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점입가경(漸入佳境)
가면 갈수록 경치가 더해진다는 뜻으로, 일이 점점 더 재미있는 지경으로 돌아가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漸 : 점점 점(氵/11)
入 : 들 입(入/0)
佳 : 아름다울 가(亻/6)
境 : 지경 경(土/11)
(유의어)
가경(佳境)
자경(蔗境)
이야기를 재미있게 전달하는 사람은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을 마지막에 돌려 듣는 사람을 애태우게 한다. 정도를 차차 높여 재미있게 펼치기 때문에 클라이맥스에 달할 때까지 몰입하게 하는 것이다.
아름다운 경치(佳境)로 점점 더 들어가게 한다는(漸入) 것이 이 성어다. 일이나 예술 작품이 시간이 지날수록 그 광채를 발휘할 때 많이 쓴다.
거기에 뜻이 넓어져 시간이 지날수록 하는 짓이나 몰골이 더욱 꼴불견임을 비유적으로 이를 때도 쓰게 됐다. 오늘날에는 아니꼬움을 비꼴 때 더 많이 쓰인다.
고개지(顧愷之)란 유명 화가가 있다. 중국 동진(東晉)시대의 화가로 초상화와 옛 인물을 잘 그려 인물화의 최고봉으로 일컬어진다. 서예의 왕희지(王羲之)와 함께 예술계 쌍벽이었다.
명재상 사안(謝安)은 고개지의 독특한 인품을 평해 천지개벽(天地開闢)이래 최고의 인물이라고 극찬했을 정도다.
고개지에겐 또 다른 칭호가 있었다.
삼절(三絶)이 바로 그것인데 예술과 재주와 어리석음이 따라갈 사람이 없다는 예절(藝絶), 재절(才絶), 치절(痴絶)이다. 그중 치절에 관한 이야기에 점입가경(漸入佳境)에 관한 이야기가 따른다.
고개지는 평소 사탕수수를 즐겨 먹었는데 늘 가느다란 줄기 부분부터 먼저 씹어 먹었다. 뿌리 부분이 더 달다는 것을 모를 리 없을 텐데 늘상 이렇게 먹자 사람들이 의아해서 무엇 때문에 거꾸로 먹느냐고 물었다.
그랬더니 고개지는 태연하게 갈수록 점점 단맛이 나기 때문에 점점 아름다운 경지에 이르는 것(漸入佳境)이라고 알 듯 말 듯한 대답을 했다는 것이다.
이로부터 사람들은 형편이 점점 좋아지거나 경치가 갈수록 더 아름다워지는 것을 뜻하게 됐다. 줄여서 가경(佳境), 또는 자경(蔗境)이라고도 쓴다.
당(唐)나라 태종(太宗)의 지시로 방현령(房玄齡) 등이 편찬한 진서(晉書) 고개지전(顧愷之傳)에 수록돼 전한다.
◼ 점입가경(漸入佳境)
점점 아름다운 경지로 들어간다는 말이다. 이 말은 중국 동진(東晉) 시대 유명 화가 고개지(顧愷之)로 부터 유래됐다. 고개지는 서예의 왕희지(王羲之)와 더불어 당시 예술계에서 쌍벽을 이룬 인물이다.
진서(晉書) '고개지전'에 다음과 같은 고사(故事)가 수록되어 있다. 사탕수수는 뿌리 부분이 달다. 그래서 일반 사람들은 뿌리 부분부터 먹는다. 하지만 고개지는 달랐다. 항상 가느다란 줄기부터 먼저 씹어 먹었다. 윗 부분인 줄기부터 먹기 시작해 아래쪽 뿌리쪽으로 내려갔다.
사람들이 "사탕수수를 왜 거꾸로 먹느냐?"고 물었다. 고개지는 "갈수록 점점 단맛이 나 점점 아름다운 경지에 이르기(漸入佳境)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이로부터 경치나 문장, 형편이 점점 아름다워지거나 좋아지는 경우를 뜻할 때 '점입가경'이란 성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뜻이 부정적으로 변했다. 지금은, 가면 갈수록 격에 맞지 않거나 아니꼬운 언행을 할 때 주로 쓰이고 있다.
비슷한 성어로 점입가관(漸入可觀), 점입장관(漸入壯觀) 등이 있다. '점입가관'은 갈수록 꼴이 볼만하다는 뜻이고, '점입장관'은 크게 구경거리가 될 만하다는 뜻으로 모두 남의 상태나 행동거지를 비웃을 때 쓰는 말이다.
요즘 국내외를 막론하고 돌아가는 꼴이 점입가경이다. 미국 대선은 끝났지만 미 정국 혼란은 오히려 점입가경으로 흐르고 있고, 미국과 중국의 세력다툼도 비슷한 양상이다.
유럽과 미국의 코로나19 재확산 역시 갈수록 기세를 떨치고 있다. 국내도 다를 바 없다. 이사철을 맞아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전세대란, 법무부와 검찰 갈등, 국민들의 울화를 돋우는 정치인들의 막말도 모두 점입가경이다.
점입가경이 아닌 금상첨화(錦上添花)가 되어야 한다. 비단 위에 꽃을 더하듯, 좋은 일이 이어져야 하는 것이다. 좀 더 상대를 이해하는 배려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한 때다.
▶️ 漸(점점 점/적실 점)은 ❶형성문자로 渐(점)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 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斬(참)으로 이루어졌다. 본디 강 이름으로 음(音)을 빌어 조금씩 나아간다는 뜻으로 쓰며, 전(轉)하여 겨우의 뜻으로 되었다. ❷형성문자로 漸자는 '점차적'이나 '차츰', '천천히 나아가다'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漸자는 水(물 수)자와 斬(벨 참)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斬자는 '베다'는 뜻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참, 점'으로의 발음 역할만을 하고 있다. 漸자는 본래 중국 저장성(浙江省)에 있는 첸탕강(錢塘江)의 옛 강 이름에서 유래한 글자이다. 첸탕강은 저장성에서 가장 큰 강을 말하는데, 이전에는 젠슈이(漸水)라고 불렸다. 그러나 강의 유속이 느렸었는지 후에 '차츰'이나 '점점', '천천히 나아가다'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漸(점)은 점괘(漸卦)의 뜻으로 ①점점 ②차츰 ③번지다 ④천천히 나아가다 ⑤스미다 ⑥흐르다 ⑦자라다 ⑧적시다 ⑨젖다(물이 배어 축축하게 되다) ⑩험하다 ⑪차례(次例)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조금씩 더하거나 덜하여지는 모양을 점점(漸漸), 차례대로 차차를 점차(漸次), 점점 증가함을 점증(漸增), 순서대로 차차 나아감을 점진(漸進), 시세가 점점 오름을 점등(漸騰), 차차 줄어듦을 점감(漸減), 물 따위가 점점 스며듦을 점지(漸漬), 점점 더하여 감을 점가(漸加), 차차 높아짐 또는 점차 고조됨을 점고(漸高), 점점 가까워짐을 점근(漸近), 일정한 시기나 장소에 점점 이르러 미침을 점급(漸及), 점점 떨어짐을 점락(漸落), 점점 새로워짐을 점신(漸新), 점점 깊이 깨달음을 점오(漸悟), 차차 자리를 옮아감을 점이(漸移), 점점 뒤로 물러남 또는 차차 쇠퇴하여 감을 점퇴(漸退), 차츰 심하여 짐을 점극(漸劇), 점점 멸말하여 감을 점멸(漸滅), 천천히 사경함을 점사(漸寫), 점점 쇠잔해 감을 점쇠(漸衰), 차차 번져서 물듦 또는 점점 전염됨을 점염(漸染), 점점 험해짐을 점험(漸險), 병이 차차 나아감을 점유(漸癒), 몸이 점점 수척하고 쇠약해지는 증상을 노점(癆漸), 임금의 병세가 점점 더하여 감을 대점(大漸), 세력을 차츰차츰 동쪽으로 옮김을 동점(東漸), 차근차근 쌓음을 적점(積漸), 점점 서쪽으로 옮김을 서점(西漸), 가면 갈수록 경치가 더해진다는 뜻으로 일이 점점 더 재미있는 지경으로 돌아가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점입가경(漸入佳境), 일의 폐단이 더하도록 두어서는 안 된다는 뜻으로 폐단이 커지기 전에 막음을 이르는 말을 점불가장(漸不可長), 어떤 일이 번지기 전에 미리 막음을 이르는 말을 방미두점(防微杜漸), 점점 높이 날아 하늘위까지 날 수 있는 큰기러기의 날개라는 뜻으로 점차 높은 자리에 오르는 유위한 재능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홍점지익(鴻漸之翼), 난초와 구릿대, 즉 향초를 오줌에 담근다는 뜻으로 착한 사람이 나쁜 것에 물듦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난지점수(蘭芷漸滫), 애시당초 싹이 나오지 못하도록 막는다는 뜻으로 좋지 못한 일의 조짐이 보였을 때 즉시 그 해로운 것을 제거해야 더 큰 해가 되지 않는다는 의미를 일컫는 말을 두점방맹(杜漸防萌) 등에 쓰인다.
▶️ 入(들 입)은 ❶지사문자로 入(입)은 토담집 따위에 들어가는 것으로, 나중에 대궐 같은 건물에 들어가는 것을 內(내)라 일컫지만 본디 入(입), 內(내), 納(납)은 음도 뜻도 관계가 깊은 말이었다. ❷지사문자로 入자는 '들다'나 '빠지다', '간여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그동안은 入자를 사람이 입구로 들어가는 모습으로 해석했었다. 사람을 뜻하는 人(사람 인)자를 반대로 그린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入자의 갑골문을 보면 본래는 뾰족한 삼각형을 그렸던 것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이 무언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入자가 '들어가다'라는 뜻으로 쓰이는 것을 보면 나무를 끼워 맞추기 위해 끝을 뾰족하게 다듬은 형태를 그린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入(입)은 ①들다, 들이다 ②간여하다 ③빠지다, 지나치게 정신이 쏠려 헤어나지 못하다 ④시집보내다, 받아들이다 ⑤떨어지다, 떨어뜨리다 ⑥투신하다 ⑦섬기다, 벼슬하다 ⑧공략하다 ⑨죽다 ⑩담그다 ⑪수입(收入) ⑫입성(入聲: 사성(四聲)의 하나)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들일 납(納),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날 출(出), 떨어질 락/낙(落)이다. 용례로는 서울로 들어가거나 들어오거나 함을 입경(入京), 새로 들어가 삶을 입주(入住), 들어가는 어귀를 입구(入口), 타국에 들어감을 입국(入國), 어떤 단체에 가입함을 입단(入團), 장내로 들어감을 입장(入場), 학교에 들어감을 입학(入學), 물건을 창고에 넣음을 입고(入庫), 산에 들어감을 입산(入山), 훈련소나 연구소 등에 들어감을 입소(入所), 외국으로부터 물품을 사 들임을 수입(輸入), 끌어들임이나 인도하여 들임을 도입(導入), 물건을 사들임을 구입(購入), 어떠한 사건에 관계하게 됨을 개입(介入), 돈이나 물품 따위를 거두어 들이는 것을 수입(收入), 조직이나 단체 등에 구성원으로 되기 위하여 듦을 가입(加入), 어떤 곳이나 상태에 기세 있게 뛰어드는 것을 돌입(突入), 정한 인원 외의 사람을 더 넣음을 투입(投入), 물건 따위를 사들임을 매입(買入), 산에 들어가 놓고 범 잡기를 꺼린다는 뜻으로 막상 일을 당하면 처음과 달리 뒤로 꽁무니를 뺌을 이르는 말을 입산기호(入山忌虎), 귀로 들어온 것을 마음속에 붙인다라는 뜻으로 들은 것을 마음속에 간직하여 잊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입이저심(入耳著心), 어떤 고장에 가면 그곳의 풍속을 따르고 지킴을 일컫는 말을 입향순속(入鄕循俗), 들은 바를 곧장 남에게 말함 또는 남의 말을 제 주견인 양 그대로 옮김을 일컫는 말을 입이출구(入耳出口), 들은 것을 마음속에 간직해 잊지 아니하는 일을 일컫는 말을 입이착심(入耳着心), 국경에 들어서면 그 나라에서 금하는 것을 물어 보라는 말을 입경문금(入境問禁), 귀로 듣기에 싫지 않다는 뜻으로 아첨함을 이르는 말을 입이불번(入耳不煩), 불 속에 들어가 밤을 줍는다는 뜻으로 사소한 이익을 얻으려고 큰 모험을 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말을 입화습률(入火拾栗), 집에 들어서는 어머니를 받들어 종사해야 함을 이르는 말을 입봉모의(入奉母儀), 타향에 가면 그 고을 풍속을 물어서 그에 따르는 일을 일컫는 말을 입경문속(入境問俗), 특별히 가까운 손님이나 기밀을 상의할 수 있는 상대를 일컫는 말을 입막지빈(入幕之賓), 남의 방안에 들어가 창을 휘두른다는 뜻으로 그 사람의 학설을 가지고 그 사람을 공격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입실조과(入室操戈), 가면 갈수록 경치가 더해진다는 뜻으로 일이 점점 더 재미있는 지경으로 돌아가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점입가경(漸入佳境), 도끼를 들고 못에 들어간다는 뜻으로 물건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전연 쓸데없고 상관없는 것을 가지고 옴을 이르는 말을 게부입연(揭斧入淵), 남의 대청을 빌려 쓰다가 안방까지 들어간다는 뜻으로 남에게 의지하다가 차차 그의 권리까지 침범함을 이르는 말을 차청입실(借廳入室), 먼저 들은 이야기에 따른 고정관념으로 새로운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을 이르는 말을 선입지어(先入之語), 쫓기던 새가 사람의 품안으로 날아든다는 뜻으로 사람이 궁하면 적에게도 의지한다는 말을 궁조입회(窮鳥入懷) 등에 쓰인다.
▶️ 佳(아름다울 가)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사람인변(亻=人; 사람)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圭(규)로 이루어져 아름다운 사람을, 전(轉)하여 아름다움을 말한다. ❷회의문자로 佳자는 ‘아름답다’, ‘좋다’, ‘훌륭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佳자는 人(사람 인)자와 圭(홀 규)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圭자는 천자가 제후를 봉할 때 하사하던 긴 막대 모양의 증표를 그린 것으로 ‘서옥’이나 ‘홀’이라는 뜻이 있다. ‘서옥’은 옥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圭자에는 ‘상서로운 옥’이라는 뜻이 있다. 佳자는 이렇게 ‘상서롭다’라는 뜻을 가진 圭자에 人자를 결합한 것으로 아름답거나 훌륭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그래서 佳(가)는 ①아름답다, 미려(美麗)하다 ②좋다, 훌륭하다 ③좋아하다, 즐기다, 사랑하다 ④크다 ⑤크게, 매우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아름다울 가(嘉), 아름다울 휘(徽), 아름다울 의(懿), 아름다울 위(褘), 아름다울 미(美), 고울 염(艶), 고울 려(麗)이다. 용례로는 잘 지은 글귀 또는 시문 따위의 좋은 글귀를 가구(佳句), 참하고 아름다운 여자를 가인(佳人), 여자의 꽃다운 얼굴을 가용(佳容), 축하할 만한 기쁜 일이 있는 날을 가일(佳日), 반갑고 귀한 손님을 가객(佳客), 좋은 징조나 잘될 징조를 가조(佳兆), 화창한 날이나 맑고 상쾌한 날씨를 가기(佳氣), 참하고 훌륭한 사위를 가서(佳壻), 좋은 언약을 가약(佳約), 아름다운 경치를 가경(佳景), 반가운 손님을 가빈(佳賓), 좋은 평판이나 명성 또는 아름다운 이름을 가명(佳名), 아름다운 달을 가월(佳月), 잘된 훌륭한 작품을 가작(佳作), 빼어나게 아름다움이나 매우 좋음을 가절(佳絶), 맛이 좋은 과실을 가과(佳果), 맛이 좋은 과실을 가실(佳實), 좋은 음식이나 훌륭한 요리를 가찬(佳饌), 품행이 단정한 선비를 가사(佳士), 매우 흥미 있는 국면을 가국(佳局), 아름다운 마음씨를 가의(佳意), 품질이 좋은 물건을 가품(佳品), 좋은 벗을 가붕(佳朋), 좋은 배필을 가우(佳偶), 기쁘고 즐거운 모임을 가회(佳會), 아름다운 사람은 명이 짧다는 뜻으로 여자의 용모가 너무 아름다우면 운명이 기박하고 명이 짧다는 말을 가인박명(佳人薄命), 백년을 두고 하는 아름다운 언약이라는 뜻으로 부부가 되겠다는 약속을 백년가약(百年佳約), 세상에 비할 데 없이 아름다운 여자를 절세가인(絶世佳人), 남편과 아내가 되어 한평생 같이 지내자는 아름다운 언약을 백년가기(百年佳期), 맛있는 음식과 좋은 안주를 진미가효(珍味佳肴), 아름답고 얌전한 신랑이나 젊은이를 옥인가랑(玉人佳郞), 가면 갈수록 경치가 더해진다는 뜻으로 일이 점점 더 재미있는 지경으로 돌아가는 것을 점입가경(漸入佳境) 등에 쓰인다.
▶️ 境(지경 경)은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흙 토(土; 흙)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竟(경)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어진사람인발(儿; 사람의 다리 모양)部는 그 위쪽에 붙는 글자의 작용을 나타낸다. 竟(경)은 音(음)의 작용, 악곡(樂曲)의 끝, 일의 끝, 지경(地境) 등, 본디 땅을 구분 짓는다는 뜻으로 疆(강)이란 글자가 있었으나 나중에 속자(俗字)로서 境(경)자가 생겨 지경(地境), 경계(境界)란 뜻으로 쓰인다. ❷회의문자로 境자는 ‘지경’이나 ‘경계’, ‘경우’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境자는 土(흙 토)자와 竟(다할 경)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竟자는 일이 마무리됐다는 의미에서 ‘다하다’나 ‘끝나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이렇게 ‘끝나다’라는 뜻을 가진 竟자에 土자를 결합한 境자는 ‘영토의 끝자락’이라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다만 지금의 境자는 주로 어떠한 상황의 한계라는 뜻으로도 쓰이고 있다. 그래서 境(경)은 (1)지경(地境) (2)일정한 장소(지역) (3)마음이 놓여 있는 상태 등의 뜻으로 ①지경(地境: 땅의 가장자리, 경계) ②경계(境界), 국경(國境) ③경우(境遇) ④상태(狀態) ⑤곳, 장소(場所) ⑥처지(處地)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인간 세(世), 대신할 대(代), 지경 은(垠), 지경 해(垓), 지경 역(域), 지경 계(堺), 지경 계(界), 지경 강(畺), 지경 강(疆)이다. 용례로는 놓여 있는 조건이나 놓이게 되는 형편 또는 사정을 경우(境遇), 일이나 물건이 어떤 표준 아래 맞닿은 자리를 경계(境界), 경계가 되는 땅이나 자기의 특성이나 체계로 이루어진 분야를 경지(境地), 경계가 되는 구역을 경역(境域), 일정한 지역의 안을 경내(境內), 어떤 경계의 밖을 경외(境外), 자기 자신이 처하여 있는 환경과 생애를 경애(境涯), 국경 또는 경계의 지점을 경상(境上), 땅의 경계 또는 어떠한 처지나 형편을 지경(地境), 어렵고 딱한 형편이나 처지를 곤경(困境), 마음의 상태를 심경(心境), 나라와 나라 사이의 경계를 국경(國境), 본바탕을 제일 잘 나타낸 참다운 지경을 진경(眞境), 멀리 떨어져 있는 땅을 절경(絶境), 나라의 경계가 되는 변두리의 땅을 변경(邊境), 일이 뜻대로 되지 않는 불행한 경우나 환경을 역경(逆境), 생활이 곤궁한 지경을 궁경(窮境), 살아 나가기가 몹시 어려운 지경을 군경(窘境), 지경 안의 전부를 합경(闔境), 속진을 멀리 떠난 경치 좋고 조용한 곳을 영경(靈境), 심오하고 조용한 곳을 유경(幽境), 인접한 땅의 경계를 인경(隣境), 가면 갈수록 경치가 더해진다는 뜻으로 일이 점점 더 재미있는 지경으로 돌아가는 것을 비유하는 말을 점입가경(漸入佳境), 어떤 생각이나 사물에 열중하여 자기 자신을 잊어버리는 경지를 망아지경(忘我之境), 굶주리는 상태에 이른 지경을 기아지경(飢餓之境), 사람이 전혀 살지 않는 지역을 무인지경(無人之境)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