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지리원 지형도보기에서 경위도 알아내기...
긴 설명은 안하겠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금방 아실수 있습니다.
여기서 모든 좌표값은 Tokyo Datum 입니다.
(필요에 따라서 WGS84로 변경하셔서 쓰시면 되고, Ozi경우 캘리브레이션을
그냥 Tokyo 하시고 보기는 WGS84로 하시면 편함, 그리고 저장시 plt나 wpt는 저절로WGS84로 저장됨.
물론 map 파일은 tokyo로 저장됨. 이해가 되실런지???. 그러나 저는 캘리브레이션도 WGS84로 함)
먼저
인터넷에서 국립지리원 접속 --> 지형도보기클릭-->오른쪽 25000레이어 앞에 갈매기하고
원하시는 곳을 확대하시다가 -->밑의 정보보기클릭하고(커서가 바뀜)--> 원하는지역에
마우스 클릭하면 도엽번호와 도엽명이 나옴.
(여기서 도엽번호는 수치지도의 것입니다. 종이지도는 도엽번호가 다름)
(참조) scale 25000:1지도는 경위도(폭과 너비)가 각각 7분30초입니다.
--> 즉 2분30초 단위 9개로구성되어 있음
그 다음은.... 아래그림참조

첫댓글 GPS, 지도 공부하다가 여기저기서 얻은지식들이 좀 있는데 문제는 워낙 글재주가 없어서 죄송합니다. 그리고 wintopo(onetouch vexterization)를 이용한 지도 만들기는 지금 wawoo님이 열심히 매뉴얼을 만들고 계십니다. 조금만 기다리시면....됩니다....
^^ 대단하시네요 저두 wintopo잠깐 사용하다 그만두었는데 끝까지 접근하시는군요 .....웨이포이트와 루트를 이용해서 다니는걸루 만족하려고 했는데^^ 화이팅!!
아나곤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1/5,000도가 1분30초 단위로 나눠져 있으니 1/25,000는 5배이니.... 1.5 x 5 = 7.5 즉 양 경계의 거리는 7분 30초가 차이가 납니다. 저는 주로 1/5,000 지형도를 이용하기 때문에 1.5 배수가 편하네요 ^^;;
1/5,000 지도의 도엽번호 매기는건 이와 같은 원리인데.... 제가 정리해 볼까요? 머리가 나빠서 한참 산수를 해야할듯 하네요 ^^;;
감사합니다...조금씩 이해가 되기 시작합니다.......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난 왜 이렇게 이해가 안되나요, 아직 노력이 부족한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