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리핀에서는 시골의 시장부터 마닐라 같은 대도시의 쇼핑몰까지 어디서든 쉽게 총포상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 군대에 가면 우스갯소리로 PX 가서 총기를 판다는 말이 있는데,
필리핀은 농담이 아니고 진짜로 상점에서 총기를 판다.
원칙적으로는 경찰청장의 허가가 있어야 총기 소지가 가능하지만
실제 총포 상점에서 돈만 낸다면 초딩도 총기를 구입할 수 있을 만큼 만연해있다.
또한 부패가 심한 필리핀의 군대와 경찰에서도 배급된 총기를 빼돌려 몰래 판매하며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총포상에서 취급하는 무기들은 그 범위가 제한적이지만
군과 경찰에서 빼돌리는 총기들은 권총, 소총, 기관총, 심지어 수류탄까지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이렇게 불법적인 총기 유통은 필리핀 내의 총기 규제 법을 유명무실하게 만들고 있으며,
강도, 살인과 같은 강력 범죄에서부터 테러, 내전까지 다양하게 쓰인다.
또, 누구나 돈만 있으면 사적인 군대 조직을 만들 수도 있다.
관광객에게는 알려주지 않는 불편한 진실
필리핀을 소개하는 방송 매체, 필리핀 여행안내 사이트, 심지어 가이드 책자까지
필리핀의 치안 불안, 사건 사고에 대해서 원한관계나 본인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로 덮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현실은 절대 안전한 나라가 아니다.
한 달에 만 명 이상이 총상으로 죽거나 다치는 나라이며,
필리핀 현지인들조차 접근하지 않는 위험한 지역이 많으며,
정치인, 기업인들은 개인 경호원들과 중화기로 무장하고 다니지만,
뉴스에서는 살해 기사가 거의 매일 등장하고, 정부군과 반군의 내전소식도 단골 뉴스이다.
또한, 살인 청부업자들이 공공연하게 영업을 하고 있고,
부정부패한 경찰과 결탁하여,
외국인 등에게 "셋업 사건(경찰과 짜고 함정에 빠뜨려 돈을 뜯는 수법)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특히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살인 및 납치 사건이 작년에만 10건 이상 발생하였고,
매년 필리핀에서 실종된 한국인도 상당수다.
이처럼 강력사건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필리핀 경찰의 안일한 대응으로 검거율은 상당히 낮다.
왜냐하면, 출생신고도 하지 않은 사람들이 상당수이며
범죄를 일으켜도 산속이나 섬으로 숨어버리면 찾을 방법이 없다.
국가 예산 부족으로 경찰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도 이유이다.
필리핀 몇 번 경험해 봤다고 안전하다고 표현하는 사람들을 자주 보는데...
그것은 운이 좋아서이고, 아직 위험을 제대로 경험해보지 못해서일 것이다.
안전 불감증..
현지에 살고 있는 교민들도 조심해야 할때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몇번 방문했던 여행객 입장에서 모든것을 다 아는것처럼 미련한 행동은 금물 입니다.
타국이기에 개개인의 안전에 신경써야 하며 여행객 준수 사항을 탐독하는것이 좋습니다..
필리핀 총기허가 관련 법령 강화
필리핀 대통령궁은 1일 아키노 대통령이 5월 29일에 공화국 법 10591호(종합 총기 단속법)에 서명했다고 발표했다.
향후 전국 신문에 공시되고 나서 15일 후에 발효 한다.
동법에 따르면, 총기 소유 허가를 취득할 수 있는 21세 이상의 필리핀에서 소득과 취업 증명서, 무 범죄 증명서의 제출이 의무화 되는 것 외에 약물 검사 결과서와 총기를 소유하는 이유서 제출도 의무화 된다.
또한 총기 휴대 허가 신청 자격도 강화되고 법조관계자와 미디어, 은행원과 신부, 사업가 등의 직종을 지정한 다음,
한층 더 실제로 직무상의 이유 등으로 호신용으로 총기를 소지해야 한다. 개인 이유서 제출도 의무화 했다.
그리고 총기 소유 허가의 유효 기간을 2년으로 하고 2년마다 갱신을 의무화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