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일본 주사기 및 주사바늘 시장동향 | |||||||||||||||||||||||||||||||||||||||||||||||||||||||||||||||||||||||||||||||||||||||||||||||||||||||||||||||||||||||||||||||||||||||||||||||||||||||||||||||||||||||
---|---|---|---|---|---|---|---|---|---|---|---|---|---|---|---|---|---|---|---|---|---|---|---|---|---|---|---|---|---|---|---|---|---|---|---|---|---|---|---|---|---|---|---|---|---|---|---|---|---|---|---|---|---|---|---|---|---|---|---|---|---|---|---|---|---|---|---|---|---|---|---|---|---|---|---|---|---|---|---|---|---|---|---|---|---|---|---|---|---|---|---|---|---|---|---|---|---|---|---|---|---|---|---|---|---|---|---|---|---|---|---|---|---|---|---|---|---|---|---|---|---|---|---|---|---|---|---|---|---|---|---|---|---|---|---|---|---|---|---|---|---|---|---|---|---|---|---|---|---|---|---|---|---|---|---|---|---|---|---|---|---|---|---|---|---|---|---|---|
작성일 | 2014-08-19 | 국가 | 일본 | 작성자 | 박은희(도쿄무역관) | |||||||||||||||||||||||||||||||||||||||||||||||||||||||||||||||||||||||||||||||||||||||||||||||||||||||||||||||||||||||||||||||||||||||||||||||||||||||||||||||||||
품목 | 내과용ㆍ외과용ㆍ치과용ㆍ수의용 기기[신티그래픽(scintigraphic)식 진단기기ㆍ그 밖의 전기식 의료기기와 시력 검사기기를 포함한다] | |||||||||||||||||||||||||||||||||||||||||||||||||||||||||||||||||||||||||||||||||||||||||||||||||||||||||||||||||||||||||||||||||||||||||||||||||||||||||||||||||||||||
품목코드 | 9018 그 외 1건 | |||||||||||||||||||||||||||||||||||||||||||||||||||||||||||||||||||||||||||||||||||||||||||||||||||||||||||||||||||||||||||||||||||||||||||||||||||||||||||||||||||||||
--> -->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시장규모 - 주사기 및 주사바늘을 주요 품목으로 하는 의료 처치용 기기의 경우 지속적 시장확대 경향 - 일본의 주사기 및 주사바늘(HS901831, 901832) 생산량은 2012년 4억900만 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1.75% 증가했음. - 일본 후생노동성 통계 발표에 따르면, 일본 내 주사기 및 주사바늘의 출하금액은 4억700만 달러를 기록, 전년대비 10.2% 증가했음.
(단위: 백만 달러, %)
자료원: 후생노동성, 약사공업생산동태통계연보, 2012
□ 시장전망
○ 수요증대 예상요인 -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의료분야 수요 증대 - 무통증 바늘침 개발 기술력 향상에 따른 생산력 향상 - 엔저로 인한 일본 기업의 수출 증가
○ 수요 감소 예상요인 - 인구 감소에 따른 잠재 수요 감소 - 투약 방법 변환제품(패치형)의 개발 - 보험상환가격 인하에 따른 제품 단가 하락
○ 무역관 전망 - 일본의 의료기기시장은 계속되는 인구 고령화에 따른 의료 수요의 증대, 새로운 치료(저침습 치료) 보급 등의 요인에 따라 지속적 확대가 예상됨. - 다만, 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로 인한 잠재 의료 수요의 감소와 보험상환가격 인하에 따른 제품 단가 하락이라는 변수도 존재해 성장 폭에는 어느정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 일반 병원 및 연구소, 기타 산업 현장 등
○ 소비자 구매 동기 - 질병 치료 및 예방, 정밀 작업에 사용되는 만큼 위생적이고 정밀한 제품을 선호 - 치료 현장(병원 등)에서 무통증 제품에 대한 수요 급증
□ 수입동향
○ 주사기의 경우 2013년도 수입대상국은 26개 국, 수입 액 9100만 달러였음. 이 중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이 28.7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어 인도네시아 25.57%, 대만 13.94% 순으로 상위 3개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 수입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음.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901831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규제제도
○ 규제내용(관세 및 비관세 규제 등): 특별히 없음.
○ 필수 인증: JIS 규격, ISO 규격
□ 관세율
○ 관세율 - 기본: 없음.
○ 통관 시 유의사항: 특별히 없음.
□ 주요 유통채널
○ 의료기기 제조업의 허가를 취득한 제조업체가 제품 수입 후, 이를 제조·판매 허가를 취득한 기업에게 납품, 이후 전문 도소매 기업을 통해 최종 사용자(병원 및 연구소 등)가 제품 구입
3. 경쟁동향
□ 경쟁업체
주사기 및 주사바늘 주요 경쟁사
자료원: 테르모 홈페이지(http://www.terumo.co.jp/index.html)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매우 낮음 - 한국으로 부터의 수입량은 매우 낮음(2013년도 전체 수입량의 0.3% 점유) - 그러나 주사기 대일수출 금액이 2011년에 2만2000달러에 불과했으나 이후 2012년 14만 달러, 2013년 25만 달러로 지속적으로 수입량이 증가 추세임.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 바이어 특성 - 북미 및 유럽 제품(기존에 사용 되던 제품 및 인지도가 있는 제품) 선호 현상이 뚜렷함. - 의료 제품의 특성상 제품 품질 및 안전성이 가장 우선시 됨. - 일본 내수기업에 대한 신뢰도가 상당히 높으나 점차 가격 경쟁력이 있는 동남아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
□ 마케팅 방안 및 타깃고객층
○ 의료기기 제품 수출을 위해서는 최상위 구매자(병원, 연구원)에게 제품을 납품하고 있는 대형 전문 유통 상사를 파악해 두는 것이 좋음.
○ 일본 내 의료기기 판매는 후생노동성의 제조판매 허가를 받은 업체를 통해 가능하므로 전문 유통 회사와의 연계는 현지 신규시장 개척에 유용할 뿐 아니라 현지에서 발생가능한 상황의 사후 처리까지 담당 가능. 이러한 기업들과의 연계 전략은 일본시장 진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