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aver.me/xSjXLFKl
우키요에(浮世絵)-서양 현대 미술에 영향을 미친 일본의 다색판화
1. 개요
일본 에도시대 중기에서 후기에 유행한 판화. 화려한 종이 회화, 정밀한 조각이 특징이다. 초기엔 육필화에서 시작됐으나 다색 판화 기법인 니시키에 참고가 출현한 뒤로는 거의 판화 기법으로 제작됐다.
2. 양상
상업자본의 발달에 따라 늘어난 대도시의 대중을 상대로 출현한 예술작품이다. 다루는 소재도 당대의 가부키 배우나 유곽의 유녀, 스모선수, 고전소설 속 인물들과 도카이도나 후지산 같은 유명한 풍경 등 대중에게 쉽게 수용되는 소재를 주로 다루었다. 21세기 시점에서 보면 인기 연예인들이나 걸그룹들의 화보나 직캠과 비슷한 성격의 작품인 셈이다. 하지만 가장 많이 만들어지고 가장 잘 팔린 장르는 춘화였다. 요즘으로 치면 AV와 포르노 사진. 가격은 한 장당 당시 소바 한 그릇 가격으로 현재 400엔이나 500엔 정도였다. 이런지라 당시에는 별 가치도 없어서 현대에 잡지를 뜯어 완충재로 집어넣거나 둘둘 싸듯 우키요에를 포장지로 널리 써 먹었다. 물론 귀한 재료들이나 종이로 찍어낸 우키요에나 육필화로 그린 우키요에는 귀하게 다뤄졌으며 정부는 종종 이런 사치스러운 우키요에를 찍어내는 업체들을 감시하는 한편[2] 어느정도 타협해 눈감고 봐주기도 했다.
우키요에는 기존 일본화 전통에 난학을 통해 유입된 서양화 기법(원근법, 명암법)이 적용되면서 발생했다. 18세기 중엽에 나가사키에 서양화, 소주(蘇州)판화[3]가 유입되었다. 18세기 말에 시바 고칸이 서양화 기법을 적용해 동판화와 유화를 그렸으며, 19세기에 이르면 서양화 기법이 적용된 우키요에가 그려진다. 19세기 후반에 유럽에 우키요에가 유행한 것을 생각하면, 우키요에는 세계사에서 반복적으로 관찰가능한 문화의 순환고리[4]의 흥미로운 한 예를 보여준다 하겠다.
우키요에는 다색 판화로 용이하게 찍어내기 위해서 색이 강렬하고 평면으로 되어 있는 구성이 높이 평가받아 19세기 후반에 유럽의 일본풍 유행을 이끌었다. 우키요에 화첩이 도자기 등 상품을 포장하는 포장지로 사용된 것이 도자기 수출로 유럽쪽으로 흘러들어가게 되었는데, 이를 보고 큰 인상을 받은 19세기 프랑스 인상파 화가들이 우키요에에 크게 영향받은 것. 자포네스크의 원조격 되시겠다. 다만 얼굴을 너무 이상하게 그려서 인기가 없었다는 이유로[5] 다수가 포장지로 쓰여져 유럽에 다수 넘어가게 되어 강렬한 인상을 유럽인들에게 끼쳐 본의 아니게 일본 회화의 대표격으로 유명하게 된 도슈사이 샤라쿠 인물화의 표정이 지금으로 볼때는 꽤 얼굴개그같아서[6] 일본 문화 지식이 없거나 매우 얕은 외국 사람들은 이 샤라쿠의 우키요에의 이미지가 매우 강해서 일본 전통화 = 우키요에로 잘못 받아들이기 쉽다.
우키요에는 한 사람이 아니라 여러 사람이 협동해서 만들었는데 밑그림을 그리는 사람을 '에시', 밑그림을 목판에 붙여 칼로 파내던 사람을 '호리시', 파낸 목판에 물감을 묻혀 찍어내던 사람을 '스리시'라고 불렀으며 이들을 감독및 총책임을 지던 사람을 '한모토'라고 불렀다. 한모토로 가장 유명했던 이가 바로 츠타야 주자부로(蔦屋重三郎)로 도슈라이 샤라쿠와 기타가와 우타마로를 발굴해낸 장본인이다.[7]
유명한 화가로는 뒤돌아보는 미인으로 유명한 히시카와 모로노부, 우키요에 화가들 중 유일하게 육필화로 그려왔다는 가이게쓰도 안도(懐月堂安度)[8], 후카쿠 36경[9], 제국폭포순례를 그린 가쓰시카 호쿠사이, 니시키에의 시초이자 메이와의 3미인을 탄생시킨[10] 스즈키 하루노부, 10개월가량만 활동했다가 사라진 정체불명의 우케요에 화가(사실 사이토 쥬로베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도슈사이 샤라쿠, 인물화로 유명한 기타가와 우타마로, 풍경화로 유명한 안도 히로시게, 무사화로 유명한 우타가와 쿠니요시[11], 가츠카와 학교를 세운 장본인이자 가츠카와 슌에이, 가쓰시카 호쿠사이 등 여러 화가를 발굴한 당대 최고의 우키요에 화가인 가츠카와 슌쇼[12] 등이 있다.
현재까지도 명맥이 이어지고 있어 2016년에는 하비스톡에서 하츠네 미쿠의 우키요에가 발매되기도 했다. 제작자는 에도시대부터 우키요에 기술을 전수받아 온 와타나베 카즈오 명인.
3. 주요 작품
2018년에는 피그마로 입체화되기도 하였다.
이곳은 원래 눈이 안내리는 지역이다. 안도 히로시게[安藤広重] / 우타카와 히로시게[歌川 広重](1797~1858)는 이전 그림까지는 직접 본 풍경을 그렸는데, 인기를 끌자 연작 시리즈에서 의도적으로 그림을 사주는 사람들이 싫증나지 않도록 설경을 상상으로 그렸다고는 하나, 그린 연대와 작가의 활동시기와 겹쳐, 소빙하기(1340~1850)의 증거로 거론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1810~1830년대, 인도네시아의 탐보라 화산이 폭발하여 1816~1817년, 북반구에 봄, 여름이 없던 시기가 있었다.
4. 평가와 영향
안도 히로시게의 원작과 오른쪽은 고흐의 모사
메이지 시대 이후 우키요에는 해외에서 높게 평가된 다량의 작품들이 일본 국외로 건너갔다. 이 때문에 회화 작품으로써 우키요에 연구에 있어서는 체계적이고 학문적인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개별 수집가와 연구자에 의해 연구 결과 다른 주장이 부분적 · 간헐적으로 반복될 뿐이다. 또한 기타가와 우타마로 등의 작품을 비롯하여 많은 유명작품의 가짜가 에도 시대 당시부터 유통되고 있다.
우키요에는 유럽의 인상파의 거장들에게 발견되어 그 작품에 영향을 주고, 고흐 등으로 유화에 의한 모사도 되어있다. 구미의 유명한 박물관 20관 이상에 20만 점 이상을 소장한 듯하다. 그 이외에는 개인 컬렉션으로도 외국 미술품이 이만큼 수집되는 것은 우키요에뿐이다. 보스턴 미술관에는 5만 점, 푸시킨 박물관에는 3만 점 등 1만 점 이상 소장한 곳도 적지 않다.
화려한 종이 회화, 정밀한 조각이 이루어진 판화군은 세계에서 우키요에 뿐이며, 서양 미술에도 이 분야는 없는 것이 높은 평가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메이지 시대의 문헌에 따르면, 무명 화가를 포함하면 2천 명에 가까운 화가가 그 당시까지 있었다는 것이다. 당시에는 판화의 경우 한 작품에 100에서 200개는 찍을 수 있었고 많은 우키요에가 시중에 나돌고 있었지만, 현재는 오래된 우키요에는 동일한 작품이 남아 있는 일은 거의 없다.
우키요에 가운데서도 섬세한 작품들은 이미 높은 값에 해외로 팔려나간 것들이 많기때문에 남아 있는 작품 중에는 우타마로를 비롯한 비교적 간결한 구도가 많은 반면 복잡한 구도의 채색 우키요에는 적다. 많은 수집과 높은 평가가 시작된 것으로 생각되는 에도 막부 말기와 메이지 시대의 수집 방침 및 평가가 현재까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럼에도 우키요에가 판화로 대량생산을 했던 특성 때문에 대중화가 많이 이루어졌던 관계로, 지진이나 전쟁으로도 소실된 작품이 적지 않음에도 오래된 집에서 대량의 우키요에가 발견되곤 한다.
5. 일본 국외에 미친 영향
1865년, 프랑스 화가가 일본에서 수입한 도자기의 포장지에 사용되고 있던 「호쿠사이 만화」를 친구들에게 보여주고 다녔던 것으로 미술가 사이에서 그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서민의 오락이며, 싼값에 거래되고 있던 우키요에는 유럽에서 당시 일본인들에게는 생각할 수 없을 정도의 고가로 거래되었다. 그 후 다양한 작품이 정식으로 일본에서 건너가게 되어, 인상파의 작풍에 큰 영향을 주게 되었다.
화가들 중 특히 고흐는 우키요에에 심취해 '탕기 할아버지'라는 작품의 배경으로 우키요에를 그리거나 소녀를 그린 그림에 '라 무스메'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했다. 히로시게의 그림을 유화로 모사하고, 에두아르 마네의 '피리 부는 소년'이 우키요에의 영향을 받은 것은 유명하다. 그 외에 에드가 드가, 메리 카사트, 피에르 보나르, 에두아르 부에야루,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렉, 고갱 등에게도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근현대 프랑스 화가 클로드 모네가 우키요에 작품을 열심히 수집했다.
또한 자포니즘의 영향과 일본 미술을 취급하던 빙에 의해 아르누보에게서 우키요에처럼 평면적인 디자인이 보인다.
클로드 드뷔시가 호쿠사이의 그림에 영감을 받아 교향시 "바다" 를 작곡하는 등(1905년에 출판된 총보의 표지로 쓰였다.) 클래식 음악에도 영향을 미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