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34:1
많은 심판 예언과 실행 때문에 기독교권 밖에서는 구약의 하나님을 잔인한 분으로 비판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 과정에는 이면의 숨은 진실이 있습니다. 자기 백성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의 열심입니다. 심판 과정 속에 담긴 주님의 열심은 어떤 모습이고 무엇을 배워야 할까? 우리는 몰라서 못하기보다도 알아도 믿지 않아서 따르지 않고 사단이 날 때가 많은 것 같습니다. 하나님의 경고는 공갈포가 아닙니다.
Outside of Christianity, the Old Testament God is sometimes criticized as cruel because of many prophecies and practices of judgment. However, there is a hidden truth behind the process. God's passion for his people. What is the Lord's zeal in the judgment process and what should we learn? It seems that there are many times when we do not follow because we do not know because we do not believe in it, rather than because we do not know it. God's warning is not blackmail.
-
현실에 끝까지 눈감기로 하면 도리가 없는데 이스라엘은 경고가 현실화되기 시작하는 그 순간에도 돌아 오지 않았습니다. 죽어야 산다는 말은 심판을 수용해야 산다는 뜻입니다. 공격은 시작했지만 하나님은 마지막 순간까지 경고의 말씀을 주십니다. 새롭지도 않고 특별하지도 않은 말씀입니다. 하나님께서 예루살렘을 바벨론 왕의 손에 붙이실 것이고 왕은 바벨론으로 사로잡혀 가서 바벨론 왕 앞에 설 것입니다.
In reality, there is no way to close your eyes until the end, but Israel did not return even when the warning began to become a reality. To live by dying means to live by accepting a judge. The attack began, but God gave a warning until the last minute. These are words that are neither new nor special. God will attach Jerusalem to the hands of King Babelon, and the king will be taken to Babelon and will stand in front of King Babelon
-
그러니 항전을 멈춰야 합니다. 심판받아 마땅한 죄인임을 인정하고 심판을 수용하라는 뜻입니다. 우리도 죽어야 삽니다. 십자가를 수용해야 용서 받을 수 있고 생명을 누릴 수 있습니다. 내 악행에 눈감으면서도 은총을 누릴 수 있는 길은 없습니다. 예루살렘의 멸망은 피할 수 없지만 시드기야가 비참한 죽음을 피할 수 있는 길은 내주십니다. 하나님이 돕겠다고 나서시면, 온 세상이 달려들어도 칼 한번 휘두르지 않고도 안전할 수 있지만 심판하시겠다고 결심하셨다면 살길이 없습니다.
So we have to stop the struggle. It means to admit that you are a sinner who deserves to be judged and accept the judgment. We also have to die to live. We can be forgiven and enjoy life only when we accept the cross. There is no way to enjoy grace while turning a blind eye to my evil deeds.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is inevitable, but it gives Sidghia a way to avoid a miserable death. If God comes forward to help, the whole world can be safe without wielding a knife, but if you decide to judge, there is no way to live.
-
항복해야 평안히 죽고 왕의 존귀함을 보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드기야는 끝내 이 마지막 은총을 거절하며 자기 눈앞에서 아들들이 죽는 것을 본 후 눈이 뽑혀 바벨론으로 끌려가 죽고 맙니다.(39:4-7,52:7-11)믿음과 자기신념을 구분하지 못한 맹신과 자기기만이 가져다준 비참한 결말입니다. 경고대로 바벨론이 쌓아올린 흉 벽이 완성되고 예루살렘을 향한 공격이 시작되었습니다. 예루살렘 외에 이제 남은 성은 애급의 도움을 기대하며 항전하고 있는애급 접경 두 성 아세가와 라기스 뿐입니다.
Only when he surrenders can he die peacefully and preserve the king's dignity. Sidgiah, however, refuses this last grace and sees his sons die before his eyes, then is pulled out and taken to Babelon to die (39:4-7,52:7-11). It is a miserable end brought by blind faith and self-deception, unable to distinguish between faith and self-belief. As warned, the wall built by Babelon was completed, and the attack on Jerusalem began. Other than Jerusalem, there are only two other provinces, Ashega and Ragis, near the border, who are fighting for help from mourning.
-
하나님의 성전이 있는 예루살렘에서 절대 일어날 리 없을 것이라고 굳게 믿었던 일이 눈앞에서 벌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선지자를 가두고 그 입을 막을 수는 있었어도, 하나님의 말씀과 의지만 묶을 수 없습니다. 바벨론 뿐 아니라 그 통치 아래 있는 땅의 모든 나라의 백성들까지 예루살렘을 포위하였습니다. 하나님께서 온 세상을 다 동원하여 이스라엘의 숨통을 조이신 것입니다. 자기 백성을 향한 하나님의 열심은 어떤 모습인가? 나는 믿기지 않아서가 아니라 믿고 싶지 않아서 고집 피우며 불순종을 정당화하고 있지 않은가?
What I firmly believed would never happen in Jerusalem, where the temple of God is located, began to happen before my eyes. Even if you could have locked up and blocked the prophet, you cannot tie the word and will of God alone. Not only Babelon but also the people of all countries on the land under his rule surrounded Jerusalem. God mobilized the whole world to hold the breath of Israel. What is God's passion for his people? Am I not just because I don't want to believe it, but because I don't want to believe it?
-
신탁의 시대적 배경(1)
여호와의 전달 명령(2a)
전달할 신탁(2b-5)
a.첫 번째 신탁:2b-3
b.두 번째 신탁:4-5
예레미야의 명령(6)
신탁의 시대적 배경(7)
-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과(a)
그의 모든 군대와(1b)
그의 통치하에 있는(1c)
땅의 모든 나라와(1d)
모든 백성이(1e)
예루살렘과 그 모든 성읍을 칠 때에(1f)
말씀이 여호와께로부터(1g)
예레미야에게 임하여 이르시되(1h)
-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2a)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2b)
너는 가서(2c)
유다의 시드기야 왕에게(2d)
아뢰어 이르기를(2e)
여호와의 말씀에 보라(2f)
내가 이 성을(2g)
바벨론 왕의 손에 넘기리니(2h)
그가 이 성을 불사를 것이라(2i)
-
네가 그의 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3a)
반드시 사로잡혀 그의 손에 넘겨져서(3b)
네 눈은 바벨론 왕의 눈을 볼 것이며(3c)
그의 입은(3d)
네 입을 마주 대하여 말할 것이요(3e)
너는 바벨론으로 가리라(3f)
-
그러나 유다의 시드기야 왕이여(4a)
여호와의 말씀을 들으라(4b)
여호와께서 네게 대하여(4c)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4d)
네가 칼에 죽지 아니하고(4e)
-
평안히 죽을 것이며(5a)
사람이 너보다 먼저 있은(5b)
네 조상들(5c)
곧 선왕들에게 분향하던 것 같이(5d)
네게 분향하며(5e)
너를 위하여 애통하기를(5f)
슬프다 주여 하리니(5g)
이는 내가 말하였음이라(5h)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하시니라(5i)
-
선지자 예레미야가(6a)
이 모든 말씀을(6b)
예루살렘에서(6c)
유다의 시드기야 왕에게 아뢰니라(6d)
-
그 때에 바벨론의 왕의 군대가(7a)
예루살렘과(7b)
유다의 남은 모든 성읍들을 쳤으니(7c)
곧 라기스와 아세가라(7d)
유다의 견고한 성읍 중에(7e)
이것들만 남았음이더라(7f)
-
심판을 수용하라_ Accept the referee_
심판이 은총이다_ The referee is a blessing_
심판은 자기기만의 결과다_ The referee is the result of his own self-deception_
-
심판은 죄인에 대한 창조주의 평가이자 언약 관계를 깬자에 대한 주님의 심실한 응답이나이다. 하나님을 기만한 자업자득으로 포로가 되었지만 결과적으로 심판을 수용한 자에게 은총을 베푸시니 감사하나이다. 더 이상 고집피우며 불순종을 정당화하지 않게 하옵소서. 예수를 통해 들어난 은혜의 열심을 기억하고 주님께 돌아가 삶을 맞추는 겸손과 감사를 놓치지 않게 하소서.
Judgment is a creative evaluation of sinners and a sincere response of the Lord to those who broke the covenant relationship. I am grateful to have grace for those who were taken prisoner for deceiving God, but who accepted the judgment as a result. May you no longer insist and justify your disobedience. Remember the earnestness of the grace entered through Jesus and do not miss the humility and appreciation of returning to the Lord to live.
2024.7.19.fri.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