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박약회 대구광역시지회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자유 게시판 스크랩 전통건축 용어해설
이장희 추천 0 조회 66 14.04.09 16:14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전통건축 용어해설
  * 가새 : 네모 구조로 된 골조의 변형을 방지하게 위하여 그 대각선상으로 건너지르는 보강재
(벽가새, 하늘가새 등).

* 가적 : 맞배지붕 집의 박공 벽에서 달아 내 외쪽지붕으로 꾸민 것(안동, 영천 방언). =사랑

* 갖은삼포 : 주심과 기둥사이의 중간에도 1출목 다포계의 삼포작 공포를 앉혀서 꾸민 것.
기둥 사이에는 화반과 운궁을 얹고 주심에서 1출목 이익공으로 짠것

* 개판 : 지붕 널. 물건의 위에 엎어 대는 널의 총칭

* 겹처마 : 처마 서까래 위에 부연을 달아 꾸민 처마. =중첨, 이중처마.

* 계자각 : 위는 구부정하게 내밀고 초새김하여 난간의 중간중간에 세워 두겁대를 받치는 짧은 기둥
으로 대개 두꺼운 널판을 씀. =개다리헌함.

* 고복형 초석 : 북 모양으로 새긴 주춧돌. 복통 주초석

* 고주 : ① 보통 기둥보다 높은 기둥.
② 솟을지붕 또는 동자기둥을 겸하여 쓰이는 기둥.

* 공간포 : 다포구조에 있어서 기둥과 기둥 사이에 짜 올린 공포.

* 공안 : 첨차의 상부 소로와 소로 사이 윗면을 활형으로 깎아내거나 어깨의 앞면을 조금 파낸 부분
을 말한다.

* 공포 : 주두, 소로, 첨차, 제공 등을 짜 맞추어 장식을 겸하여 처마하중을 받게 한 것.

* 광창 : ① 넓게 낸 채광 창.
② 채광하기 위하여 낸 창.

* 교두 : 살미나 첨차의 밑면 끝을 활형 또는 원호형으로 깎아낸 모양 또는 그 부분. 살미가 첨차 같
이 된 것.

* 9량가 : 한식 목조지붕 가구로서 도리가 9개로 된 지붕 틀.

* 귀면 : 내림마루(박공마루)끝이나 사래 마구리에 붙이는 도깨비 얼굴 모양의 장식기와.

* 귀한대 : 귀공포에서 도리와 45。각도로 내민 포살미.

* 귓보 : 모서리 기둥(귀기둥)에 걸쳐지고 대각선상으로 건 지붕보 또는 트러스트의 귀평보.

* 끝걷기 : 서까래 등의 끝머리를 중간부 보다 약간 가늘게 훑어 깎는 것.

* 내목도리 : 공포를 짜고 건물 내부로 내놓아 건 도리. =내출목도리.

* 내진 : 건물의 내·외에 이중으로 기둥이나 벽이 둘러쳐져 있을 때 그 안쪽에 있는 기둥 열
이나  벽채.

* 내진주 : 한 건물에 기둥 열이 내외 이중으로 둘러져 있을 때 그 안쪽에 있는 기둥.

* 다포계 : 주심과 주심 사이에도 공포가 배열된 구조로 고려시대 이후 많이 쓰였음.

* 단연 : 종도리에서 중도리 또는 마룻대 사이에 짧은 서까래.

* 단장여 : ① 기둥 화통가지에 끼워 보나 도리 밑에 보강으로 대는 짧은 가로재.
② 도리 밑에 건너지르지 않고 짧게 받쳐낸 장여.

* 닫집 : 궁궐·사찰·사묘 등의 보좌, 불단, 제단 위에 지붕 모양으로 씌운 옥개.
=당가.

* 달동자 : 외기중도리의 왕지부분에 내리세운 짧은 기둥으로 밑 끝에는 꽃새김을 함.

* 당골판 : 단골판, 착고판.

* 덤벙주초 : 둥글넓적한 자연석을 그대로 놓은 주춧돌. =호박돌 주초, 자연석 주초.

* 덧서까래 : 지붕의 물매를 잡기 위하여 서까래 위에 덧거는 서까래. =허가연.

* 도래걷이 : 보가 기둥에 짜여지는 어깨에 도래를 띄어서 기둥을 싸고 있게 하는 방식.

* 도리 : ① 골조보와 직각방향으로 걸어 서까래를 받는 수평재로서 지붕을 꾸미는 골조가 됨.
② 처마도리와 중도리 등의 총칭이며 일반적으로 처마도리를 가리킬 때가 많음.

* 도리간 : ① 도리를 거는 방향으로 세운 기둥과 기둥 사이의 수효.
② 도리 방향으로 세운 기둥과 다음 기둥과의 거리 또는 그 사이.

* 돌란대 : 난간의 맨 위에 건너대어 손스침이 되는 부재로서 단면은 원형, 팔각형, 육각형, 사각형
으로 하며 쇠시리하여 쓰기도 함. =회란대.

* 동자주 : ① 짧은 기둥, 세로로 세운 짧은 받침기둥, 동자기둥의 준말.
② 가구에서 한 구간의 중간에 세운 나무.

* 들장지 : ① 들어올려 여닫는 장지문.
② 들어올려서 걸어놓는 장지문으로 샛 장지문에 많이 쓰임.

* 뜬장여 : 도리 밑에 붙지 않고 통장여와 단장여 밑에 떠있는 상태로 부재간을 연결하는 장여.
종도리와 중도리 밑에 흔히 쓰임.

* 뜬창방 : ① 용마루나 중도리 밑에 있는 대공 또는 동자주에 가로 건너지른 창방.
② 그 밑에 벽이나 평행 가로재가 없이 된 것.

* 띠살 : 투밀이한 창문의 살. =세살.

* 띳장 : ① 판벽에 있어서 널을 박아대는 가로 댄 부재.
② 띠방, 널, 넓은 판을 대기 위하여 기둥사이에 가로 대는 나무오리.
③ 창문이나 가로 건너 댄 가는 나무.

* 마구리 : ① 목재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자른 끝면. =목구, 단구, 말구.
② 벽돌의 6면 중 가장 좁은 면.
③ 긴 재료가 달린 끝면.

* 막새 : ① 처마 끝에 덮는 수키와에 와당이 달린 기와.
② 숫막새는 내림새(암키와에 와당이 달린 것)를 암막새라 하는 데에서 온 잘

* 망새 : ① 지붕마루 끝에 세우는 내림새.
② 암막새 모양의 기와. =망와.

* 맞보 : 한 개의 기둥 또는 동자주의 좌우에서 마주친 보.못된 말.

* 맞춤 : 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직교하거나 경사지게 짜여지는 것.

* 맹장지 : 문 울거미와 살을 온통 두껍게 싸바른 문. =북장지.

* 머름 : 창 밑의 하인방과 창틀(창지방)사이에 머름 동자를 세우고 널로 막아 댄 부분.

* 머름간 : 가구의 한 장명에 문 없이 널로 막은 좁은 구간을 말하며 대개 상하 띳장(쇠목)사이에 동
자를 세워 작은 구간을 만듬.

* 멍에창방 : 주층 건물에 있어서 하층 서까래 상단을 받는 이중 기둥에 건너지른 가로재.

* 모접기 : ① 석재, 목재 등의 모서리를 깎아 좁은면을 내거나 둥글게 하는일.
② 돌의 접합면의 모서리를 접는 일.(빗모접기, 두모접기, 세모접기 등) =모치기.

* 모임지붕 : 추녀마루의 네 귀가 한 지점에 모이게 된 지붕. =삿갓지붕, 네모지붕.

* 무량갓 : 지붕마루를 꾸미지 않은 건물, 이익공 무량갓(이익공으로 장식되고 지붕은 마루가 없게
꾸민 것). 창덕궁 내 대조전 등에서 보임.

* 무사석 : ① 네모반듯하게 다듬어 성벽과 담벽 등에 높이 쌓아올리는 돌.
② 홍예돌 옆에 쌓은 네모반듯한 돌.

* 문설주 : 문의 양쪽에 세워 문짝을 끼워 달게 된 기둥. =선틀.

* 문지방 : ① 출입문 밑에 건너지른 안방. 문틀이 됨.
② 문틀에서 밑에 가로 댄 부재.

* 물매 : ① 수평을 기준으로 한 경사의 정도.
② 수평 길이에 대한 수직 높이의 치수로 나타냄.
③ 지금은 수평 길이 10㎝에 대한 높이를 센티미터로 나타내지만 예전에는 한 자에 대한 높
이 치수로 나타내었음 [5치 물매(5:10)].

* 물익공 : 끝이 쇠서 모양으로 삐죽하지 않고 두리 뭉실하게 초각 된 익공형식.

* 민흘림기둥 : 기둥뿌리는 굵고 위로 올라가면서 곡선적으로 가늘게 된 흘림기둥.

* 박공 : ① 건물의 측면 벽에서 내민 경사지붕 옆면에 붙인 널. ② 맞배지붕 끝이나 합각 머리에
ㅅ자형으로 댄 널. 지붕에 불어오는 바람을 잡는다는 뜻의 박풍에서 나온말.
·박석 - ① 넓고 얇게 뜬 돌.
② 바닥에 깐 돌.
③ 능묘(陵墓)에서 병풍석과 난간 사이에 깐 돌. =첨계상석.

* 반5량 : 용마루를 중심으로 지붕틀의 전면은 5량, 후면은 3량으로 꾸민 지붕 틀.

* 방주 : 부재 단면이 네모진 기둥. =네모기둥, 모기둥.

* 방초박이 : 지붕 끝에서 막새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박아대는 못.

* 배흘림기둥 : 기둥의 중간이 굵고 밑이나 위로 올라가면서 직선으로 가늘게 된 기둥으로, 기둥
의 측면은 직선적으로 경사짐. =배불림 기둥.

* 벽선 : 8① 기둥과 벽 사이에 세운 각재.
② 벽 중간에 벽을 치기 위하여 세운 중깃.
③ 창문이 달리는 좌우에 세운 문틀재. =문설주, 설주.

* 보 : 지붕 또는 상층에서 오는 하중을 받는 부재로서 기둥 또는 벽체 위에 수평으로 걸친 구조
부재.

* 보개 : ① 궁전의 왕좌 위에 씌운 천장.
② 탑의 상륜의 보륜과 수연 사이에 있는 지붕모양의 부분.
③ 보주 같은 것으로 장식한 천개.

* 보아지 : 기둥머리 또는 주두에 끼워 보의 짜임새를 보강하는 짧은 부재. =양봉.

* 복화반 : 화반의 모양이 아래쪽은 넓고 위쪽이 좁은 것.

* 부섭지붕 : 서까래의 밑머리를 다른 벽에 지지시켜 달아 낸 지붕.

* 부연 : 처마 서까래의 처마 끝에 덧 얹어 건 짤막한 네모난 서까래로서 처마를 위로 올려 모양 이
나게 함. 부연초리(내밀기)는 처마 서까래의 1/4∼1/3정도로 함. =비연.

* 분합문 : 마루나 방 앞에 설치한 큰 창호.

* 불발기 : 장지의 한가운데에 가는 살을 짜대고 창호지를 붙여 일부는 채광이 되게 하고 위아래 에
는 안팎을 종이로 두껍게 싸 바른 문. =연창문.

* 빗반자 : 천장의 일부 또는 전부가 경사지게 꾸민 것. =빗천장.

* 뺄목 : 부재의 머리가 다른 재의 구멍이나 홈을 뚫고 내민 부분. 장부머리 따위.

* 사개 : ① 여러 갈래의 장부나 촉이 한자리에서 짜이는 것.
② 기둥 위에 보나 도리가 상방에서 맞추어지는 것. =사괘.

* 사괴석 : 한국주택의 외벽 또는 담 등을 쌓는 데 쓰이는 네모진 돌로 각각 20∼25㎝의 입방체형의 석재. 한 사람이 네 덩이를 질 만한 크기에서 온 말. =사고석.

* 사래 : 겹처마의 귀에서 추녀 끝에 내밀어 걸어 부연을 걸치는 짧은 추녀 모양의 부재.

* 4량 : ① 한식 지붕 틀에서 전면을 5량으로, 후면은 세 마루식으로 꾸민 지붕틀. =반오량).
② 지붕의 전후면에 처마도리 또는 중도리를 걸고 중도리와 중도리 사이에 서까래를 수
평으로 걸어 그 위에 덧집 또는 적심을 채워 지붕마루를 꾸미는 지붕틀. =평사량.

* 4분변작법 : 건물의 보간 사이를 4등분한 지점(중간은 제외)에 동자주를 세우고 종량과 중도리
를 배치하는 지붕가구의 한 방법으로 4등분 점에 고주를 세우기도 함.

* 사절 : 부재축에 직각으로 자르지 않고 경사지게 자른 것.

* 사천주 : 목탑의 심주 주위에 세운 네 기둥으로 사천왕은 수미산의 중턱에 있는 사왕천의 주신 
으로 동-지국천왕, 남-중장천왕, 서-광목천왕, 북-다문천왕으로 불법에 귀의한 중생을
수호한다고 함.

* 산자 : 서까래 위에 기와를 잇기 위하여 가는 나무오리, 싸리나무, 가는 장작 따위를 새끼로 엮어 댄 것 또는 그 재료.

* 살미 : 주심에서 보 밑을 받치거나 좌우기둥 중간에 도리와 장여에 직교하여 받쳐 댄 쇠서 모양
으로 내민 공포, 부재 짜임새의 총칭. 첨차에 직교되며 외부는 쇠서형으로 내밀고 내부는
교두형 또는 초엽, 연화 등을 새김(포살미의 준말).

* 3량가 : 도리가 세 개 있는 지붕 가구. =세 마루 지붕틀.

* 삼분두 : 보머리, 장여뺄목 등의 끝을 모양나게 세 번 꺾어 잘라 낸 형식의 끝머리.

* 3분변작법 : 건물 전칸 사이의 3등분 점에 동자주를 세우고 종량과 중도리를 배치하는 지붕 가
구의 한 방법. 상 등 분점에 고주를 세우기도 함.

* 샛기둥 : 벽을 치기 위해 본 기둥 사이에 세우는 작은기둥. 기둥사이에 세우는 보조기둥.

* 선자연 : 추녀 옆에서부터 면 서까래까지 중도리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여 부채살 처럼 배치하는 서까래. =선자 서까래.

* 섬돌 : ① 지대를 높이 쌓는 돌. =지댓돌, 첨댓돌.
② 돌계단.

* 세살 : 가는 창문살의 총칭
① 투밀이 한 창문의 살.
② 세살문(띠살문)에 쓰이는 살.

* 소란 : ① 큰 부재로 짜, 한 구간에 잘게 구획하여 대는 가는 나무오리.
②소란반자. 천장틀, 양판틀 등의 가장자리에 장식적으로 쇠시리하여 대는 가는 테두리 대.

* 소로 : 장여나 공포재(살미, 첨차, 쇠서, 익공)의 밑에 받쳐 괸 됫박 모양의 네모진 부재.

* 소맷돌 : ① 돌계단의 옆면에 막아 댄 돌.
② 계단 옆막이 돌. =우석.

* 쇠서 : 공포에서 보 방향으로 얹어 첨차와 직교하게 짜여지며 끝이 소의 혀 모양의 부재.

* 쇠시리 : 나무의 모서리나 면을 모양지게 깎아 만든 것 또는 그 일. 두드러지게 하거나 오목하게 하여 모양을 돋힌 것.

* 수장재 : ① 건축물의 내·외부에 노출되어 미려하게 꾸미는 재료의 총칭.
② 목재 구조체에서 체목 이외로서 치장되어지는 목재의 총칭.

* 순각판 : 각출목 사이사이를 첨차 위쪽에서 막아댄 반자 널.

* 신방목 : 일각대문의 기둥 밑에 가로 끼어 댄 나무(신방의 준말).

* 심주 : 탑, 정자, 누각 등의 한복판에서 세운 기둥. 중층일 때는 통재기둥을 쓰기도 하며 심초석
위에 세움(옥심주, 중심주의 준말).

* 상사 : 기둥, 창문틀 또는 창문 울거미에 두 줄이 오목하게 들어간 쇠시리 또는 그 모양.

* 아귀토 : 수키와의 처마 끝에 물린 회백토 반죽. =와구토, 아구토.

* 안초공 : 기둥머리의 내·외로 평방에 직교하여 끼워서 기둥 상부의 공포를 받는 부재.

* 앙곡 : ① 아래에서 위로 곡선이 져서 휘어오른 상태 또는 그렇게 하는 일. 추녀허리 등.
② 추녀머리에 건 휘어오른 곡선형의 평고대.

* 양성 : 지붕마루의 수직면에 회사반죽 또는 회반죽을 바른 것.

* 어간 : ① 건물의 중앙 칸.
② 정간 :정면이 여러 칸으로 되어 있을 때 그 중앙에 있는 칸. 대개 가장 넓은 칸으로 꾸밈.
=중앙 칸.

* 엄지기둥 : 난간의 끝에 서는 난간 동자보다 굵은 난간기둥.

* 연귀 : 직교하는 두 개의 나무 마구리가 보이지 않게 45。각도로 빗잘라 대는 맞춤. =연구.

* 연등천장 : 서까래 사이(연등)의 개판 또는 앙토 밑에 그대로 치장 한 반자. =연등반자.

* 연목 : 서까래 또는 서까래로 쓰이는 통나무. 대·중·소 연목으로 구분함.

* 연함 : 암키와의 뒷면에 맞는 골을 파서 평고대 위에 박아대어 처마 끝 암키와를 받는 재.

* 연침 : 전.후 또는 상.하에서 오는 서까래가 옆대어지는 끝머리에 구멍을 뚫고 연달아 꿰어 연결
하는 가늘고 긴 나무로서 참나무 가지와 굵은 싸리나무를 씀. 쇠못이 없던 때에 쓰던 것으
로 마룻도리와 중도리 위에서도 썼으나 지금은 중도리 위에서는 쓰지 않음.

* 5량가 : 전.후 처마도리와 중도리 및 마룻도리의 다섯개의 도리로 꾸민 지붕 틀.

* 왕자도리 : 모서리 기둥 밖으로 내민 도리.

* 외기 : 충량에 직접 또는 동자기둥을 세우고 측면 중도리를 저울대 모양으로 꾸민 것. 합작지붕의 보꾹치장으로 꾸밀 때 쓰임.

* 외목도리 : ① 포작 외부에 내놓아 건 도리. =외출목도리.
② 기둥의 중심선 바깥쪽에 나 앉아 걸리는 도리. =나앉은 도리.

* 외진 : 건물의 내.외에 이중으로 기둥이나 벽이 둘러쳐져 있을 때 그 바깥쪽의 기둥열이나 벽채. =바깥둘레 기둥.

* 외진주 : 건물의 외부 변두리에 둘리어 세운 기둥. =변두리 기둥.

* 용두 : 지붕 용마루 또는 귀마루에 올려놓은 용머리형 장식 기와.

* 용마루 : 지붕의 중앙부에 가장 높이 있는 수평 마루. 몸체의 지붕마루로서 제일 높고 큰 것.
= 종마루, 대마루.

* 우물마루 : 마루틀을 짜고 그 사이에 넓은 널을 짧게 잘라 끼워 놓은 마루.

* 우물반자 : 반자틀을 井자로 짜고, 그 사이에 넓은 널 등으로 덮어 꾸민 천장.

* 우미량 : 도리와 보에 걸쳐 동자기둥을 받는 부재, 또는 처마도리와 동자기둥에 걸쳐 그 일단이
중도리에 짜여진 보. =꼬리보.

* 운공 : 이익공 공포에 있어서 화반 상부에 가로 얹혀 장여와 도리를 받는 초새김을 한 짧은 부재.

* 운궁 : 건물 내부에서 초새김한 포살미가 중첩된 부분.

* 원주 : 단면이 원형으로 된 기둥. =두리기둥, 영원주, 둥근기둥

* 월대 : 궁전 앞에 있는 섬돌. =전각기단.

* 유리와 : 광주산 의안토에 황단을 넣어 구운 청기와의 다른 이름. =시유와, 청유리와.

* 은장 : 부재의 쪽매 또는 맞댄 자리가 벌어지지 않게 그 사이에 걸쳐 끼워 넣는 나비 모양의 나무 쪽.

* 2고주7량 : ① 한식 목조건물에서 내부에 전후로 고주 두 개를 써서 꾸민 7량 지붕 틀.
② 고주가 전후에 대칭형으로 선 7량.

* 이방 : 귀 평방머리 위에 얹어 귀의 공포(한대)를 받치는 짧은 부재. =고삽.

* 이음 : 재를 길이 방향으로 이어가는 방법 또는 그곳.

* 익공계 : 기둥 위에서 쇠서 보아지를 끼우고 그 위에 주두, 두공 및 쇠서를 짜서 장식하는 계통의 공포. 초익공과 이익공의 두 형식이 대표적이며, 그 기원은 주심포가 간략 형식화 되었
다는 설과 또 다른 형식으로 조선조에 발생했다는 양론이 있음.

* 인방 : 기둥과 기둥 또는 벽선에 가로질로 벽체의 뼈대 또는 문틀이 되는 가로재로 상방, 중방 및 하방의 총칭

* 1고주5량 : 건물 내부 앞쪽 또는 뒤쪽에 고주 하나를 써서 꾸민 5량 지붕틀.

* 장마루 : 긴 마루널을 깐 마루.

* 장부 : 한 재의 판 구멍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다른 재의 끝을 가늘고 길게 널찍한 촉 같이 만든 부분. 장부촉과 장부맞춤 등에 쓰임.

* 장여 : 도리 바로 밑에 평행으로 받쳐 거는 인방과 같은 부재. =장혀.

* 재주두 : 이익공 형식에서 주두 위의 이익공 두공 위에 얹어 도리밑 장여와 들보를 받는 대접주두, 운두는 낮고 크기는 주두의 밑면과 같이 하는 것이 보통임.

* 절병통 : 사모정·육모정·팔모정 등의 지붕 꼭대기에 올려놓는 항아리 모양의 장식 기와.

* 정료대 : 횃불을 피워 놓은 뜰에 세운 기둥 모양의 대. 옛날 대궐 뜰에서 밤중에 참내하는 재신을 위해 횃불을 켰음.

* 제공 : 공포에 있어서 첨차와 살미가 층층이 짜여진 것. 또는 첨차와 직교되는 살미. 주두나 대
접받침의 위로부터 차례로 초제공, 2제공, 3제공 등 위로 각 층을 이름 붙임.

* 제형보 : 사다리꼴로 된 보. 고려시대의 주심포 집에 쓰였음.

* 종대공 : 종도리를 받은 수직재. =마룻대공.

* 종도리 : 건물의 가장 윗부분에 걸친 도리. =마룻대.

* 종량 : 지붕가구에 있어서 대들보 위에 동자주를 양쪽에 세우고 그 위에 건너지른 보.
대공을 받음=종보, 마룻보.

* 주간포 : 기둥과 기둥 사이의 중간에 배치한 공포. =갖은포, 간포, 공간포.

* 주두 : ① 기둥머리를 장식하며 공포 부재(살미, 첨차, 쇠서, 두공 등)를 받치는 됫박처럼 네모
지게 만든 부재. =대접받침.
② 서양 고전 건축에서 기둥 위에 얹어 장식한 것. 동시에 상부의 하중을 받아 균등하게
기둥에 전달하는 기능을 지님.

* 주선 : 기둥 옆에 붙은 문설주. 또는 옆벽을 치는 수직재.

* 주심포계 : 목구조 건축에서 공포가 기둥 중심 위에만 짜여진 공포형식. 또는 고려중기 이전의
목조건축의 공포형식.

* 주좌 : 주초 상면에 기둥을 받치는 부분을 약간 높게 새긴 자리.

* 중도리 : 처마도리와 마룻도리 사이에 건 도리.

* 중종보 : 대들보와 마룻보(종량)사이에 건 도리.

* 지대석 : ① 병풍석, 난간의 기초부에 까는 대석.
② 댓돌

* 직절 : 부재축에 직각으로 자른 것. 또는 그 일.

* 창방 : 한식 목조건물의 기둥 위에 가로 건너질러 연결하고 평방 또는 화반, 소로 등을 받는수평
재.

* 처마 : 지붕이 도리 밖으로 내민 부분. =첨아, 첨하.

* 첨차 : 공포에서 주두 또는 소로에 얹혀 도리방향 또는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십자맞춤이 되는
부재, 직교하는 두 재가 거의 동일하여 도명으로 하고 있음.

* 초각  : 당초무늬를 새긴 것. =파련각.

* 초공 : ① 도리받침 장여와 직교되어 짜이고 도리가 좌우로 구르지 않게 고정하는 부재.
② 종량의 끝이 도리 및 장여와 짜일 때 도리가 구르지 않게 하고 그 끝머리에 초각한 것.
③ 초각하여 끼우는 재의 총칭. =승두.

* 초반 : ① 넓적한 주춧돌.
② 건축물의 지반에 널리 하중을 전달시키기 위하여 주춧돌 밑에 받쳐 까는 넓적하고 큰
돌= 초반석.

* 초방 : ① 창방 또는 인방의 뺄목, 끝머리 등을 초새김하여 장식한 것.
② 초새김한 포인방.

* 초석 : 지붕 밑에 기초로 받쳐 놓은 돌. =주춧돌

* 추녀 : 합각지붕과 모임지붕의 귀에 대각선 방향으로 거는 경사진 부재. 그 옆에 붙임 혀, 귀서
까래 선자, 서까래가 붙음. =춘설.

* 출목 : 공포에서 기둥 중심에 대하여 밖으로 나가 앉은 것.

* 취두 : 지붕마루의 양끝머리에 얹는 독수리 머리 모양을 새긴 장식 기와. 국가.사회적으로 격식이 높은 건물에만 쓰임.

* 층단반자 : 천장의 갓 둘레 또는 일부를 낮게 하거나 높게 하여 중간부분과 층이 지게 만든 천장. =층급반자, 층급천장.

* 치목 : ① 통나무를 도끼나 자귀로 다듬어 재목을 만드는 일.
② 나무를 깎고 다듬는 일.

* 치미 : 용마루 끝에 있는 날짐승 꼬리 모양의 장식기와. 삼국시대에 쓰였음. =망새.

* 치석 : ① 깎아낸 돌을 치수에 맞는 석재로 만드는 일.
② 석재를 곱고 면바르게 다듬는 일.

* 7량가 : 한식 목조건물에서 도리가 7개로 된 지붕틀.

* 토대 : 목조건물에 있어서 기초 위에 가로대어 기둥을 고정하는 벽체의 최하부재.

* 토수 : 추녀와 사래 끝에 끼우는 용두형의 기와.

* 통장여 : 길게 건너지른 장여.

* 통층 : 중층 건물에서 내부의 상층 바닥을 꾸미지 않고 통하게 된 구조.

* 툇간 : ① 건물의 내진 밖에 달아낸 내진보다 폭이 좁은 외진의 주칸.
② 전면이 여러 칸으로 된 건물에서 좌우 끝쪽에 있는 칸으로 대개 협간보다도 작게 함.
③ 몸채 앞뒤에 달린 칸. 또는 덧달아낸 칸.

* 퇴량 : 퇴간에 건 보. =툇보.

* 툇기둥 : 툇간에 세운 기둥. 물림간의 바깥쪽에 세운 기둥. 평주보다 낮게 됨. =퇴주.

* 툇마루 : ① 툇간에 놓은 마루.
② 방이나 마루 바깥에 붙여 꾸민 좁은 마루의 총칭.

* 판축기초 : 터파기를 하고 넓직한 돌을 두께 20∼30㎝ 정도로 펴 깔고 위에 토사를 넣어 다지고, 또 그와 같이 하여 축조한 기초, 콘크리트가 없을 때에 쓰인 기초공법의 하나.

* 팔작지붕 : 지붕 위에 까치 박공이 달린 삼각형의 벽이 있는 지붕. 처마 끝은 모임지붕처럼되고
용마루 부근에 삼각형의 벽이 있는 지붕. =합작지붕.

* 편수깎기 : 기둥 상부를 점차 가늘게 하고 그 윗머리부분을 궁글려 접은 것. =어깨굴림.

* 평고대 : 처마 서까래나 부연의 끝에 걸쳐댄 가는 나무(평고자). 처마 서까래 위의 것을 서까래
평고대(초매기), 부연 위의 것을 부연 평고대(이매기)라 함.

* 평방 : 공포 등을 받치기 위하여 평주 위에 건너지르고 창방 위에 얹히는 가로재.

* 평주 : 한식 목조 건물의 여간 좌우에 세운 기둥.

* 포벽 : 공포와 공포 사이에 있는 평방 위의 벽. =불벽.

* 포중방 : 공포에 있어서 첨차 위 보방향 전·후로 길게 건너지른 부재. =포인방, 초방.

* 풍판 : 풍우를 막기 위해 박공벽과 합각벽을 가려 박공널 밑 안쪽에 널판장 처럼 댄 널.

* 풍혈 : ① 기구와 가구 속의 통풍을 위하여 뚫어 놓거나 비워놓은 구멍.
② 기구, 가구 등의 구멍이나 비워놓은 갓 둘레에 새김질하고 돌려댄 테두리.

* 하앙계 : 공포를 짜고 위에 경사져 내린 하앙을 뻗쳐 결구한 공포계통.

* 합각 : 지붕위 용마루 옆면에 삼각형의 벽으로 꾸민 부분.

* 합장  : 목구조 건축에서 마룻대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고자 종량에 빗방향으로 버티어대는 부재 =솟을합장.

* 항아리보 : 단면을 항아리 모양으로 다듬어 쓴 보. 고려시대에는 주심포 집에 쓰였음.

* 행공 : 공포에 있어서 외목도리와 장여를 받치는 첨차. 단장여 모양으로 된 것도 있음.

* 헛첨차 : 주심포계 공포 주두 아래에서 기둥머리를 뚫고 내밀어 소로를 얹은 위에 초제 공을 받는 부재.

* 협간 : ① 어간의 양측에 있는 주칸.
② 전면이 여러 칸으로 된 건물에서 어간 다음에 있는 칸. 대개 중앙보다 작게 함.

* 홍살 : ① 대문의 위쪽에 창살 모양으로 공간을 막아 세워 댄 살.
② 홍살문 위에 세워 댄 살. 빨간 단청 칠을 함.

* 홑처마 : 부연을 달지 않고 서까래만을 걸어 꾸민 처마.

* 화반 : ① 주심에서는 이익공으로 짜고, 창방 위 중간에 얹어서 주심도리 밑 장여를 받는 초새
김한  받침.
② 엉거시과 식물의 두상화의 가운뎃부분.

* 활주 : 추녀 뿌리를 받친 가는 기둥으로 단면에 원형인 것과 팔각형인 것이 많음. =산기둥.

* 회첨 : ㄱ자 집의 안귀에 있는 처마. 지붕 골에 있는 처마. =고삽.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