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9.26(토) 10:30 - 15:30까지 영천시청 대회의실에서..
경북 안동에 소재한..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주관으로
제2회 경북 식품박람회 개최 기념 포럼이 있었습니다.
제목은..[경북 식품산업의 세계화 및 마케팅 활성화 방안]입니다.
후공은 현재 무역협회에서 9.21(월)부터 진행중인..
한달 일정의 [통상 아카데미]교육을 받고 있고..
11월부터는 대구 테크노파크에서 진행하는 마케팅 교육을 신청해 두었습니다.
사직서를 제출하기전 1년반동안 나름대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무역에 대해
공부를 하고 경험을 했지만..
무역의 세계에 점점 깊이 빠져들면서..
체계적인 이론 공부를 더 해야겠다는 필요성을 느꼈고..
또한 향후 수출마케팅과 컨설팅 분야를 주력으로 하기 위해서는
마케팅에 대한 이론적인 공부도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교육을 신청하고..받고 있습니다.
이번 영천에서 진행된 포럼도 "식품 수출마케팅"이라는 카테고리가 있었기에 참가 했습니다.
23개시도에서 이번 포럼과 직,간접적으로 관계된 많은 분들이 참석을 하셨고..
해당분야 교수님들과 전문가분들이 발표자와 토론자로 참석하셔서 열띤 포럼이 진행 되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814881E4ABEB8B769)
포럼장 모습니다. 점심시간이라 자리가 비어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614881E4ABEB8B76A)
포럼의 진행순서입니다.
경북대 문광덕교수님의 전반적인 [경상북도 식품산업의 육성전략 및 방안] 소개와
농수산물 유통공사 하상목팀장님의 [지역 특산품의 마케팅 전략 및 방안]과 일본 마케팅 방안..
그리고 (주)경북통상 김시홍 부장님의 캐나다와 미국관련 [해외사례 발표]와
순창장류연구소 한금수 소장님의 [순창 장류산업 육성 사례]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고..
발표후 토론시간에는 지정 토론자 분들의 발표와 질문, 그리고 답변 순으로 포럼이 진행 되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71C741D4ABEBAA518)
포럼 발표자와 지정토론자들이 포럼이 끝난후 인사를 나누고 있습니다.
이번 포럼을 보고 느낀점은..
1. 이날 점심은 외식업체에 의뢰한..잘 차려진 뷔페식이었습니다.
이날 포럼의 제목이 [경북 식품산업의 세계화 및 마케팅 활성화 방안]이고..
23개 시군에서 관계자들이 참석 했다면..
점심시간을 이용해 경북지역과 영천의 특색있는 요리나 제품을 준비해 마케팅을 했다면..
참석자들이 귀가해서도..이번 포럼에서 다른건 기억나지 않는데 점심때 먹은
"000음식"만큼은 정말 좋았다..라는 인상을 심어줄 수 있었을걸..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예를들면..이번 포럼이 영천의 "한방축제"와 중복 되기에..
영천의 자랑인 한방재료를 이용한 "약선요리"나 기능성 식품을 준비했다면
더욱 효과적인 홍보가 되었을걸..하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마케팅은..어렵고 멀리 있는게 아닌것 같습니다.
2. 해외 마케팅 사례는..
한국 유통을 위한 마케팅 방법..
그리고 일본 현지인들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이용한 식품 마케팅 방법 소개와
경북 지역업체 제품의 캐나다와 미국 현지 진출 현황의 소개..정도였습니다.
주제가 식품산업의 세계화인만큼..
해외 마케팅의 기획과 준비과정..그리고 해외에서 어렵게, 힘들게.. 유통판매망을 정착시킨..
그런..실례 위주의 마케팅 홍보방법이 소개되었으면..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2004년 기준..전세계 식품산업의 시장규모는..약 4조달러(원화 기준..약 5000조원)라고 합니다.
그리고 향후.. 그 규모는 10,000조원..즉 1경원 정도까지 성장한다고 합니다.
전세계 자동차산업의 시장규모가 1.6조달러, IT시장이 2.8조달러인것에 비해..
식품산업이 엄청난 시장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한국으로 볼때..식품산업은..지금까지는 태동기였고..
이제부터 성장기를 거쳐 발전기로 이어지는 시기인것 같습니다.
식품산업과 관련된 모든 산.학.연이 연계하여..
지금까지 한국을 지탱하고 있던 중심축인..IT분야와 자동차 분야를 넘어서는..
식품관련 사업이 한국의 미래를 책임지는 날이 오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문제가 단지 문제로서 끝나는게 진짜 문제입니다.
문제를 인식하고..또한 인정하고..
대안을 찾고..행동으로 옮기고..
새로운 발전모델과 방안을 찾는 노력들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그런 날을 생각하며..
후공은 오늘도 무역에 몰입하고 있습니다.
첫댓글 다녀오신 소감글 깊이있게 읽었습니다 실경험이 없는 사람들 포럼은! 빗좋은 살구가 아닌가 생각이 많이드는 느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