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를 공부한 사람이면 누구나 "木鷄之德"을 다 알고 있습니다만, 요즘같이 어지러운 세상, 우리나라에 멋진 위대한 리더가 꼭 필요한 이때, 생각나는 것이 있다면 이 4자성어라 하겠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목계지덕(木鷄之德)을 재 조명함으로써 그 아쉬움을 한번 달래어 보자. 무릇 목계(木鷄)라 함은 '나무로 만든 닭'인데, 이 닭은 감정이 있을 수 없으므로~
木鷄之德이라 함은 木鷄처럼 작은 일에도 흔들림이 없이 완전히 자신의 감정을 제어 콘트롤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일컫는 말입니다.
장자 '달생(達生)'편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져 오고 있습니다.
옛날에 주선왕이 투계 (싸움닭)를 아주 좋아해 기성자 (紀省子)라는 사육사에게 최고의 싸움닭을 구해 최고의 투계로 만들도록 훈련을 맡겼다.
맡긴지 열흘이 지나고 나서 왕이 물었다. “닭이 싸우기에 충분한가?" 사육사는 단호히 답했다. "아닙니다. 아직 멀었습니다. 닭이 강하긴 하나 교만하여 아직 자신이 최고인 줄 알고 있습니다. 그 교만을 떨치지 않는 한 최고가 될 수 없습니다." 헛된 교만과 기운을 믿고 뽐내는 자세를 버리지 못하였다는 대답이었다.
열흘이 또 지나 왕이 물었을 때 사육사는 이렇게 대답했다. “아직 멀었습니다. 교만함은 버렸으나 상대방의 소리와 그림자에 너무 쉽게 반응합니다.” 상대방의 소리와 그림자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조급함을 버리지 못했다는 뜻이었다.
열흘이 더 지나 왕이 또 묻자 이런 답이 돌아왔다. “아직 멀었습니다. 조급함은 버렸으나 상대방을 노려보는 눈초리가 너무 공격적입니다." 상대방을 질시하는 공격적인 눈초리를 버리지 못했다는 것이다.
열흘이 지나고 또 묻자 "이제 된 것 같습니다. 이제 상대방이 아무리 소리를 질러도 아무 반응을 하지 않습니다.
완전히 마음의 평형을 찾았습니다. 나무와 같은 목계(木鷄)가 됐습니다. 이제 어느 닭이라도 모습만 봐도 도망갈 것입니다."
이 고사에서 말하는 최고의 싸움닭은 바로 "木鷄"입니다.
그렇다면, 하루에도 몇 번씩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지 못하고 버럭 화를 내는 사람, 부와 지위에 발목이 잡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어깨를 세우는 사람, 누구를 만나든 그 자리에서 경쟁하여 위 아래가 결정되어야 속이 풀리는 사람이라면 도저히 목계라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최고의 싸움닭 목계는 자신이 제일이라는 교만함을 버리고, 남의 소리와 위협에 쉽게 반응하지 않으며, 상대방에 대한 공격적인 눈초리를 버린 나무와 같은 목계는 인간으로 말하면 완전한 자아의 성취와 평정심을 이룬 모습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특별한 광채와 능력을 상대방에게 드러내지 않기에 그 빛은 더욱 빛날 수 있다 하겠습니다.
'위대한 리더'란 어깨에 힘이 들어가 있지 않고, 눈초리는 부드럽고, 외부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사람일 것같습니다.
자신의 감정을 완전히 통제할 줄 알고, 상대방에게 매서운 눈초리나 빛나는 광채를 보여주지 않더라도 무언가 근접할 수 없는 카리스마를 보여주는 사람입니다.
동양에서는 이런 리더를 목계지덕(木鷄之德)을 지녔다고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