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주부터는 제가 다시 쪼메 바빠져야 할 것 같습니다.
이때까지는 달리 할 일도 없고 해서리, 석학의 말씀을 과감하게
번역해보았습니다. 잘못된 번역이 보여도 대충 넘어가 주세요.
디플레이션, 인플레이션 등에 대해 나름 제 생각과 같은 부분이
보이네요. 이 게시판에서 주로 다뤄지는 내용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니, 나름 쏠쏠하지 싶습니다. 질문하는 사람들이 우리와
같은 '일반인'이니까, 내용이 더 와닿는 듯^^
++++ ++++ ++++ ++++
Nouriel Roubini on prospects for 2009
Published: February 3 2009 11:46 | Last updated: February 9 2009 15:42
Nouriel Roubini Q&A
Economists and politicians hope to identify tentative signs of
recovery in leading economies during the second half of
2009, as stimulus measures from governments and action on
interest rates by central banks begin to kick in.
각국 정부의 경기진작정책과 중앙은행들의 이자율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경제학자와 정치가들은 09년 하반기에 선진국들에서
경제회복에 대한 미약한 신호나마 나타나기를 바라고 있다.
But recent data suggest it may take a little longer. Meanwhile,
the World Economic Forum’s latest report warns of the risks
of a fiscal crisis, created by the very government spending
intended to rescue economies from the turmoil in the global
financial system.
하지만 최신자료를 보면, 시간이 더 걸릴 것 같다. 세계경제포럼의 최신
보고서는, 세계금융시스템의 격랑에서 경제를 회복하기 위해
집행되고 있는 '정부지출' 바로 이 너마로 인한 '재정위험'의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기도 하다.
So, is the worst nearly over? Or is there still a way to go?
Recently returned from Davos, Nouriel Roubini, chairman of
RGE Monitor and professor of Economics at New York
University, will answer readers’ questions on the outlook for
the global economy and its impact on markets from 1400
GMT on Monday February 9.
어쨋든, 최악의 국면은 지난 것인가? 아니면, 여전히 가야할 길이
남아 있는가? 최근 다보스에서 돌아온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경제학
교수가 세계경제에 대한 전망과 이에 따른 시장에 대한 영향에 대해
독자의 궁금증을 풀어줄 것이다.
Post a question now to ask@ft.com or use the online
submissions form below.
...........................................................................................
It is pretty much consensus now that 2009 will be a zero
growth year for the world economy (something that you
forecast well in advance). It seems that the major risk for the
following years is having a lost decade of Japanese-style
stagnation but on a worldwide basis. How are the
governments in US and Europe faring so far in their effort
to avoid that? - Marco, Sao Paulo
(교수님이 예전에 이미 예견한 바 그대로) 2009년은 세계경제가
제로성장을 하는 해가 될 것이라는 점에 대해 이제는 대부분 사람들이
동의한다. 향후 수년간에 걸쳐 당면한 최고의 위험은,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식 스테그네이션이 전세계적 차원에서 발생하는지에
대한 것이지 싶다. 이러한 사태를 피하기 위해 미국과 유럽의 정부들이
지금껏 행한 노력은 어떠했는가? - 브라질 사울파울로에서 마르코가
Nouriel Roubini: To avoid a Japanese style multi-year L-shaped
near-depression or stag-deflation (a deadly combination of
stagnation, recession and deflation) the appropriate,
coherent and credible combination of monetary easing
(traditional and unorthodox), fiscal stimulus, proper clean-up
of the financial system and reduction of the debt burden of
insolvent private agents (households and non-financial
companies) is necessary.
누리엘 루비니: 일본이 경험한 수년간에 걸친 L-자형 준-공황
혹은 스태그-디플레이션(스테그네이션과 리세션과 디플레이션의
끔직한 조합)을 피하기 위해서는, (1) (전통적이든 비전통적이든 안 가리고)
통화정책의 완화와 (2)재정을 통한 경기진작책, (3)금융시스템에
대한 적절한 정리.정화, (4) 지불능력이 없는 민간(가계와 비금융기업)의
부채부담의 경감, 이 넷을 적절하고 일관적이며 신뢰할 수 있게 조합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The eurozone is well behind the US in its efforts as: a) the
ECB is behind the curve in cutting policy rates and creating
non-traditional facilities to deal with the liquidity and credit
crunch; b) the fiscal stimulus is too modest as those who can
afford it (Germany) are lukewarm about it and those who
need it the most (Spain, Portugal, Greece, Italy) can least
afford it as they already have large budget deficits; c) there is
lack of cross-border burden sharing of the fiscal costs of
bailing out financial institutions.
이러한 노력에서 유러권역은 미국에 비해 한참 뒤져 있다. 왜냐하면,
(a) 작금의 유동성 및 신용 경색에 대처하기 위해 정책금리를 인하하고
비-전통적 정책들을 수립하는 데 있어 유럽중앙은행(ECB)이 뒷북을
치고 있고, (b) 재정을 통한 진작정책은 지나치게 온건하여, 재정지출을
감당할 수 있는 나라들(독일)은 별로 열의가 없고, 재정지출이 가장
필요한 나라들(스페인, 포르투칼, 그리스, 이탈리아)은 이미 막대한
재정부채가 쌓여 있어서 실제 실행할 여유가 없으며, (c) 금융기관을
구제하는 데 드는 재정적 부담을 유럽 각국이 나눠갖는 데 미진하기
때문이다.
The U.S. has done more (with its aggressive monetary easing
and large fiscal stimulus putting it ahead) but two key
elements are key to avoid a near-depression and still missing:
a proper clean-up of the banking system that may require
a proper triage between solvent and insolvent banks and the
nationalization of many banks; and a more aggressive and
across-the-board solution to the unsustainable debt burden
of millions of insolvent households.
(공격적인 통화정책의 완화와 선제적인 대규모 재정 집행을 행한)
미국은 유럽보다는 나았다. 하지만, 두 가지 요소가 준-공황을
피하는 데 핵심적인데, 이게 여전히 빠져 있다. 뭐냐 하면, (1)
은행시스템의 적절한 정리.정화가 첫번째인데, 지불능력이 있는 은행과
그렇지 못한 은행을 적절하게 분류하고, 다수의 은행을 국유화해야
할지도 모른다. (2) 지불능력이 없는 수백만 가계들의 유지불가능한
부채부담에 대해 보다 공격적이고 전면적인 대책이 두번째이다.
Thus, I would say the L-shaped near-depression scenario is
possible.
따라서 나는, L자형 준-공황이 가능한 시나리오라는 입장을 취하겠다.
------------------------------------------------------------------------------
How can Davos, a gathering of the greediest, most avaricious
and incompetent people of the planet, ever fix any of the
problems they have created in the first place, and hugely
benefited from? Do you agree that when the boom was at its
height, you were mistreated there when you tried to draw
attention on the looming crisis? Are you now afraid of being
now co-opted by the system and losing your independence?
- Marcel Knecht, Villa Santiago, Mexico
지구상에서 제일 탐욕적이고 욕심 사납고 무능력한 족속들의 모임인
다보스가, 정작 자신이 만들어낸 다음, 이로부터 막대한 이득을 취한
작금의 문제들 중 하나라도 제대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인가? 한참 분위기가
좋았을 때, 머잖아 다가올 위기에 대해 관심을 모으고자 했던 교수님을
다보스가 푸대접했다는 데 동의하시는지? 그 체제(다보스)가 이제
교수님을 제 멋대로 이용하고, 정작 교수님은 독립성을 상실하는 게
두렵지는 않은지?
NR: It is important to keep one’s intellectual rigor and honesty
free from any financial conflict of interest (I never trade in
markets and so I am never “talk my book” when I present my
views).
루비니: 사람이 금전적 이해관계로부터 벗어나 자신의 지적 엄격함과
정직을 견지하는 게 중요하다. 난 시장에서 절대 거래하지 않고, 내
견해를 발표할 때 절대로 "내 장부를 (위해) 말'하지 않는다.
I have kept my balanced and analytically rigorous but bearish
view over time and adjusted my outlook only at the margin
in light of the evolving circumstances.
나는 균형을 잃지 않고 분석적으로 엄격하지만 비관적인 견해를
시종일관 유지해 왔고,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부분적인 부분에서만
전망을 수정해 왔다.
But the basic thrust of my analysis and views about the
severity of this financial and economic crisis - the worst since
the Great Depression - has not changed.
허나, 대공황 이후 최악인 작금의 금융.경제적 위험의 심각함에
대한 내 분석과 전망의 기본적 요지는 변한 게 없다.
I don’t think anyone could suggest that I have been co-opted
by the system and lost my independence. If anything my
concerns that a severe U-shaped global recession may turn
into a worse, L-shaped near-depression have somewhat
increased over time.
내가 시스템에 포용(흡수)되고 독립성을 읽어 버렸다고 누구도 말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지 않는다. (변한 게) 있다면, 심각한 U자형
세계경제침체가 더 나쁜 L자형 준-공황으로 바뀌는 것이 아닌가 하는
내 우려가 시간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
It seems clear that governments will not allow their banking
system to fail altogether and that they will intervene to
rescue whenever needed. My question is: The governments
will save the banks, but who will save the governments? Is it
possible that we are about to see countries default? What
does that mean for the global economy? Which countries are
the ones who pose the greatest risk? - Jonathan Arad
각국 정부는 자국의 은행시스템이 전면적으로 붕괴되는 것을 참지
못하고, 필요하다면 언제라도 구제를 위해 개입할 것이라는 점은
명백해 보인다. 내 질문은, 정부는 은행들을 구할 것이다. 하지만,
정부는 누가 구해주지? 정부가 파산하는 꼴을 머잖아 볼 수도 있는가?
이게 세계경제에는 무엇을 의미하나? 이런 위험이 가장 큰 나라는
어디어디인지?
NR: In many countries the banks may be too-big-to-fail but
also too- big-to-save, as the fiscal/financial resources of the
sovereign may not be large enough to rescue such large
insolvencies in the financial system.
루비니: 많은 나라에서, 은행들은 죽이기엔 너무 크다. 하지만 또한
살려주기에도 너무 크다. 해당 주권국의 재정/금융자원이 금융시스템의
대규모 지불능력 부족사태를 구제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Traditionally only emerging markets suffered - and still suffer
- from such a problem. But now such sovereign risk - as
measured by the sovereign spread - is also rising in many
European economies whose banks may be larger than
the ability of the sovereign to rescue them: Iceland, Greece,
Spain, Italy, Belgium, Switzerland and, some suggest, even
the UK.
예전에는 신흥시장들만이 이러한 문제 때문에 고통을 받았다 - 지금도
받고 있다. 지금은 - 국가신용위험 스프레드로 측정한 결과 - 이런
국가위험이 많은 유럽 국가들에서 상승하고 있기도 하다. 이들 나라의
은행들은 국가의 구제능력에 비해 규모가 너무 크다. 여기에는
아이슬란드, 그리스, 스페인, 이탈리아, 벨기에, 스위스가 포함되며,
어떤 이는 심지어 영국까지 넣는다.
The process of socializing the private losses from this crisis has
already moved many of the liabilities of the private sector
onto the books of the sovereign: banks, other financial
institutions and, soon enough possibly, households and
some important non-financial corporate companies.
위기에 따른 '사적인 손실'을 '사회화'하는 과정을 통해 민간부분의
많은 부채가 이미 국가의 장부로 옮겨졌다. 은행과 다른 금융기관들에
대해 이러했고, 아마도 머잖아 보게 되겠지만, 가계와 몇몇 중요
비금융-민간기업도 포함될 것이다.
At some point a sovereign bank may crack, in which case the
ability of governments to credibly commit to act as a backstop
for the financial system - including deposit guarantees - could
come unglued.
어느 순간 주권국의 중앙은행도 붕괴할지 모른다. 이 경우, 금융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각국 정부가 믿음직스럽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은 - 예금지급보증을 포함하여 - 산산히 무너져 내릴 수도
있다.
-------------------------------------------------------------------------------
What level of oversight is now appropriate from the financial
regulatory authorities? Do they need very large new measures
or should they have a light touch? - Ashok Soni
이 시점에서 금융감독기관이 어느 수준의 감독기능을 보여주는 게
적절한 것인가? 대규모의 새로운 조치가 필요한 것인가, 아니면 가벼운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
NR: It is clear that the Anglo-Saxon model of supervision and
regulation of the financial system has failed.
루비니: 금융시스템의 감독과 규율에 대한 영미식 모델은 실패했음이
명백하다.
It relied on self-regulation that, in effect, meant no regulation;
on market discipline that does not exist when there is
euphoria and irrational exuberance; on internal risk
management models that fail because - as a former chief
executive of Citi put it - when the music is playing you gotta
stand up and dance.
영미식 모델은 자율-규제에 의존해 있고, 이는 사실상 무-규제를
의미한다. 경제적 도취와 비이성적인 풍요함이 만연해 있을 때 정작
'존재하지도 않는 시장의 규율'에, - 전직 시티그룹 최고경영자가
말했듯 - 음악이 흘러나올 때는 일어서서 춤을 춰야하는 바로
이 이유 때문에 실패하는 '내부 위험관리 모형'에 의존해 있었던
것이다.
Furthermore, the self-regulation approach created rating
agencies that had massive conflicts of interest and a
supervisory system dependent on principles rather than rules.
This light-touch regulation in effect became regulation of
the softest-touch.
게다가, 이런 자율-규제는 신용평가회사들이 더 많은 이해상충관계에
빠지게 했으며, 또한 '규율/규칙'보다는 '탁상공론'에 집착하는
감독시스템을 낳았다. 이러한 저강도 규제는 사실상 가장 나약한
수준의 규제가 되었다.
Thus, all the pillars of Basel II have already failed even before
being implemented.
이리하여, 바젤 II의 핵심적 요소들은 시행되기도 전에 이미 실패해
버렸다. (역자주, 바젤II는 금융기관의 자체적 평가에 따라 신용위험을
측정하고, 이에 따라 위험관리를 하도록 하고 있다.)
Since the pendulum had swung too much in the direction of
self-regulation and the principles-based approach, we now
need more binding rules on liquidity, capital, leverage,
transparency, compensation and so on...
지금껏 시계추가 자율-규제와 탁상공론식 접근법 쪽으로 지나치게
옮겨갔기 때문에, 이제 우리는 유동성(환금성)과 (자기)자본,
레버리지, 투명성, (성과)보상 등등에 대해 훨씬 구속력 있는 규율들이
필요하다.
But the design of the new system should be robust enough
to counter three types of problems with rules:
새로운 시스템은, 규율이 수반하는 다음의 세 가지 문제에 대처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해야 한다.
A tendancy toward ‘regulatory arbitrage’ should be bourne in
mind, as bankers can find creative ways to bypass rules faster
than regulators can improve them.
감독기관이 기존의 문제를 개선하기도 전에 은행가들이 제도의 허점을
이용해 먹는 '창의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감독기능의
폭넓은 재량권'을 인정해주는 쪽으로 가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
Then there is ‘jurisdictional arbitrage’ as financial activity may
move to more lax jurisdictions.
다음으로, 금융행위가 보다 느슨한 사법적 판단을 끌어내는 경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법권의 폭넓은 재량권'이라는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And finally, ‘regulatory capture’ as regulators and supervisors
are often captured - via revolving doors and other
mechanisms - by the financial industry.
마지막으로, 관리감독자가 - 회전문과 다른 메카니즘을 통해 -
금융산업에 포섭되는 일이 자주 일어나므로, '감독기능의 포섭/나포'
문제 역시 고려해야 한다.
So the new rules will have to be incentive compatible, i.e.
robust enough to overcome to these regulatory failures.
그래서, 새로운 규율 시스템은 충분한 인센티브를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즉, 이러한 감독 실패 현상을 극복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튼튼한 것이어야 할 것이다.
------------------------------------------------------------------------------
How long will be before we can tell if the US and UK
governments’ plans to rescue the banks prove effective or
not? If they don’t when do you think lending will recover to
near-normal levels? - Canh Humphries, Beckenham
은행들을 구제하기 위한 미국과 영국 정부의 계획이 효과적이었는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으려면, 얼마나 더 기다려야 할까? 이러한 계획이
무위로 끝난다면, 대출이 준-정상 상태로 돌아갈 수 있으리라
생각하는지?
NR: There are three basic approaches to a clean-up of the
banking system: recapitalization together with purchase by
a bad bank of toxic assets; recapitalization together with
guarantees - after a first loss - of the bad assets; outright
government takeover (call it nationalization) of insolvent
banks to be cleaned after takeover and then resold to the
private sector.
루비니: 은행시스템을 정화하는 데는 기본적으로 세 가지 방법이
있다. (1) 배드뱅크가 악성자산을 인수함으로써 정상화
(recapitalization)하는 길, (2) - 이미 드러난 것은 손실로 처리하고
(역자주, first loss를 이리 이해함) - 악성자산에 대해 지급보증을
해줌으로써 정상화하는 방법, (3) 지불능력이 부족한 은행들을 정부가
전면적으로 인수(국유화라고 하죠)해서, 인수후 정상화한 다음 민간에
재매각하는 길.
Of the three options the first two have serious flaws: in the
bad bank model the government may overpay for the bad
assets as the true value of them is uncertain; even in the
guarantee model there can be such implicit over-payment
(or over-guarantee that is not properly priced).
이 세 가지 옵션중, 처음 둘에는 심각한 하자가 있다. 배드뱅크 방안은,
부실자산의 실제가치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정부가 너무 비싸게
사들일 위험이 있다. 지급보증 방안에서도, 이러한 초과-지불(혹은
비용을 적절히 산정할 수 없는 '과잉-보증')이 있을 수 있다.
In the bad bank model the government has the additional
problem of having to manage all the bad assets it purchased.
배드뱅크 모델은, 사들이는 모든 부실자산을 정부가 직접 관리해야
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다.
Thus, paradoxically nationalization may be a more market
friendly solution: it creates the biggest hit for common and
preferred shareholders of clearly insolvent institutions and
- possibly - even the unsecured creditors in case the bank
insolvency is too large; it provides a fair upside to the tax-payer;
it can resolve the problem of government managing the bad
assets by reselling most of the assets and liabilities of the bank
to new private shareholders after a clean-up of the bank.
따라서, 역설적이게도 국유화가 더 시장친화적인 방안인 듯하다.
지급불능인 기관의 보통주와 우선주를 보유한 주주들에게는 국유화가
가장 심대한 타격을 줄 것이고, 아마도 은행의 지불불능이 너무 심각할
경우에는 무보증.무담보 채권 보유자들에게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납세자에게는 공정한 조치이기도 하다. 정상화 이후 새로운
민간 주주들에게 은행의 대부분 자산과 부채를 재매각함으로써, 정부가
부실자산을 직접 관리해야 하는 문제를 제거할 수도 있다.
This “nationalization” approach was the one successfully taken
by Sweden while the current US and UK approach may end
up looking like the zombie banks of Japan that were never
properly restructured and ended up perpetuating the credit
crunch and credit freeze.
이러한 "국유화" 방안은 스웨덴이 성공적으로 이뤄낸 것이기도 하다.
반면 작금의 미국과 영국식 접근은, 결코 적절하게 구조조정되지도
못하고 결국 신용붕괴와 신용동결을 지속시키는 것으로 끝을 낸
일본의 좀비은행과 유사하게 끝을 볼지도 모른다.
------------------------------------------------------------------------------
To balance the US economy - given the US structural current
account deficit - the fiscal deficit needs to baloon. Can the US
default on its debt? - Alessandro Magnoli Bocchi, Kuwait
미국 경제에 균형감을 주려면, - 미국의 구조적 경상수지 적자를
감안하면 - 재정적자가 풍선처럼 부풀어올라야 할 것이다. 미국이
부채에 대해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선언할 수 있나?
And, a related question also addressed in the next answer:
What are the possible damaging, unintended consequences
of the US stimulus plan? - Alessandro Magnoli Bocchi, Kuwait
관련된 질문을 같이 엮음 : 미국의 경기진작책이 의도하지 피해를 낼
수도 있을 텐데, 어떤 것들이 있을까?
NR: While a large fiscal stimulus is necessary to avoid a greater
fall of aggregate demand there are also reasons to be skeptical
about the effectiveness of such a stimulus:
루비니: 총수요의 엄청난 감소를 막기 위해 대규모 재정진작책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역시 이런 진작책의 효과성을 의심할 만한
근거들도 있다.
Most infrastructure spending is not ‘shovel-ready’ and its
implementation may take too much time.
대개 SOC 지출은 즉각 '삽질-준비'을 상태가 아니고, 시행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The tax stimulus may - like the 2008 rebate - be mostly saved
or used to reduce credit card and mortgage debt, since, given
the credit crunch, the ability of households to leverage the
tax rebate to buy durable goods or homes is massively
impaired.
세금감면책은 - 2008년의 세금환급 조치처럼 - 대부분, 신용카드와 모기지
부채를 줄이는 데 쓰이거나 예금으로 돌려진다. 왜냐하면, 작금의
신용붕괴를 고려하면, 세금감면을 통해 내구재나 주택을 살 수 있는
가계의 여력이 심대하게 손상되었기 때문이다.
Furthermore, the multipliers of fiscal policy are ambiguous
and, more importantly, a tsunami of new public debt issuance
may lead by the end of 2009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long
government bond rates as most countries in the world will
now run budget deficits and thus the global supply of public
savings will shrink.
게다가, 재정정책의 '승수효과'가 막연하기도 하고, 더 중요하게는,
새로운 국공채를 대거 발행하는 결과, 세계 대부분 나라들이 이제
적자재정을 꾸려가고 있고, 이로 인해 공공부분의 저축을 통한 세계적
자금공급이 위축될 것이기 때문에, 2009년 말경에는 장기국채의
이자율이 꽤나 상승할 수도 있다.
With US fiscal deficits likely to be about $2 trillion in 2009
and $1.5 trillion in 2010; who, outside the US, as most of the
financing of US fiscal deficits is done by non-residents,
is going to buy such debt and at what dollar value of and
level of interest rates?
미국의 재정적자가 2009년에 대략 2조달러, 2010년에 1.5조달러에
이르는데, 미국 재정적자의 대부분은 국외자들의 돈으로 메우고
있는데, 나라 밖의 누가 이런 채권을 사려고 할 것이며, 어떠한 환율을
원할 것이며, 원하는 이자율 수준은 또 어떠할까?
Eventually, large and persistent fiscal deficits may even lead to
a downgrade - in a few years - of the AAA rating of the US
government.
궁극적으로, 대규모의 지속적인 재정적자는 - 향후 수년 내에 -
미국정부의 현 신용등급 AAA를 하향시키는 사태까지 불러올지도
모르겠다.
------------------------------------------------------------------------------
Do you think investigations and prosecutions should be
conducted by the U.S. Government on the naked short
selling of equities in the stock market? Should they be?
- Erich Benner, Blythewood, South Carolina
주식시장에서 공매도 때린 넘들을 미국 정부가 조사하고 처벌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그래야 하는지?
NR: The ban on naked short selling of equities was a mistake.
루비니: 주식공매도를 금지시킨 것은 실수였다.
Short selling did not cause this crisis: it only reflected the
concern about the solvency of many firms. And the ban on
naked short selling only transferred the speculative pressure
from equities to the credit defualt swaps market creating
even greater problems in the credit derivative markets.
공매도가 작금의 위기를 부른 게 아니다. 공매도는 많은 기업이
안고 있는 지불능력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것일 뿐이다. 공매도
금지조치는 투기적 촛점을 주식시장에서 신용디폴트스왑시장으로
옮겨가게 했을 뿐이고, 이 결과 파생신용시장에서 더 큰 문제를
야기했다.
When equity markets were in a speculative frenzy of an asset
bubble no one requested limits to the ability of investors to
go long (even if such restrictions in the form of higher
margins for leveraged purchases of stocks would have been
beneficial).
주식시장이 자산거품을 좇아 투기적 광기에 휩싸여 있을 때,
투자자가 충분한 지불능력을 유지하도록 제한을 가하는 것을 누구도
요구하지 않았다. 레버리지를 만땅으로 이용하는 주식 매입에
더 높은 증거금을 요구하는 형태의 이러한 제한이 바람직했음에도
말이다.
And when during the same bullish bubble analyst after
analyst showed up in the financial media and talked his book
up, with no one objecting to this spin cycle. But when
investors become bearish and start short selling stocks one
hears talk about prosecuting the “evil short sellers”.
동 주식거품 기간동안 애널들이 꼬리를 물고 금융관련 매체에 나와서
제 장부의 가치를 올리는 말을 할 때에도, 누구도 이런 뻥튀기식 자가발전에
반대하지 않았다. 이제 투자자들이 비관적이 되고 주식을 공매도
하기 시작하니, 사람들은 "사악한 공매도 꾼들"을 처벌해야 한다는
말을 듣게 된다.
This is an outright silly view even if, in the downwards
speculative frenzy, market prices can fall below fundamental
valuations as cascading effects cause falling prices to lead to
margin calls and greater forced selling.
하락을 이용한 투기적 광기의 결과, 폭포수 효과로 인해 가격하락이
마진콜(증거금 확충 요구)을 부르고 이는 더 큰 매도압력이 생기게
하고, 시장가격이 내재적 가치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하더라도,
공매도 금지초지는 명맥하게 멍청한 생각이다.
But banning short selling is not the proper way to address
this disruptive market dynamic.
공매도 제한조치는 이러한 파괴적인 시장의 역학을 처리하는 적절한
방법이 아니다.
Starting with the excesses of the boom period of a bubble
is a more appropriate response, and one that would prevent
such bubbles from becoming excessive, limiting the damage
from the bursting of such massive bubbles.
거품의 형성기에 보이는 과잉은 먼저 다루는 것, 이런 거대한 거품이
터져서 생기는 피해를 줄임과 동시에 거품이 과도해지는 것을 막는
것이 보다 제대로 된 반응이다.
------------------------------------------------------------------------------
Has financial globalization come to an end?
- Jacques Ergas, Chile
금융의 세계화는 이제 끝장난 것인까?
NR: Financial globalization has not come to an end, but there
is certainly a backlash against it.
루비니: 금융의 세계화는 끝나지 않았다. 하지만 그에 대한 반발은
반드시 있을 것이다.
To paraphrase Churchill - capitalist market economies open
to trade and financial flows may be the worst economic
regime, apart from the alternative, as non-market economy
models have failed.
처칠의 말을 좀 바꿔보면 - 대항마인 비-시장경제모형(사회주의적
계획경제)이 이미 실패했기에, 이너마가 없었더라면, 무역과 금융
이동에 개방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는 최악의 경제체제일 것이다.
So while this crisis does not imply the end of market economy
capitalism it has shown the failure of a particular model of
capitalism: the laissez faire unregulated (or aggressively
deregulated) wild-west model of free market capitalism with
lack of prudential regulation and supervision of financial
markets and with the lack of proper provision of public
goods by governments.
그래서(대안이랄 수 있는 사회주의 시스템은 이미 실패했기에),
작금의 위기가 시장경제 자본주의의 종말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특정 양식의 자본주의가 실패했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즉,
자유방임적이고 규제되지 않은(혹은 공격적으로 탈규제화된) 서부-
총잡이식 자유시장 자본주의는, 신중한 규율과 금융시장에 대한
감시감독의 부족으로 인해, 그리고 정부가 공공재를 적절하게
공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패했다.
It is the failures of ideas such as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that deluded itself about the absence of market
failures such as asset bubbles; the “rational expectations”
paradigm that clashes with the insights of behavioral
economics and finance; the “self-regulation of markets and
institutions” that clashes with the classical agency problems
in corporate governance that are thenselves exacerbated in
financial companies by the greater degree of asymmetric
information -how can a chief executive or a board monitor
the risk-taking of thousands of separate profit-and-loss
accounts? Then there are the distortions of compensation
paid to bankers and traders.
자산거품과 같은 시장실패 따위는 없다고 스스로를 기만한 "효율적
시장가설"과 같은 사상의 실패이기도 하다. 행태경제학과 금융학의
직관과 충돌하는 "합리적 기대가설"도 마찬가지고, 기업경영에
있어 노출되는 '고전적 대리인 문제'와 상충하는 "시장과 금융기관의
자기-규율" 개념 역시 다르지 않다. 대리인 문제는 더 커진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금융회사 내부에서 악화되기도 했다 - 도대체
어떻게 최고경영자 한 명이, 이사회 하나가 수천 개나 되는 개별적인
수익/손실 계좌의 위험수위를 감독할 수 있단 말인가? 이에 따라,
은행가와 트레이더에게 지급되는 보상에 있어서도 왜곡이 발생했다.
This crisis also shows the failure of ideas such as the one that
securitization reduces systemic risk rather than actually
increase it; that risk can properly priced when the opacity
and lack of transparency of financial firms and new
instruments leads to unpriceable uncertainty rather than
priceable risk.
작금의 위기는 또한, 증권화가 시스템적 위험(체계적 위험)을
실제 증가시키기보다는 감소시킨다는 것과 같은 사상이 실패였음을
보여준다. 금융기업과 새로운 금융상품들의 은폐성과 투명성 부족이
결국 가격을 매길 수 있는 위험보다는 가격을 매길 수 없는
불확실성을 낳음에도 불구하고, 위험을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과 같은 생각 말이다.
------------------------------------------------------------------------------
Will the crisis bring about a permanent, significant shift in
the economic power balance of the world?
- Giles Chance, China
작금의 위기가, 세계의 경제적 '힘의 균형'에 심대하고 항구적인
변화를 부르지 않을까?
NR: The Anglo-Saxon economic and financial model is
wounded and the role of the US as the leading global
economic, financial and even geo-strategic superpower is
reduced.
루비니: 영미식 경제/금융모델은 많은 상처를 입었고, 세계 경제와
금융, 심지어 지정학적 수퍼파워로서의 미국의 역할이 줄어들었다.
Even without this crisis, the relative and absolute power of
the US would have been reduced by the rise of the fast
growing economies of Brazil, Russia India and China and by
the emergence of the European Union.
작금의 위기가 없었다 할지라도, 급속히 성장하는 브라질, 러시아,
인디아, 중국의 등장과, 유럽 연합의 결성에 따라, 미국의 힘은
절대적으로 상대적으로 줄어들었을 것이다.
But the policy mistakes of the US that perpetuated twin fiscal
and current account deficits and triggered the worst financial
and economic crisis since the Great Depression has accelerated
this shift in the economic and financial power balance of
the world.
재정과 경상수지 측면의 쌍둥이 적자를 지속하고, 대공황 이후
최악인 금융.경제적 위기를 촉발한 미국의 정책 실수는 경제와 금융
부문의 '힘의 균형'에 변화를 가속화시켰다.
Economic and financial superpowers or empires tend to be
net creditors and net lenders (running current account
surpluses) such as the British Empire at its peak. But such
empires decline - the British pounds role as the world’s leading
reserve currency was lost during World War II when the UK
became a large net debtor and net foreign borrower (running
current account deficits) and had large domestic fiscal deficits.
역사적으로 경제적 금융적 초강대국은, 전성기의 대영제국이 그러했듯,
(경상수지 흑자를 보이며) 순채권국이고 돈을 빌려주는 나라였다. 하지만
그러한 제국도 결국 쇠락한다 - 2차대전중 영국이 경상수지 적자를
보이며 대규모 순채무국으로 전락하고 대규모 재정적자를 보이는
동안 세계기축통화로서의 영국 파운드화의 역할은 끝났다.
The US is now the largest net borrower in the world (running
huge current account deficits) and the largest net debtor in
the world while its domestic fiscal deficits are surging too.
미국은 현재, 막대한 경상수지를 보이며 세계에서 가장 큰 순
차입자(매년 돈을 빌려야 하는)이고, 자국의 재정적자 역시 급상승
하면서 세상에서 가장 큰 순 채무국이다.
And unlike the 1980s when the US twin deficits were financed
by the its friends and allies (Japan, Germany and the rest of
the EU) this time around the largest lenders and creditors of
the US are either its strategic rivals (Russia, China, etc.) or a
bunch or relatively unstable petro-states.
미국의 쌍둥이 적자를 일본, 독일 및 EU 다른 나라 등 우방과
동맹국들이 메워주던 80년대와는 달리, 이제 시간이 흘러 이번에는,
미국의 최대 대부자와 신용공여자는 러샤, 중국 등과 같은 전략적
경쟁자이거나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산유국들이다.
So this balance of financial terror makes the US vulnerable to
the kindness of strangers. This growing weakness of the US
suggests a paradigm shift in the economic and financial -
and eventually even geostrategic - power balance of
the world.
이러한 '금융공포의 균형'은 미국이 '이방인의 친절함'을 바래야 하는
지경으로 만들었다. 날로 커지는 이러한 미국의 나약함은, 경제와
금융, 심지어는 지정학적 전략적인 측면에서의 세계적 '힘의 균형'의
파라다임 시프트를 시사한다.
------------------------------------------------------------------------------
Do you believe in the projections made by the Chinese
officials predicting a return to steady growth when all the
planned stimulus measures have been implemented? Do you
expect a reversal in the decisions taken the last 5 years to
outsource a majority of the developed economies production
to China? - Fiorini Mauro, Belgium
중국당국자의 예상대로, 계획된 모든 경기진작책들이 시행된다면
중국 경제가 지속적인 성장세를 회복하리라 보나? 선진국 생산의
대부분을 중국에서 아웃소싱 했던 지난 5년간의 관행이 이제
반대 쪽으로 방향을 틀 것으로 기대하나?
NR: China is now experiencing a hard landing and I predict
that Chinese growth in 2009 may not be higher than 5
percent.
루비니: 중국도 현재 경착륙을 경험하고 있고, 내 예상에, 중국의
09년 경제성장률은 5%를 넘지 못하리라는 것이다.
For a country that needs a growth rate of about 10 per cent
to move millions of poor rural farmers to the modern urban
industrial sector, a growth rate of 5 per cent would effectively
be a hard landing.
가난한 지방출신 농부를 현대화된 도시 산업부문으로 옮기는 데
대략 10%의 성장이 필요한 나라가, 5% 성장을 한다는 것은 사실
경착륙이라 해야 할 것이다.
Fourth quarter gross domestic product growth in China -
measured on a quarter to quarter annualized basis - was
closer to 0 per cent than to the 6.8 per cent year-over-year
growth reported by the Chinese government.
중국정부는 전년동기 대비 6.8% 성장한 것으로 발표했지만,
중국의 지난 4/4분기 GDP성장률은 - 전기대비 연률 기준 - 0%에
근접했다.
Other factors also suggest a hard landing: There was a sharp
fall in generation of electricity in the fourth quarter. China’s
purchasing manager’s index was well below 50 and closer to
40 for six months in a row; there has been a sharp fall in
imports, mostly of intermediate inputs and raw materials.
And while some of the latest data show a marginal
improvement in the second derivative of growth in January,
the first derivative still shows contraction. The manufacturing
sector is still 40 per cent of GDP and it is clearly shrinking.
다른 분야에서도 경착륙을 암시하고 있다. 지난 4분기 전략생산량이
급격히 감소했다. 중국의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0선 한참 아래에
있고, 6개월 연속 40선에 근접해 있다. 주로 중간투입재나 원자재로
쓰인는 수입에 있어서도 급격한 감소가 있었다. 최신 데이터 몇몇이
1월중 GDP의 2차유도값에 있어 부분적인 개선의 조짐을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1차유도값은 여전히 수축을 나타내고 있다(역자주,
위축속도가 떨어지긴 했으나 계속 경기가 위축되고 있다는 말).
중국의 제조부문은 여전히 GDP의 40%를 점하고, 이게 지금 명백하게
위축되고 있다(역자주, 1:2:3차 산업의 구성비를 생각해 보시길).
Whether the short-run policy stimulus in China will be
effective or not is not clear.
작금의 중국 당국의 단기 경기진작책이 효과적일지 아닐지는
명확하지 않다.
Instead, consumption levels are still depressed and private
savings too high because of structural reasons that will take
time to change. The out-sourcing of production to China and
other emerging markets was not a mistake. But a model of
growth based on cheap exports given an undervalued
currency is now in crisis as the US downward adjustment of
consumption requires an increase of domestic private and
public demand in the surplus countries.
하지만, 변하는 데 꽤나 시간이 걸리는 구조적인 이유들로 인해,
민간의 저축률은 지나치게 높고 소비수준은 여전히 위축되어 있다.
생산을 중국이나 기타 신흥국에서 아웃소싱하는 것은 실수라 할 수
없다. 하지만, 미국의 소비가 계속 줄어듦에 따라 이들
과잉생산국에서는 자국의 민간과 공공부분의 수요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저평가된 통화 덕택에 값싼 수출에 의존하는
성장모델은 현재 위기에 처해 있기도 하다.
------------------------------------------------------------------------------
I have read your grave warning about deflation. But,
nevertheless, won’t the enormous increases in money supply
(out of thin air largely) eventually give rise to serious inflation,
possibly hyperinflation? - George Todd, Benalmadena, Spain
디플레이션에 대한 교수님의 엄중한 경고를 읽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발권력을 동원해 주로 허공에서 뽑아낸 것이기는
하지만) 작금의 막대한 통화량 공급이 궁극적으로 심각한
인플레이션을, 아마도 하이퍼인플레이션을 불러오는 것 아닌가?
NR: In the short run the greatest risks to the global economy
are coming from deflationary pressures: slack in goods
markets as aggregate demand falls relative to aggregate
supply; slack in labor markets as unemployment rises sharply;
slack in commodity markets as commodity prices tumble.
루비니: 단기적으로 세계경제가 당면한 최대위협은 디플레이션
압력에서 나온다. 총공급에 비해 총수요가 상대적으로 크게 추락함에 따라
상품시장이 침체되어 있고, 실업률이 가파르게 올라감에 따라
노동시장도 침체국면이고, 상품가격이 고꾸라짐에 따라 상품시장
역시 침체되어 있다.
Concerns have been expressed that the massive injections of
liquidity will be eventually inflationary.
대규모 유동성 투입이 궁극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것이라는
우려가 계속 나왔던 것도 사실이다.
But with large output gaps and surging unemployment rates,
inflationary pressures are unlikely until such gaps are shrinking
sharply.
하지만, 공급이 수요를 크게 초과하고, 실업률을 급상승 중이어서,
이러한 요인이 신속하게 제거되기 전에는, 인플레이션 압력은
가능성이 낮다.
Also, the injections of liquidity are satisfying a surging
demand for liquidity so that the absence of such a large
supply of money would lead to spikes in money market rates;
while base money is sharply rising other measures of money
and credit are flat or shrinking as the money multiplier falls.
This signals that the extra liquidity is being hoarded rather
than spent or lent out.
또한, 대규모 통화 공급이 없다면 화폐시장의 각종 비용(이자율)이
수직상승 할 것이기에, 유동성의 과감한 투입은 날로 증가하는
유동성 수요를 충족시기는 것이기도 하다. 본원통화량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통화승수가 떨어짐에 따라 다른 통화 및 신용
총량은 정체되어 있거나 감소 중이다. 이는, 투입되는 유동성이
소비되거나 대출되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 장롱 속에 잠기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It is true that eventually there may be a temptation to use
permanent - inflationary - monetization of large fiscal deficits
to reduce the real value of public and private debts; indeed
the inflation tax may become politically the path of least
resistance if government would find it hard and unpopular
to raise actual taxes.
종국엔 공공기관과 민간부분이 진 부채의 실질 가치를 떨어뜨리기
위해 대규모 재정적자를 지속적으로 유발하여 궁극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유혹이 있을 수 있음 또한 사실이다.
따지고 보면, 정부가 실제 세금을 늘리는 것이 어렵고 대중의 지지를
얻기도 어렵다 여긴다면, 인플레이션(이라는) 세금이 정치적으로
저항을 가장 덜 받는 길이 될 수도 있다.
But even a relatively dovish central bank such as the Federal
Reserve under Ben Bernanke cannot afford to let the inflation
genie out of the bottle - if inflation expectations were to rise
from low single digits to high single digits or even double
digits - because such a surge in inflation would - eventually -
cause the need for a harsh Volcker-style recessionary
disinflationary policy to bring the inflation- expectations-genie
back behind glass.
하지만, 벤 버냉키의 연준과 같은 온순한(비둘기파의) 중앙은행도
인플레이션이라는 지니(알라딘에 나오는 그넘)를 병 밖으로 불러낼
수는 없다. 그럴 리 없지만 설령 인플레이션 기대값이 낮은 한자리
숫자에서 높은 한자리 숫자나 심지어 두자리 숫자로 올라간다면,
기대-인플레이션-지니를 다시 유리병 속으로 잡아넣기 위해
볼커-식으로 경기침체를 유발하고 디플레이션을 조장하는 혹독한
정책에 대한 요구가 결국 비등해질 것이다.
Also, unexpected inflation can reduce the real value of
nominal debts at fixed interest rates. But many liabilities are
at variable rates: mortgages, bank deposits, short term debts
of households, banks, governments, corporations. So a surge
in inflation cannot reduce the real value of such debts as the
interest rate on them would rapidly be re-priced to include
any increase in expected inflation. So the inflation tax may
not even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liabilities of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 unless it becomes extremely and dangerously
large.
일부로 의도하지 않은 인플레이션이 고정금리부 부채의 실질적 부담
(가치)를 줄일 수는 있다. 하지만, 모기지, 은행예금, 가계 및 은행.
정부.기업의 단기채무 등등 많은 부채가 변동금리 조건이다. 이에
따라, 기대인플레이션을 반영하여 이자율이 급속하게 올라갈 것이기
때문에 이들 변동금리부 부채의 실질 가치는 줄어들지 않는다. 이래서,
인플레이션율이 극단적으로 지극히 위험하게 높은 상황이 아니라면,
'인플레이션 세금'은 민간과 공공부문의 채무를 줄이는 데 전혀
효과적이지 않을 것이다.
------------------------------------------------------------------------------
You recently mentioned total credit losses of $3.6 trillion
compared to current losses of $1.6 trillion. Will the
institutional and geographic distribution of the $2 trillion
increase match that of the first $1.6 trillion, or will it be new
regions and new institutions, that will get sucked in?
- Paul Broder
교수님은 최근에, 현재의 손실분 1.6조달러에 비교되는 총
3.6조달러에 달하는 신용손실액을 주장했다. 증액분 2조달러
분량이 기존 1.6조달러와 동일하게 국가간 기관간에 분담되는지,
아니면 새로운 지역과 새로운 기관들이 새로이 빨려들어갈 것인지?
NR: Our RGE Monitor estimates of $3.6 trillion of peak credit
losses refer only to loans and securities that were originally
generated by US financial institutions. Of these $3.6 trillion
$1.8 trillion will be borne by US banks and broker dealers
while the rest by other capital market firms and investors.
Since the losses coming from securities are estimated to be
$2 trillion and about 40 per cent of them (based on IMF and
Federal Reserve estimates) are borne by non-US investors we
already have $800 billion of losses that will hit foreign
investors/financial institutions, mostly in Europe.
루비니: 최고 신용손실 추정분 3.6조 달러는 '미국금융기관'에 의해
애초에 촉발된 대출과 증권만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3.6조 달러중
1.8조는 미국은행과 투자자들의 몫이고, 나머지는 다른 (나라의)
자본시장 기업과 투자자들의 몫이다. 증권분야의 손실이 2.0조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IMF와 연준의 예측에 따르면) 이중 40%는
미국-국외자들이 감당할 것이므로, 미국은 8000억 달러에 이르는
손실을 이미 외국의 - 주로 유럽의 - 투자자와 금융기관에게 떠안긴
것이다.
But we have not done yet a systematical analysis of the losses
that will hit Eurozone and UK banks or banks in other regions
of the world. Losses to these institutions include the $800
billion from US securitized products sold abroad as well as
the other losses deriving from loan origination and
securitization and issuance of other instruments in areas such
as Europe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세계 다른 지역의 은행이나 유럽권, 영국 은행들이 감당할 손실에
대해서는 아직 체계적인 분석을 수행하지는 않았다. 이들 기관이
감당할 손실에는, 해외에서 팔린 미국의 증권상품에서 나오는 8000억
달러뿐 아니라, 유럽과 세계 다른 나라에서 발생한 대출.자산유동화 및
기타 증권발행에 따른 다른 손실들도 포함되어야 한다.
A preliminary analysis suggest that, in the aggregate, the
US banking system is insolvent as its capital before the crisis
was $1.4 trillion and below expected losses of $1.8 trillion;
a good part of the UK banking system appears also to be
insolvent.
사전적 분석에 따르면, 총체적으로 보아, 영국의 은행시스템은
지불능력을 상실했다. 현 위기 전에 영국은행의 총자본은 1.4조
달러로, 예상 손실 1.8조 달러보다 한참 아래에 있다. 영국
은행시스템의 상당부분이 지불능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
Is the solution to just keep re-inflating bubble after bubble
to recapitalize our consumer driven economy or is it time for
a huge systemic paradigm shift away from consumerism?
What type of shift would you envision and would it destroy
the economy as we currently know it?
- Robert Singer, Oregon, USA
우리 소비-지향 경제를 정상화시키기 위해 또다른 거품을 계속
만들어가는 게 해법인가? 아니면 소비주의에서 벗어나 거대시스템적
파라다임 전환이 필요한 때인가? 어떤 유형의 전환을 상상하는가,
그리고 그게 작금의 경제체제를 파괴시키는 것을 의미하는가?
NR: For the last 30 years the US has been growing fast only
during periods of asset bubbles that eventually burst with
significant economic and financial costs.
루비니: 지난 30년간 미국은 단지 자산거품 기간동안만 빠르게
성장해 왔다. 하지만 자산거품은 종국에 심대한 경제적 재정적
비용을 수반하며 터졌다.
The 1980s real estate bubble went bust in the late part of
that decade leading to a severe banking crisis for the Savings
and Loan banks, a credit crunch and a severe recession in
1990-91; next the 1990s tech/internet bubble went bust in
2000 leading to the 2001 recession; massive monetary and
credit easing - as well as lax supervision/regulation of
mortgages and credit - led to another housing and credit
bubble that has now gone bust creating a severe financial
crisis and recession.
80년대의 부동산 거품은 80년대 말에 터져서, 주로 대출대부은행들을
중심으로 심각한 은행위기와, 신용붕괴와 90-91년간의 심각한
경기침체를 불렀다. 다음으로 90년대의 기술/인터넷거품은 2000에
터졌고, 01년의 경기침체를 낳았다. 대규모 통화완호와 신용완화는
모기지와 신용에 대한 허술한 감리감독과 맞물려 또다른 주택과
신용거품을 이끌었고, 지금 막 터져서 심각한 금융위기와
경기침체를 만들어내고 있다.
The current monetary easing may lead to another bubble but
we are somehow running out of bubbles to create.
작금이 통화완화가 또다른 거품을 만들지도 모르겠지만, 새로이
만들어낼 만한 거품이란 게 남아 있지도 않다.
Housing, credit, equities, commodities, hedge funds, private
equity bubbles: they have all gone bust now. We need to
create an economic system that is less prone to bubbles and
more likely to lead to sustainable stable growth.
주택, 신용, 주식, 상품, 헤지펀드, 개인주택담보(?) 등 모든 부문의
거품들이 죄다 지금 터져버렸다. 가급적 거품을 부르지 않고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이끌 수 있는 새로운 경제 시스템을
만들 필요가 있다.
For the last few years the US has overinvested in the most
unproductive form of capital - residential housing stock that
increase utility but not labor productivity - and not enough
into physical capital that increases the productivity of labor.
지난 수년간 미국은 가장 비생산적인 유형의 자본에 - 노동생산성이
아닌 소비효용을 늘리는 주거용 주택 재고에 - 과잉 투자해 왔다.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물질적 자본에는 충분히 투자하지 않았다.
Also we overinvested in the financial sector, a corollary of
the housing boom: when the S&P500 market capitalization
of financial firms was 25 per cent of the market and when
over a third of the profits or earnings of S&P500 constituents
came from financial companies, that was an excess of finance.
또한 우리는 주택붐의 당연한 연결고리인 금융분야에 과잉 투자했다.
S&P500 시장에서 금융기관이 차지하는 시총비중이 25%수준이나,
S&P500 전체 이익과 당기순익의 1/3이 금융기관에서 나온다. 이는
분명 금융 과잉이다.
And having a country where there are more financial engineers
than computer engineers or mechanical engineers means
a misallocation of human capital as well.
컴퓨터 전문가나 기술자보다 금융공학자가 더 많은 나라는 또한
인적자본을 잘못 분배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So we need to create a growth model relying less on
housing/real estate, less on finance and less on having the
brightest minds of the country going into financial services
rather than into the production and innovation of new and
improved goods and services.
주택이나 부동산에 보다 덜 의존하는, 금융에 보다 덜 의존하는,
나라의 인재들이 새롭고 개량된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혁신하는
곳보다는 금융 서비스 분야로 모여드는 현상에 보다 덜 의존하는
성장 모델을 만들 필요가 있다.
------------------------------------------------------------------------------
Could any of the weak eurozone countries should be forced
out of the single currency because of the effects of the crisis,
and if that happened, how is the euro likely to behave?
- Vincenzo, Italy
현 위기의 결과, 유러권 나라중 하나라도 단일 통화권에서 빠져나갈
수밖에 없는 사태가 발생할까? 발생한다면, 유러는 어떠한 움직임을
보일 것 같은가?
NR: There is now a rising - even if still quite low - risk that
some countries will eventually be forced out of the eurozone.
- 여전히 매우 낮기는 하지만 - 몇몇 나라들이 궁극적으로
유러권에서 퇴출될 위험이 현재 커지고 있다.
The whole idea of a monetary union was that since member
countries would not have independent monetary policy,
independent fiscal policy and independent exchange rate
policy they would be induced to implement more aggressively
structural reforms to ensure convergence of productivity
growth and prevent divergence of economic performance.
단일통화권역의 기조 사상은, 회원국들이 독자적 금융정책과
독자적 재정정책, 독자적 환율정책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각국이
보다 공격적으로 구조적 개혁으로 실행하여, 생상성 향상의 조화를
도모하고 경제적 성과의 차이를 막는 데 더 노력한다는 것이었다.
Germany went through a brutal corporate restructuring that
led to rising labor productivity growth with modest nominal
wage growth that restored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untry.
독일은 혹독한 기업구조조정을 감행했고, 노동생산성이 계속
향상되면서도 명목임금 상승률은 적정수준에서 멈출 수 있었고,
국가경쟁력을 회복하였다.
In Spain, Portugal, Italy and Greece instead such structural
reforms lagged and nominal wage growth outstripped
productivity growth leading to increases in relative unit labor
cost and real appreciation that reduced competitiveness.
And now, on top of this loss of competitiveness some
eurozone economies suffer also of a too-big-to-be-saved
problem as the potential losses of their banks are larger than
the national fiscal resources.
반면 스페인과 포르투갈, 이탈리아, 그리스에서는 이러한 구조
개혁이 지체되었고, 명목임금 상승률이 생산성 향상을 초과하여
상대적 단위노동비용의 상승과 실질적 임금상승이 일어났고, 이는
국가경쟁력을 떨어뜨렸다. 지금은, 이러한 경쟁력의 상실에 더해,
몇몇 유러권 국가들이, 자국 은행의 잠재적 손실이 국가의
재정여력보다 크기 때문에 '구하기엔 너무 큰' 예의 문제를 안고
있다.
So the monetary union is under pressure as sovereign spreads
are also rising. Two years ago - while still being in the
opposition - the current Italian prime minister, Silvio
Berlusconi and Mr Tremonti, his exonomic minister, argued
that the euro had been a disaster for Italy.
각국의 신용스프레드가 올라감에 따라 유러공동체는 압력을 받고
있다. 2년 전에 - 지금도 여전히 반해하는 입장에 있지만 - 현 이탈리아
수상 실비오 베를루스코니와 경제장관 트레몬티는 유러가
이탈리아에게는 재앙이었다고 주장했다.
With friends like these who needs enemies in the monetary
union?
벌써 이런 친구들이 있는데, 유러권역에서 또다른 적이 과연 필요나
할까?
While the risk of a break-up of the eurozone is still distant
this financial and economic crisis is the first real test of the
monetary union.
유러권의 붕괴위험이 여전히 멀리 있지만, 작금의 재정적 경제적
위기는 이 통화통합체에 대한 첫번째의 중대한 도전이기도 하다.
------------------------------------------------------------------------------
Many analysts are now predicting that the bond market is the
last and most serious bubble which will burst shortly. Do you
agree? - Mike, Qatar
많은 분석가들이 예상하길, 채권시장이 머지않아 터질 마지막이자
가장 위험한 거품이라고 한다. 동의하는지?
NR: The current fall in government bond yields is justified by
economic fundamentals: a severe recession, risks of deflation,
risk aversion and move away from risk assets such as equities.
작금의 정부채권 수익률 저하(이자율 하락)는, 심각한 경기침체,
디플레이션 위험, 위험회피 성향,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으로부터의
이탈 등 경제적 펀더멘털 요인에 따라 정당화된다.
But certainly, over time, large and unsustainable budget
deficits in many emerging and advanced economies, may
lead to a rise in sovereign risk and a risk in government bond
yields. Also the risk - small but rising - that excessive permanent
monetization of such deficits will lead to much higher inflation
suggests the existence of a minor bubble in government bond
yields.
하지만 명백하게, 많은 신흥국과 선진국들에서 행하고 있는 대규모의
지속불가능한 재정적자는, 장기적으로, 국가위험의 상승을 불러오고,
정부채권 수익률(이자율) 상승을 부를 것으로 본다. 이러한 적자재정을
통해 과도하고 지속적으로 통화량을 공급하면 훨씬 높은 물가상승률을
낳을 것이라는 - 현재로서는 작지만 계속 커지고 있기도 한 - 위험은,
정부채권 수익률에 작은 거품이 존재함을 시사하기도 한다.
And indeed, in the last two weeks, the back-up in yield on
US inflation-linked bonds and traditional 10 to 30 year bonds
suggest the concerns of market participants about the
sustainability of large fiscal deficits that - over the long run -
may lead to solvency concerns.
사실, 지난 2주 동안, 미국의 인플레이션-방어 채권과 전통적인
10년/30년 만기 재무부 채권의 이자율이 되돌아 올라가기도 했다.
이는 시장참여자들이, 장기적으로 갚기나 할 수 있을지 걱정해야
할 정도의 대규모 재정적자가 과연 지속가능한 것인지 우려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Copyright The Financial Times Limited 2009
첫댓글 흐미 번역문 이해 하기도 골치 아프구먼 대단하삼유~~~~~~~~~~~^^ ㄳ히 잘 읽었슴다~~~~꾸~~~~뻑
감사히 잘봤습니다. 번역 하는 게 쉽지 않은데^^. 중국에 대한 지적도 잘해주셨네요. 역시 "자기장부를 위해서 말을 하지 않는 정신"이 있는 사람들은 다르다는 생각이 듭니다.
와, 수고하셧습니다.
흐미~ 악파트님 실력도 좋으시네요. 감사히 잘 보겠습니다. 요즘 하도 하수상해서 마음이 안정이 안되네요. 미국 일반인들도 그렇겟지요.
시간가는줄 모르고...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원서로 읽으려고 했으면 눈이 많이 아플 뻔(?)했습니다. 몰랐었는데 좋은 글을 읽었습니다.
글을 읽으면서 문득 '바벨탑의 비극'이 생각나는군요. 성경에서 '바벨탑'이라는 기념비를 세우게된 동인은 바로 '언어의 통일'이었던가요^^ 오늘날 지구촌은 인터넷을 위시한 여러유형의 의사교환수단(Communication Channel)을 매개로 미국식 자본주의하에서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방향으로 통합에 길을 걸어왔고, 그게 얼마동안은 '효율적이고 윈-윈하는 방식'이라는 착각에^^, 헌데 그렇게 통합된 경제사회체제들은, 한 구석에서 발발한 위기가 (개별 경제사회체제에서라면 국소적인 불행으로만 끝나버렸을 것이) 전면적인 파급효과(Propagation effect)를 가지면서 대량화되고 눈덩이현상(Snowball effect)로 발전하게 된다는 것을 간과
그런 측면에서 본다면 얼마간의 미래에 EU체재의 붕괴는 역사의 필연일듯 싶네요. 실패로 끝나가고 있기 하지만 DDA를 통한 세계화나 WTO체제에서 출발한 FTA도 그런 견지에서 본다면 대단히 부정적인 측면을 갖게 될 것이라는 생각^^ 암튼 경제는 잘 모르지만,,, 생명논리에서 보자면 이미 잘못든 길에 접어든 지구촌의 앞날이 걱정스럽군요. 좋은 글 인용번역해주셔서 잘 읽고 갑니다. 감사~
좋은글 번역하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프린트해서 읽어 봐야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이 긴 글을 다 번역하시다니 수고하셨어요, 잘 읽고 갑니다~
감사 ^^
고맙습니다 ~~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악파트님
Abce..., 와~ 짝짝짝, 감사합니다. 몽매한 저에게도 행운을 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꾸벅.
너무 감사 합니다 ^^
국어 실력도...^^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곳이 아니면 접할수도 없고 읽을 엄두도 안낼 소중한 글.....덕분에 감사하게 읽어봅니다. 고생많이 하셨네요
너무 감사합니다..잘 읽었습니다.
모르는 것은 많지만, 잘 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흐메... 다 읽을 시간도 낼 수는 없지만.. 독자들을 위하고 또 이 카페 홍보용으로 몇군데에 퍼 나르겠습니다.
혼자서 궁금해 했던 내용들에 대해 이제야 윤곽이 드러난느낌입니다.감사합니다.
악파트님 대단하시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번역 수고많으셨습니다...블로그로 가져가도 될런지요? 혼자 보기엔 아깝습니다...^^
눈이 너무 아프네요...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에 또 다른 글을 읽을수 있는 기회를 주신다면.... 더 감사하겠습니다.
'이성적 사유의 보편성'이 확연하게 드러나는 글입니다. 우리 포럼에서 '주류적'(??) 견해(악파트님을 비롯한)와 유사성이 많이 드러나는 군요.^^ 우리의 현실과 차이점이 있다고 한다면, '금융감독의 강화방안' 정도이겠네요.. 기본 전제인 '감독당국'의 능력과 신뢰성에 대하여 '루'교수는 신뢰의 문제는 당연히 전제하고, 규제의 방향과 방법의 문제만을 지적하는데, 우리는 그 기본적인 전제가 충족되어 있지 아니한 상태라서...^^ '감독권의 폭넓은 재량', '사법의 폭넓은 재량' 대목이 설득력 있게 다가오지 아니하네요. 차라리 미국이 부러운 순간입니다.^^ 고생하셨고.... 잘 읽었습니다. 스크롤의 압박이 심하긴 하였지만, '원문대비'
^^ 저도 루비니 교수 글은 처음으로 제대로 읽어본 듯합니다. 사람 생각이 다들 비슷하다는 점에 간혹 싸늘하다니까요. ... '감독권의 재량'은 우리나 일본.중국 등 권위주의적 요소가 강한 나라에서는 딱히 적용되지 않을 것입니다. 이미 각종 '행정지도'와 '인사권'을 쥐고 너무 많이 행사하고 있기도 하니까요. 다만, 재벌과 자본의 입김이 재량권의 행사방향을 묘하게 틀어버리는 것은 제도적으로 막아야할 텐데, 어째... '사법권의 재량'은 '유전무죄 무전유죄'현상에 대한 비판이라고 봅니다. 루비니 교수는 '사법권 재량범위 확대'를 주장한 게 아니라, 이러한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가 없음으로 인한 '딴지'를 고려할 때는 불가피하였겠지요.^^ 아 참, 또 하나 우리의 현실과 다른 부분이 있는데, '뭐 해 보고 싶어도 또 다른 버블의 대상이 있기나 하겠습니까'라는 '루'교수의 낙관은 최소한 한국사회에서는 그대로 통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네요..... 우리의 영원한 로망 '아파트'가 있어서요.^^
다행스럽게도, 루비니 교수는 '환율과 싼값에 의존하는 수출주도 성장모형'의 한계를 지적하고 있기도 하지 않습니까? 중국 얘기같지만, 실은 한국에 더 어울리는 것이겠죠. 일본의 성장모형을 우리가 차용했고, 우리 것이 또한 중국의 모형이기도 하니까요. 홍콩향 물량까지 포함하면 지난 1월 우리의 대중국 수출이 무려 -46.4% 감소했다고 중국당국이 발표를 했네요. '어렵지만 버티자'는 수준을 넘어 '버틸 수나 있을까' 걱정을 해야 하는 상황이지 싶네요.^^ '로망'도 좋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꿈을 일어나기 직전에 너무 늦게 꾸는 듯 싶어요. 머잖아 날이 밝아 눈을 뜨면, 개꿈임에 허탈해하는... ㅋㅋㅋ
'로망'은 '로망'이라서 로망이겠지요..^^ 설마 우리 집권세력이 '로망'을 '현실'로 생각하는 '돈키호테'이기야 하겠습니까.^^ 김칫국물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머리속 '잔머리' 수준에 불과해야 겠지요. 1월 들어서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는 듯 합니다. 중소기업과 가계를 중심으로 연체율이 뚜렸하게 방향을 잡아가는 듯 하네요.^^
감사합니다. 시간되면 찬찬히 다시 한번 읽어 볼 생각입니다. 댓글 읽는 재미도 솔솔합니다.
수고 하셨습니다. 글에서 밝혔듯이 4가지 대책이 필요한데 이중 3번에 문제입니다. 은행을 제대로 정상화 하자면 기존 주주의 손실이 불가피한데 이는 월가의 큰 손실, 따라서 이들이 반대하고 현재 가이트너등도 다 이들과 무관하다고 할수 없기 때문입니다. 혹자는 알 카포네가 범죄와의 전쟁의 책임자인 것과 흡사하다고 합니다. 월가 재무부 연준이 다 초록이 동색인게 문제지요. 국가를 볼모로 협박하는 모양새가 된것이지요. 아마도 그래서 결국 루비니 교수가 좀비은행이 될거라고 한것 아닐까요...
좀비 은행가지고 그동안 과다하게 소비에만 주력한걸 카버할 수 있을까요? 불가능해 보입니다.
좋은 글 훌륭한 번역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잘읽었습니다....
유로권이 많이 궁금했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번역하시느라 힘드시지 않으셨는지...감사드려요~~^^
수고 많으셨습니다. 좋은 글 고맙습니다.
내가 머리가 나빠서 반도 이해 못했지만 좋은 번역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