게 잘해 주고 아무것도 바라지 말고 꾸어 주어라.
그러면 너희가 받을 상이 클 것이다.
그리고 너희는 지극히 높으신 분의 자녀가 될 것이다.
그분께서는 은혜를 모르는 자들과 악한 자들에게도 인자하시기 때문이다.
36 너희 아버지께서 자비하신 것처럼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
37 남을 심판하지 마라. 그러면 너희도 심판받지 않을 것이다.
남을 단죄하지 마라. 그러면 너희도 단죄받지 않을 것이다.
용서하여라. 그러면 너희도 용서받을 것이다.
38 주어라. 그러면 너희도 받을 것이다.
누르고 흔들어서 넘치도록 후하게 되어 너희 품에 담아 주실 것이다.
너희가 되질하는 바로 그 되로 너희도 되받을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정인준 파트리치오 신부의 강론말씀
“그러나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여라.”
사무엘기의 저자는 지프에서 다윗과 사울왕과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습니다.
사울왕은 삼천명이 군인들과 함께 다윗을 잡으러 수색을 합니다. 사실 사막에는 숨을 곳이
마땅치 않지만 어릴 때부터 양을 지키는 목동을 했던 다윗에게는 광야의 생활이 익숙했다고 봅니다.
그래서 사울과 군인들은 그를 찾아내기란 쉽지가 않았을 것입니다. 다윗은 숨어 있다가 밤을
아비사이와 함께 군사들과 야영을 하는데 진지에서 아브네르와 그의 군인들이 사울을 둘러싸고
잠들어 있는 곳까지 침투할 수 있었습니다.
아비사이는 다윗에게 잠 들어 있는 사울을 창으로 찔러 죽이자고 제안합니다. 다윗은 아비사이를
타이르며 말합니다.
“그분을 해쳐서는 안 된다. 누가 감히 주님의 기름부음 받은 이에게 손을 대고도 벌 받지 않을 수
있겠느냐?”(1사무 26,9)
대신 다윗은 사울의 머리맡에 있는 창과 물병을 가지고 나옵니다. 다윗은 맞은쪽으로 건너가
산꼭대기에 서서 소리를 지릅니다.
“여기 임금님의 창이 있습니다. 젊은이 하나가 건너와 가져가게 하십시오.”(26,13)
그리고 이어서 다윗은 사울에게 자신의 신의를 말합니다.
“오늘 주님께서 임금님을 제 손에 넘겨주셨지만, 저는 주님의 기름부음 받은 이에게 손을
대려 하지 않았습니다.”(26,23)
다윗은 전에도 엔게디의 ‘들염소바위’ 부근의 한 동굴에서도 다윗을 죽이지 않고 살린 적이
있습니다.(1사무 24,7-8)
다윗은 그 누구보다도 하느님을 사랑하기 때문에 그분으로 기름부음 받은 사울을 해치지
않았던 것입니다.
사도 바오로는 첫 인간인 아담과 그리스도를 비교하며 전하고 있습니다. 아담의 기원을 흙으로
보고 마지막 아담인 그리스도의 기원은 하늘로 표현하며 이렇게 글을 씁니다.
“첫 인간은 땅에서 나와 흙으로 된 사람입니다. 둘째 인간은 하늘에서 왔습 니다.
우리가 흙으로 된 그 사람의 모습을 지녔듯이, 하늘에 속한 그분의 모습도 지니게
될 것입니다.”(1코린 15,47.48)
루카복음사가는 스승이신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신 ‘사랑실천’에 대한 가르침을
전하고 있습니다.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여라.
너희를 미워하는 자들에게 잘해 주고,
너희를 저주하는 자들에게 축복하며,
너희를 학대하는 자들을 위하여 기도하여라.“(루카 6,27)
우리는 ‘좋아한다’라는 말과 ‘사랑한다.’라는 말을 구분 없이 쓰고 있는 사람들, 특히 드라마의
젊은 이들을 볼 때가 있습니다.
러브 스토리가 담긴 드라마에서 젊은이들이 서로 좋아한다는 표현을 사랑한다는 뜻으로 전이
되기도 합니다.
“네가 마음 편해서, 네가 예뻐서, 네가 시원스런 마음씨가 끌려서...등등”은 ‘네가 좋아서’라는
단계이지 엄밀하게는 아직 사랑의 단계가 아닙니다.
지난 세월 우리에게 잘 알려진 한 가요 ‘사랑은 눈물의 씨앗’이라는 제목의 첫 구절에서 사랑을
배웁니다.
“사랑이 무어냐고 물으신다면
눈물의 씨앗이라고 말하겠어요.”
이 노래구절과 함께 떠오르는 독일의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년~1832년)는
다음과 같은 시의 한 구절입니다.
“눈물과 함께 빵을 먹어 본 일이 없고
단 한번만이라도, 외로운 밤을
눈물로 지새운 적이 없는 사람아
그대는 정녕, 천상의 높은 힘을 알지 못하고...”
괴테의 ‘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 시에서
여기서 ‘눈물로 젖은 빵’으로 표현하는 말마디는 가난이나 고통, 그리고 삶의 역경과 실망이라 하겠습니다. 참다운 사랑도 실망과 고통을 통하여 도달할 수 있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이어서 이런 말씀을 하십니다.
“남이 너희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너희도 남에게 해 주어라.”(루카 6,31)
그러기에 주님의 사랑에 대한 가르침은 더욱 우리 자신을 반성하게 해줍니다.
자신의 뺨을 때리면 다른 뺨을 내밀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내가 싫어하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하지 않으려 노력은 할 수 있고 긍정적으로는 원하는 것을 해주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오늘 화답송(시편 103편)에서 보듯, 자비와 너그러움이 가득하십니다. 하
느님께서 바로 사랑이시기 때문입니다.
“주님은 자비롭고 너그러우시며, 분노에는 더디시나 자애는 넘치시네. 우리를 죄대로 다루지
않으시고, 우리의 잘못대로 갚지 않으시네.”(103,8-10)
사랑의 특징으로 나타나신 것이 자비로움을 바탕으로 하는 용서가 있습니다.
하느님의 아들이신 예수님을 통하여 우리가 참다운 사랑에 참여하며 하느님 나라를 준비하게
하십니다. 우리도 사랑하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출처: 구름 흘러가는 원문보기 글쓴이: 말씀사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