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대전 산 과 여행
 
 
 
 

지난주 BEST회원

 

지난주 BEST회원

 

지난주 BEST회원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나가자
    2. 산초보7
    3. 골프 초보자
    4. 조성갑1
    5. 아롱범2
    1. 마중물2
    2. 혀니
    3. 정영이
    4. 화이텡
    5. 박정선
 
카페 게시글
♣등산이론,상식 스크랩 [등산학교 명강사의 족집게 강좌] 등산용 스틱 사용법 - 원종민
건강맨 추천 0 조회 70 09.11.13 23:02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테마특집 | 등산용 스틱] 2. 사용법 | 등산학교 명강사의 족집게 강좌

 

 등산용으로 사용하는 가볍고 탄탄한 지팡이는 최근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는 등산장비로 자리를 잡았다. ‘알파인 스틱’ ‘등산용 지팡이’ 등으로 불리는 이 제품은 최근 ‘등산용 스틱’으로 또는 줄여서 ‘스틱’으로 불린다. 국제적으로 ‘알파인 폴’ ‘트레킹 폴’ ‘마운틴 폴’이라는 용어로 통용되고 있다. 스키폴은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없지만 등산용 스틱은 사용하지 않을 때 휴대를 해야 하기 때문에 보통 3단으로 낚싯대처럼 길이 조절을 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등산용 스틱의 길이는 경사도에 따라 다르게 조절해 사용한다. 평지는 조금 짧게 쓰는 것이 좋은데, 똑바로 선 상태에서 배꼽 높이 정도가 적당하다. 오르막에서는 팔꿈치 각도 90도 길이가 알맞고, 내리막에서는 조금 길게 쓰는 것이 편리하다. 그러나 경사도가 수시로 변하고 오르막 내리막이 이어지는 등산로에서 그때마다 길이를 조절하는 일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평균길이인 팔꿈치 각도 90도로 고정해서 사용하는 적당하다.

 

스트랩은 길이를 알맞게 조절하여 손을 고리 밑에서 위로 올려 넣은 다음 손잡이 끈을 손바닥으로 감싸 잡아야 한다. 이렇게 해야 끈이 손목에 부담을 주는 일이 없이 편하게 누르는 힘을 줄 수 있다. 또한 나무나 돌을 잡을 때 손잡이가 저절로 손바닥에서 벗어나 편리해진다. 또한 스틱의 손잡이를 잡을 때는 너무 꽉 쥐지 말고 가볍게 잡은 다음 손바닥의 스트랩을 손바닥으로 누르듯이 힘을 주는 것이 좋다.

 

 ▲ 스틱의 길이는 팔꿈치의 각도가 90도가 유지

되도록 해야 한다.

등산용 스틱의 사용법은 의외로 간단하지만 효과적으로 정확하게 사용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우선 반드시 두 개를 사용해야 한다. 한 개만 사용하는 사람이 있는데, 이것은 마치 자동차 바퀴 네 개 중 한 개를 빼고 운행하는 것과 같다. 두 발과 두 팔을 서로 좌우로 교차시키는 동작에서 균형이 맞지 않게 된다. 그러나 어쩔 수 없을 때 한 개만 사용해도 어느 정도의 효과는 볼 수 있다.


등산용 스틱을 처음 사용하면 두 손이 매우 거추장스럽고 등산로의 요철과 바위, 나무 등의 장애물로 인하여 불편과 스트레스를 겪게 된다. 단순한 지팡이 같은 것이지만 도구란 원래 익숙해지는 과정이 필요하다. 편리한 자전거도 처음에는 넘어지기만 한다. 불편하더라도 여러 번 사용하다 보면 저절로 익숙해지지만 아무래도 맨손으로 다니는 것보다는 불편할 수밖에 없다. 공짜는 없다. 등산용 스틱의 장점을 얻기 위해서는 조금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스틱에 익숙해지는 과정 거쳐야


등산용 스틱은 힘든 오르막에서의 육체적인 고통을 줄여주고, 에너지를 절약할 뿐만 아니라 험한 곳에서 안정된 균형을 잡는 데도 도움을 주는 장비이므로 그 기능성과 가치를 의심할 필요는 없다. 또한 팔 근육과 상체 근육을 활발하게 사용하게 돼 혈액순환, 산소공급을 원활히 하는 데도 좋다.


▲ 등산용 스틱 손잡이 파지법.

 

심장은 신체 구석구석까지 피를 보내는 역할을 하지만 다시 돌아오도록 흡입하는 기능은 없다. 피가 다시 심장으로 돌아가게 하는 역할은 바로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정맥 속의 피를 심장 쪽으로 짜서 보내주는 것이다. 이것을 정맥의 펌핑 작용이라고 하는데, 등산용 스틱을 사용하면 다리 근육만 정맥 펌핑을 하는 것이 아니라 팔과 상체 근육까지 정맥 펌핑을 도와주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요즈음 많은 등산로가 점점 계단으로 바뀌고 있다. 이 계단을 오르는 동작은 근육의 수축과 이완 범위를 넓게 하여 더 힘들다. 내려올 때는 무릎에 많은 충격을 준다. 최근 들어 부쩍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등산동호인이 많은 원인 중의 하나가 계단 등산로다. 등산용 스틱은 이런 계단 등산로에서도 좋은 신체보호 수단이다. 체중은 늘어나고 근력과 민첩성이 떨어진 중장년층에게 등산용 스틱은 특히 좋은 도구다.


중장년층 무릎 통증 예방에 도움


어떤 사람은 등산용 스틱은 친환경 등산에 맞지 않고 자연을 훼손하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등산용 스틱의 스파이크가 나무 뿌리를 찍고 흙을 파헤쳐 자연을 훼손한다는 것이다. 맞다. 분명 등산용 스틱을 사용하면 등산로상에 노출된 나무 뿌리나 흙에 작은 흠집을 낸다. 그러나 일부러 나무 뿌리를 찍거나 파헤치는 것이 아니기에 그 피해의 범위나 규모는 자연생태계 훼손을 거론할 정도는 아니다. 그 정도의 흠집을 문제 삼는다면 아예 산에 가지 말아야 한다. 등산화는 괜찮은가? 맨발이 더 좋을 것이다. 그토록 환경 보존에 엄격해야 한다면 산을 파헤쳐 도로와 건물을 짓는 일도 하지 말아야 한다.


 

한편으로 등산용 스틱 사용이 지나치게 도구에 의존하는 것이라는 질타도 있다. 등산이란 산에 대한 인간의 도전이며, 자유의 몸짓이기에 지나치게 도구에 의존하는 것은 좋지 않다는 것이다. 체력과 정신력을 기르고 난 후에 등산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스틱은 좀 더 험한 산행, 깊은 자연 탐험을 가능케 하는 피켈과 모양만 다를 뿐 사용 목적은 같다.

 

○평지나 완만한 경사 뒤를 향해 밀어주는 방식으로 사용


▲ 1.평지와 완만한 경사에서의 등산용 스틱 사용법.

    2.등산용 스틱의 끝은 전진하는 발 뒤쪽보다 20~30cm 뒤를 짚어준다.

    3.오른팔이 나갈 때 왼발이 나가는 자연스런 보행동작을 취한다.

    4.밀어주는 동작으로 추진력을 얻는다.

 

평지나 완만한 경사에서의 사용법은 등산용 스틱을 뒤로 밀어 주기만 한다. 이때 등산용 스틱의 끝(스파이크)은 전진하는 발의 뒤쪽보다 20~30cm 뒤에 짚어서 밀어준다. 팔 동작은 오른발이 나갈 때 왼팔이 나가는 자연스런 보행시의 발동작으로 그대로 유지하며 등산용 스틱을 뒤로 밀어주는 것이다. 밀어주는 동작을 통해 몸이 앞으로 쉽게 전진하는 힘을 팔로부터 얻게 되는 것이다. 원리는 썰매를 탈 때 꼬챙이를 뒤로 밀어주면 썰매가 앞으로 나가는 것과 같다.


동작을 너무 의식하면 마치 스텝이 꼬이듯이 부자연스런 동작이 연출된다. 자연스럽게 걸으며 등산용 스틱만 뒤로 밀어주어 앞으로 나가는 몸의 탄력을 살려준다고 생각하면 한결 쉬워진다. 부자연스런 동작은 이른 시간 안에 익숙해진다. 숙달되면 몸이 앞으로 쑥쑥 전진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데, 보행시간을 최대 30%까지 빠르게 할 수 있다. 양쪽 스틱을 동시에 짚고 뒤로 밀쳐 내듯이 사용할 수도 있는데, 보다 큰 전진력을 얻을 수 있다. 이때는 한 번 밀쳐 내는 팔 동작에 발걸음은 몇 스텝을 연속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오르막 경사 스틱에 체중을 싣고 일어서며 뒤로 밀어낸다


▲ 5.오르막 경사에서의 사용법.

   6.두 개의 스틱을 같은 높이의 위쪽에 짚는다.

   7.상반신의 무게를 스틱에 기대듯 의지한다.

   8.다리로 일어서며 스틱을 아래쪽으로 민다.

 

오르막에서는 먼저 등산용 스틱 두 개를 모두 같은 높이의 위쪽으로 짚고 다리를 올린 다음 팔을 접어 상체와 등산용 스틱을 가깝게 하고, 상반신의 몸무게를 살짝 등산용 스틱에 기대듯이 의지한다. 상체와 배낭의 무게 중 일부를 다리가 아닌 팔에 분산시켜주는 것이다. 다리로 일어서는 동작과 등산용 스틱을 이용하여 아래쪽으로 미는 팔의 동작을 동시에 한다. 등산용 스틱을 이용하지 않을 때와 비교해 보면 다리의 힘이 훨씬 적게 들어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이 등산용 스틱 사용법은 평지와 오르막에서 다르다. 평지나 완경사에서는 뒤로 밀어 사용하지만 경사가 점점 급해지면 스틱을 뒤로 미는 동작이 불편해진다. 이때는 스틱의 스파이크를 짚는 곳이 점점 발 앞쪽의 높은 위쪽을 향하게 된다.


발 높이 위로 짚어야 하는 경사에서는 스틱 두 개를 동시에 위쪽으로 올리는 것이 효과적이다. 스파이크를 위에 찍고 손잡이와 스트랩에 살짝 상체의 체중을 의지한 다음 아래 방향으로 밀어내리는 힘을 주며, 발은 연속해서 위로 올라간다. 발이 스틱의 스파이크 위치를 지나 올라가게 되면 손을 미는 방향은 몸 뒤쪽이 된다. 스틱을 뒤쪽으로 쭉 밀어줄 때, 몸은 앞으로 전진되는 힘을 얻는다. 그 다음 다시 스틱 두 개를 동시에 위로 올려 짚고 동작을 반복한다.

 

○내리막 경사 스틱에 체중 실으면 무릎의 부담 덜어


▲ 1.내리막 경사에서의 사용법.

    2.체중의 일부를 스틱에 기대면 발과 무릎에 전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3.스틱 손잡이의 윗부분을 손바닥으로 누르고 상체의 무게를 스틱에 전한다.

    4.내려서면서 팔을 자연스럽게 양쪽으로 벌려준다.

 

내려갈 때는 스틱 두 개를 아래쪽에 짚고 스틱의 손잡이 윗부분을 손바닥으로 누르며 살며시 상체의 무게를 스틱에 기댄다. 이때 너무 무리하게 의지하면 스틱이 휘어질 수 있다. 이렇게 체중의 일부를 스틱에 기대면 아래쪽으로 내려딛는 발과 무릎에 전달되는 체중의 부담과 충격을 줄여줌과 동시에 고양이처럼 사뿐한 착지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험하고 급한 경사에서 균형 잡기가 용이해져 안전하고 빠른 하산을 할 수 있다.


스틱을 짚고 내려서면서 팔은 자연스럽게 양쪽으로 벌려준다. 그러면 자칫 스틱 손잡이에 얼굴을 부딪치는 일을 피할 수 있다. 또한 그냥 팔을 위로 올리는 상태로 내려서는 것보다 팔 근육의 피로도를 한결 줄여줄 수 있다. 


○눈과 빙판 많은 곳 균형 유지로 안정성 높여


등산용 스틱은 눈이 많은 곳에서 사용할 때 더욱 편리해진다. 울퉁불퉁한 등산로는 눈으로 덮여 등산용 스틱의 스파이크를 매우 편하게 찍을 수 있다. 경사진 눈길에서 미끄러움을 방지하고, 신체 균형의 안정성을 높여준다. 눈 녹은 곳과 눈 덮인 곳이 반복해 나타나는 길에서는 아이젠을 착용하고 걷기가 매우 불편하다. 이런 때는 등산용 스틱만을 사용하는 것이 한결 편하다.


폭설이 내릴 가능성이 있는 날은 반드시 지름 10cm 정도의 넓은 바스켓을 가져가도록 한다.

눈이 깊은 곳에서 좁은 바스켓은 눈 속 깊이 박히므로 매우 불편하다.


대개 바스켓은 나사식으로 돌려서 끼거나 빼는 방식이다. 하지만 작은 핀으로 고정하는 방식도 있다.


>> 등산용 스틱 사용시 주의사항 주변 사람 부상 유의하고 잘못된 사용 피해야


등산용 스틱의 스파이크 부분은 매우 예리해 자칫 잘못하면 주변 사람에게 큰 상해를 입힐 수 있다. 무심결에 스틱을 치켜들었다가 주변의 사람을 찌르거나 또는 스틱을 바닥에 엉성하게 찍은 상태에서 체중을 실으면 스틱이 지지력을 잃고 확 밀려 나가 뒷사람에게 큰 상해를 입힐 수 있다.


따라서 스틱을 사용할 때는 주변 사람과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스틱을 들어 올릴 땐 주변에 사람이 없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또한 평상시 휴대·보관할 때는 안전마개나 고무 팁을 스파이크에 덮어 씌워 다른 이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 최근 등산용 스틱을 넣고 다니는 케이스를 따로 판매하기도 하는데 오히려 부피감이 있고 빼고 넣기에 불편함만 초래할 수 있으니 고무 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다.


가파른 바위나 오르막길을 오를 때 밧줄을 내리듯 등산용 스틱을 늘어뜨려 잡게 하고 끌어올리는 행위는 매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스틱의 연결 부위 조임쇠가 밀려 들어가는 것을 주로 방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체중을 실어 잡아당기면 순식간에 빠져 버릴 수 있다.


등산용 스틱이 아무리 견고하게 제작되었다 할지라도 장시간 걷다 보면 이음새의 걸쇠 부분이 헐거워지기 마련이니 종종 조여 주어야 한다. 특히 급경사 내리막길에 접어들 때 한 번씩 꼭 확인하도록 한다. 스틱의 한 단이 갑자기 쑥 들어가 버리면 몸의 균형이 깨지며 매우 위험해진다.

강의 원종민 코오롱등산학교 차장·대한산악연맹 등산교육원 등산교수

/ 정리 김기환 기자 [월간산 11월호 기사]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