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은 종합예술과 흡사하다. 수업은 처음 의도한 대로 진행되지 않는다. 변화 요인이 많기 때문이다. 첫째는 교사의 수업 능력과 실행 능력은 실제 수업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교사의 기질에 따라 마치 전략가처럼 논리정연한 토론 수업을 능숙하게 할 수 있는 수업 능력을 갖추고 있으니 실제 수업에서는 학생의 기질에 따라 설계한 대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둘째 학생의 수업 선호도에 따라 실제 교사의 수업 능력이 다르게 평가되기도 한다. 모험을 즐기듯이 활동을 선호하는 학생들에게 교사의 전통적인 수업 능력은 힘을 발휘할 수 없다.
수업 성숙도는 이처럼 교사들의 수업 능력에 따른 수업 실행의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다. 표준화 점수로 그래프로 나타내준다. 교사들은 수업 성숙도를 보고 자신의 수업 위치와 수업 상태를 알 수 있으며 수업을 성찰하는 중요한 도구가 된다. 교사의 수업 행위는 그 자체로 복잡한 예술 작품이다.
수업 시간에 이루어지는 교사의 가르침과 아이들의 배움이 섞이지 않는 물과 기름처럼 따로 분리되기도 한다. 교육과정을 분석할 때 정작 수업을 듣는 아이들을 간과할 때가 많다. 수업 몰입성에 어려움을 겪는 교사일수록 가르침을 통해 아이들을 배움의 장으로 이끌어오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수업계획을 세울 때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흥미롭게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아이들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호기심을 자극해야 한다.
수업은 복합적이어서 다양한 아이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수업의 안목이 필요하다. 수업의 안목이 깊고 넓을수록 수업에서 선풍을 일으킬 수 있다.
수업 다양성은 머릿속으로만 그리던 상상을 현실의 세계로 끌어온다.
교실 혁명은 수업에서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