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커창 “중국, 금융시장 개혁 확대…자본시장 개방”
중국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중국 금융시장 개혁을 확대해 국내외 투자가에 자본시장을 더욱 개방하겠다고 밝혔다고 중앙TV가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방송에 따르면 리 총리는 중국인민은행 상하이 분행(지점)을 방문한 자리에서 이 같은 방침을 천명해 중국 경제정책을 주도하는 행보를 보였다.
리 총리는 또 국경을 넘나드는 불법 자금의 흐림을 저지하기 위한 노력도 가속하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리 총리는 보험 부문을 개선해 다층적인 자본시장의 발전을 모색할 계획도 표명했다.
리 총리는 그간 다양한 대책과 노력을 통해 중국 금융시장이 시스테믹 리스크를 회피했다는 인식도 피력했다고 한다.
앞서 리 총리는 지난 24일에는 장쑤성 쑤저우(蘇州)에서 열린 중국과 16개 중·동유럽국 간 정상회의에 참석, 향후 5년간 1조 달러(약 1144조원) 이상을 대외투자 하겠다고 발표했다.
또한 리 총리는 앞으로 5년 동안 10조 달러 넘는 외국 상품을 수입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리 총리는 중국 경제가 올해 성장 목표인 7% 안팎을 달성 가능한 궤도상에 있다면서 경제가 적절한 중장기 성장을 유지하기 위한 조정 과정에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서울=뉴시스
상하이, 5년 후 ‘주민소득 6만 위안 시대’ 연다
중국 상하이의 주민소득이 5년 뒤인 2020년에 이르러 6만3000위안으로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노동보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13·5 계획’을 통해 오는 2020년의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을 2010년의 2배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대로라면 5년 후 상하이 도시주민의 1인당 소득은 6만3000위안을 넘어서게 된다.
‘13·5 계획’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총생산과 도시주민의 1인당 평균 소득을 2010년의 2배로 높인다는 목표치를 제시했다.
상하이의 2010년 도시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3만1838위안이고 농촌주민은 1만3746위안이었다. 목표치가 달성된다면 2020년에 상하이 도시주민의 가처분 소득은 6만3676위안, 농촌주민은 2만7492위안으로 각각 오르게 된다.
지난해 상하이 도시주민의 가처분소득은 2010년에 비해 49.9% 오른 4만7710위안, 농촌주민은 54.2% 증가한 2만1192위안이었다.
상하이교통대 안타이경제와관리학원의 천시엔 원장은 “가처분소득에는 급여성 소득, 경영성 소득, 재산성 소득 등이 포함되는데 가처분소득 2배 달성 목표를 이루려면 이 가운데 급여성 소득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소득 증대와 더불어 부동산 가격 등 중요한 분야의 물가를 안정시키는 것이 관건이며 창업, 창조 등의 정책을 통해 경영성 소득도 높이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줘촹즈쉰의 비홍빙 애널리스트도 “주민들이 소득 증대에 따른 복지를 누리려면 시장물가를 합리적인 범위로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올 1~9월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작년 동기 대비 1.4% 상승하고 생산자물가지수(PPI)는 43개월째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천시엔 원장은 “CPI와 PPI 수치가 위배된 것은 내수 부진과 공업생산 과잉의 문제점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주간무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