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
이는 ‘반야심경(般若心經)’에 나오는 경구로 물질적인 세계인 색(色)과 무차별하고 고정성이 없는 공(空)의 세계가 다르지 않음을 뜻한다. 원문은 “색불이공공불이색(色不異空空不異色) 색즉시공공즉시색(色卽是空空卽是色)”이며, 이는 “색(色)이 공(空)과 다르지 않고 공(空)이 색(色)과 다르지 않으며, 색(色)이 곧 공(空)이요 공(空)이 곧 색(色)이다.”는 뜻이다.
첫째 구(句) ‘색즉시공(色卽是空)’은 색(色)이란 모두 공(空)과 다르지 않다고 하는데, 앞의 대상(對象)을 우리는 어느 특정한 대상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실은 그것은 광범한 연계(連繫) 위에서 그때그때 대상으로서 나타나는 것일 뿐이며, 그 테두리를 벗어나면 이미 그것은 다른 것으로 변하는 것이므로 그 대상에 언제까지나 집착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며, 둘째 구(句) ‘공즉시색(空卽是色)’은 그와 같이 원래부터 집착할 수 없는 것을 우리들은 헛되이 대상으로 삼지만, 그것은 공(空)이며 그 공(空)은 고정성이 없는 것으로, 바로 여기에 인간의 현실이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내가 길을 걸어가고 있는데 맞은쪽에서 걸어오는 사람과 무심결에 ‘쾅’하고 부딪쳐 바닥에 ‘꽈당’하고 넘어졌다. 엉덩이와 척추 끝자락이 무척 아프다. 이 때, 내가 벌컥 ‘앞도 안보고 어딜 보고 다녀!’하고 상대방에게 고함을 냅다 지르면 이때는 색(色)의 상태가 된다. 마음을 화라는 색(色)으로 채운 결과라는 것이다. 그런데 화를 내지 않고 ‘에이, 저 사람도 무슨 생각에 골몰히 빠져 있는 상태에서 걷다보니 앞을 잘 못 봤겠지’하고 마음을 비우면 이때는 공(空)의 상태가 된다.
이 마음을 비운 공(空)의 상태가 되면 다시 다른 색(色)을 받아들일 수가 있게 된다. 즉 다른 일에 생각을 돌려 거기에 전념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화를 내고 그 화에 마음을 자꾸 쏟으면 그 색(色)의 상태에서 벗어 날 수가 없게 된다. 고정적인 색즉시색(色卽是色)의 상태에 빠져 다른 색(色) 쪽으로 마음을 돌리지 못하는 비생산적인 마음 상태에 자신을 가두게 된다. 그렇게 되면 하고자 하는 일마다 잘 안될 것이다. 하나의 색(色)으로 꽉 차있으니까 다른 색(色)이 들어올 여지가 없어서 그리할 것이다.
그런데 마음을 비우고 공(空)의 상태에 있으면 비운 상태이니까 무엇이든 다른 것을 채워 넣을 수가 있게 된다. 상대방이 행한 행동의 이면을 생각해보고 그 상대방이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생각해서 그 화의 기분을 털어버리면 진실한 공(空)의 상태에 들어가 다른 색(色)을 받아들일 수 있는 마음의 상태가 된다는 뜻이다.
‘야, 오늘 대낮부터 별을 봤으니 앞으로 기분 좋은 일만 있을 것 같네’ 하고 손을 털털 털고 일어서면서 ‘무슨 바쁜 일이 있나 보군요’하고 넘어진 상대방도 일으켜 주면 그날은 내내 기분이 좋아 다른 일도 손에 잘 잡힐 것이다. 이것은 공(空)의 상태에 있어야 만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공(空)의 상태에 있어야 다른 색(色)으로 말끔하게 채울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해서 공즉시색(空卽是色)이 실현된다. 〗
우리의 마음이 미혹될 때에는 공(空)을 색(色)이 되게 하고, 깨달을 때는 색(色)을 공(空)이 되게 한다. 고로 마음에 가득 차있는 세상 것들에 대한 탐심, 다시 말해 이생의 자랑 · 안목(眼目)의 정욕 · 육신의 정욕을 버려라! 그래야만 공(空)의 상태가 되어 진리의 말씀으로 마음을 채울 수가 있는 것이니, 이때에 비로소 복(福) 받은 인생이 될 수가 있다.
“너희를 위하여 보물을 땅에 쌓아 두지 말라 거기는 좀과 동록(銅綠)이 해하며 도둑이 구멍을 뚫고 도둑질하느니라, 오직 너희를 위하여 보물을 하늘에 쌓아 두라 거기는 좀이나 동록이 해하지 못하며 도둑이 구멍을 뚫지도 못하고 도둑질도 못하느니라” (마태복음 6장 19,20절).
2023. 2.12. 素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