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127계 편성DB 보러가기
- E127계 0번대 V편성(2량편성 총 4량, 니가타차량센터 소속)
- E127계 100번대 A편성(2량편성 총 24량, 마츠모토차량센터 소속)
- 에치고도키메키철도 ET127계 V편성(2량편성 총 20량, 에치고도키메키철도 나오에츠운수구 소속)
1. 신슈지역의 신세대 지방 근교형 차량 등장
1990년 초반 신슈 및 니가타 지역에 운용되고 있는 차량중에 165계나 169계같은 급행형 차량이 보통열차로 운용되고 있었다. 이들은 도입된지 20년이 넘어 노후화가 상당히 진행되었으며 2도어에 데크가 있는 급행형 차량으로는 통근 중심으로 운용되는 보통열차에 쉽게 대응할 수 없어 잦은 지연의 원인이 되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급행형 차량의 대체를 목적으로 한 직류방식의 지방 근교형 차량인 E127계를 도입하게 되었다.
2. 지방 통근노선에 알맞는 성능
흔히 E127계를 209계의 지방 근교형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꽤 있을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먼저 투입된 701계의 직류버전이라고 생각하는것이 옳다. 701계의 성능을 완벽하게 이어받아 120kW급의 교류유도전동기와 VVVF-GTO방식의 제어기기를 그대로 이어받았으며 운행밀도가 높지 않은 로컬선에서 효율적인 제동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회생/발전제동 병용기능(브레이크 쵸퍼) 등 여러가지 부분을 701계에서 따왔다.(심지어는 발전제동용 저항기도 지붕에 그대로 달려있다!) 기본적으로 1M1T의 2량편성으로 운용되며 필요시 증결을 위해 전공일체 자동병결장치가 갖춰져 있으며 운전기기에는 MON같은 별도 운전사 지원 장치는 갖춰져 있지 않으나 원핸들 마스콘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 원맨용 요금표시기는 기본~

- 운전기기는 701계와 거의 동일하지만 원핸들 마스콘을 사용하고 있다.
3. 니가타 근교권 수송의 첨병 0번대.
E127계는 1995년 5월에 니가타지구를 시작으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본래는 3월에 투입되기로 했으나 제작사인 카와사키중공업이 한신대지진을 맞아 다소 지연되어 도입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FRP로 둥글게 되어있는 전면부에 당시 운용되던 니가타지역의 115계와 색을 맞춘 녹색-연두색 띄를 둘렀으며 전체적인 차내 구성은 러시타임에 집중하기 위해 롱시트로 되어있으며 화장실도 갖춰져 있다. 롱시트라는 특성상 장거리 운용보다는 니가타 근교권에서만 운용되며 아침 시간대 나가오카 방면 열차로 집중 운용될 정도로 강력한 수송력을 최 강점으로 삼고 있다. 총 13개 편성 26량이 도입되었으며 이중 1개 편성이 2008년 건널목 사고로 인한 화재로 전소되어 총 12개 편성이 남아있었는데 이 중 2개 편성을 남긴 10개 편성이 2015년 3월 호쿠리쿠신간선 개통과 함께 신에츠본선 일부구간의 3섹터 전환으로 생긴 에치고도키메키 철도에게 양도되어 ET127계로 운용되고 있다. 남은 두개편성은 야히코선에서 집중 운용되고 있다.

- E127계 0번대의 모습. 어떻게 보면 나중에 등장한 100번대보다 현대적인 디자인 같은 느낌.

- 실내는 이렇게 롱시트로 되어있다. 니가타시 주변도 출퇴근 시간엔 꽤 혼잡하기 때문에 통근 중심의 배치가 되어있다.

- 팬터그래프는 전형적인 하부교차프레임을 사용하고 있다.

- 출입문 버튼의 모습. "도어" 램프가 점등되어있으면 눌러서 열고 들어가면 된다

- 신생 회사인 에치고도키메키 철도에 양도된 ET127계. 그냥 이렇게 그 도색 그대로 회사 엠블렘만 바꿔서 운용하기도 하고.

- 이렇게 살짝 도색을 바꿔 운용하기도 한다. 이 도색은 니혼카이히스이라인의 바다색과 비교되는 묘코하네우마라인의 산악지역을 상징한다.
4. 마츠모토 지역의 100번대
한편 마츠모토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시노노이선, 오오이토선 지역의 보통열차 운용을 위해 1998년에 100번대가 도입되었다. 701계와 동일한 선두형상에 측면 창문은 2단 상승식으로 변경되었으며 싱글암 팬터그래프로 변경되었다. 급구배에 대응하기 위해 살사장치도 갖추었으며 니가타보다도 수송밀도가 낮은 구간에서 운행되는 탓에 세미크로스시트, 장애인 대응 화장실 등의 개량이 가해졌다. 흥미로운것은 그동안 1인승무용 요금함을 버스용으로 사용되던것을 개조한것을 사용해왔으나 이번에는 철도차량 전용으로 제작된 것(파랑색 지폐교환기와 빨강색 요금투입구가 달린 그것)이 채용되었다는 것이다.
이곳에서 함께 운용되는 115계나 169계 등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신 신슈색 도색을 한 100번대는 모두 12개 편성 총 24량이 도입되어 운용되고 있으며 최근 전차선의 눈이나 서리를 치우기 위한 용도로 팬터그래프가 추가되는 등의 개조가 가해졌다고 한다.

- 일본의 3대차창 시노노이선 오바스테역의 고갯길을 올라오는 E127계 전동차.

- 오오이토선의 역사적 차량이었던 키하52형과 나란히 서있는 E127계 100번대. 지붕을 보면 앞쪽 차량에 긴 박스가 바로 발전제동용 저항기, 뒤에있는것이 에어컨 박스이다.

- 교행 대기중인 E127계 100번대.

- 실내는 세미 크로스시트로 되어있어서 장거리 여행에도 불편이 없다.

- 1인승무 기기는 일부 갱신되어 LCD 모니터식 운임표시기가 설치되어있다.
- 글 : 송승학(부운영자, 787-ARIAKE)
- 사진 : 김성수, CASSIOPEIA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