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오케스트라 발전을 위해 모든 한국 오케스트라를 진단합니다. 1~ 10까지의 등급을 부여하여 아래와 같이 세계
오케스트라의 각 파트의 역량을 제시하고, 우리나라 오케스트라 각 파트를 진단해 봅니다. 저는 이런 방식으로 오케.
각 파트를 분석하는 것이 옳은 일인지 망설임도 있었습니다. 그동안 우리나라 지방 오케스트라에 관해 크게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았었고 근자에 들어 매체를 통해 지방 오케스트라를 살펴 보던중 양적으로는 크게 성장한 우리나라 오케.가
깊숙하게 분석을 해보니 앙상블 질적으로는 발전의 폭이 커 보이지 않았고, 10년 전보다 오케스트라 전체 단원이 극심한
매너리즘에 빠져 오히려 퇴보한 경우도 인지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비판을 무릅쓰고 글을 쓰기로 결정했습니다.
제 글로 인해 많은 분이 상처를 입을 수도 있을 것이라는 점 매우 가슴 아프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고국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제가 오케스트라 발전을 위해 아주 작은 바램으로 기록한 글이 조금이라도 우리나라 오케스트라 발전에 도움 되기를
간절하게 바래봅니다. 실제 공연을 참여해 글을 써야 올바른 방법입니다. 그러나 발전된 매체를 통해 전해지는 실황 연주
기록도 음원 작업같이 분칠을 많이 해 실체와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보다는 더 좋을 수 있고, 홀마다 좌석에 따라 전혀
달리 들려 오케스트라 발란스 확인에 오류를 범할 수 있는 것 역시 방지하는 이점도 있어 이 방법을 택했습니다."
10 (세계 최정상급 上) - rco의 모든 현 파트, 오보에, 클라리넷, 목관 특수 악기, 트럼펫, brso - 오보에, hr - 목관 특수악기
라디오 프랑스 파리 - 오보에, 트럼펫, 빈 필 - 플룻, brso - 오보에, Danish National Symphony - 플룻 솔로 Ulla Miilmann.
9 (세계 최정상급) - rco - 바순, 금관 악기. brso - 클라리넷, hr - 플륫, ndr - 오보에, 빈 필 - 현 파트, 클라리넷, 호른.
베를린 필 - 콘트라 파곳, 호른. hr - 목관 특수악기, dresden staatskapelle - 현 파트, 오보에.
8 (메이저급)
7 (준 메이저급)
6 (세계 오케스트라 평균 급)
5 (이하)
수원 시립 교향악단
참고 연주곡
J.lbert | Flute Concerto
G.Mahler | Symphony No.4 G.Major 제249회 정기연주회 (김대진)
G.Mahler / Symphony No.4 in G Major 2021 교향악축제 (최희준)
L.v Beethoven, Piano Concerto No. 1 in C Major, Op. 15
Gustav Mahler, Symphony No.1 - 2022.1.21
W.A.Mozart / Concerto Piano No.22 K 482 Eb Major 2021.4.14.
L. v. Beethoven / Symphony No.7 in A Major, Op.92 2020.7.31
J. Brahms / Symphony No.1 in c minor Op.68 2019. 3. 13.
지휘자; 6
악장; 6 1st 바이올린 6
2nd 바이올린; 5.5 비올라; 5
첼로; 4.5 콘트라바스; 5
플룻; 6.5 오보에; 6
클라리넷; 6.5 바순; 5
호른; 5 트럼펫; 6
트럼본; 5.5 튜바; 6
팀파니; 4.5 타악기; 5
총론:
지휘자 최희준이 유학에서 한국으로 돌아왔을 때 우리나라에도 이런 지휘자가 있었나 할 정도의 참신함을 주었다.
인문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늦게 음악을 전공한 그는 단국대학을 졸업한 후 독일의 유학을 통해 지휘자 전공자로 두각을
보여 한양대 지휘과 교수로 발탁되면서 한국에서 활동을 시작한다. 단국대를 졸업한 선배 지휘자 김덕기가 학연의 벽을
깨고 서울 음대 교수로 임용됐듯 최희준의 한양대 교수 임용 역시 실력이 있으면 학연은 그렇게 중요한 것이 아님을 일깨워
주는, 우리나라 음악계 학연의 병패를 허물어 버린 일이었다. 그가 귀국할 당시 한국에서는 박은성(한양대), 임헌정(서울대),
정치용(한예종) 등이 대학 교수직과 국내 오케스트라 상임 지휘자로 병행하며 활동하고 있었다. 국내 오케스트라를
이끌만한 지휘자의 부재는 지금도 진행형이지만, 당시 3명의 지휘자가 그래도 정통에 가까운 지휘자의 모습이었고
최희준의 등장은 한국의 차세대를 책임질 지휘자가 드디어 나타났구나 하는 기대를 했고 그가 이후 몇 년간 보여주었던
참신함과 결과물은 긍정적이었다. 필자는 코로나 펜데믹의 영향도 있었지만 지난 수 년간 한국 오케스트라를 주시해서
관찰하지 않았고 이번 글을 쓰기로 생각하고 접한 국내 지휘자들의 현주소는 국내 오케스트라와 같이 양적 팽창은
이루었지만, 질적인 면에서는 세계 준 메이저급 오케스트라에서도 활동할 수 있는 지휘자가 단 한 명도 찾기 힘든 참담한
모습이었다. 최희준이 근자에 보여준 수원 시향과의 결과물은 곡에 따라 완성도나 해석에서 같은 지휘자의 연주인가
할 정도의 매우 큰 다른 편차를 보였고 정밀하게 살펴본 결과, 지휘자는 결코 두 가지 직업을 병행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에
다달았다. 지휘자와 교수직을 병행하는 지휘자는 전 세계 메이저급, 준 메이저급 오케스트라에서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있을 수 없는 일로 지휘자의 무게는 결코 쉬운 자리가 아니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통용되었던 지휘자와 교수직 병행에서
해방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 오케스트라의 발전은 희망이 없다 할 정도로 심각함이 감지되었다. 교육자와 전문 지휘자는
결코 병행할 수 없고, 해서도 안 되는 것이며 우리나라에서 지난 수십 년간과 현재까지 허용되고 있는 것은 지휘 전공자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음악인들이 매우 민망한 일로 받아들여야 할 중차대한 문제다. 어떻게 보면 최희준은 대한민국의 이러한
시스템에서 희생된 지휘자라고 할 수 있다. 차세대 지휘자로 한국 지휘계를 이끌 재목이 생활 문제로인지 어떤 문제로 인지,
전 세계 음악계에서는 볼 수 없는 지휘자와 교수직 병행이 허용되는 문화로 인하여 이제는 과거 촉망받았던 선배 지휘자
모습과도 똑같이 나약한 지휘자의 모습으로 변해 있었다. 우리나라 교육 시스템에서 대학교 교수직을 수행하려면
그 자체만 모든 에너지를 쏟아부어도 좋은 교수직을 유지하기가 힘들다. 그런데 교수직보다도 엄청나게 큰 중압감의
무게에 전문 지휘자와 병행해 두 가지에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는 생각 자체와 그것이 허용되는 시스템, 그것을 인지조차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 음악인들의 현실감이 우리나라 오케스트라 발전에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생각되었다.
근자에 최희준은 지휘자의 에너지로 이끌어야 할 오케스트라 앙상블을 방치한 듯 나약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과거 그가
보여주었던 레파투어의 반복으로, 자신이 잘할 수 있는 곡만을 택하여 연주에 임함으로 같은 연배 세계적 지휘자와는
자신의 레파투어 확장을 통해 노력하는 모습과 음악에 대한 열정 등 엄청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교수직과 병행하여
생긴 간극이라고 볼 수밖에 없는 아무리 달리 살펴보아도 원인이 찾아지지 않는 결론에 도달했다. 오케스트라는 지휘자의
능력 이상의 앙상블과 음악적 결과물을 이룰 수 없다. 오케스트라를 책임지는 상임지휘자는 자신이 맡은 오케스트라의
성장과 앙상블 발전, 레파투어 확장에만 신경을 써도 시간이 모자랄 정도의 매우 극한 직업이다. 그런데 같은 비중의 미래
인재의 교육을 책임지는 교수와 병행을 한다고 생각하는 자체가 용납되지 않은 일로 우리들은 매우 심각하게 보아야 한다.
이런 문제점을 인지한 다른 오케스트라들은 눈을 외국인 지휘자로 돌려 성장을 꾀하지만 부산 시향의 경우같이 능력이
심하게 떨어진 외국인 지휘자를 지명해서 오히려 성장의 정체를 가져온 경우도 감지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지휘자 중
교수직과 병행하는 지휘자들에게 한가지에만 충실하시라는 충고를 해 드리고 싶다. 자신의 과욕이 우리나라 오케스트라
발전을 해치고 있는, 참 음악인이라면 결코 해서는 안 되는 일임을 인지해 주셨으면 하는 바램을 해본다.
지휘자 최희준은 전문 지휘자로의 길로 매진해도 늦지 않은 50대 초반의 나이로 교수직이냐 지휘자의 길이냐를 선택해야
할 기로의 시점으로 보고 있다. 과감하게 하나를 버릴 것을 부탁드린다. 두 마리 토끼를 다 취하면 어느 하나도 제대로 된
결과물을 얻지 못하는 음악인으로 남게 될 것이다.
9, März, 2024. Hamburg franciscopa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