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놀란 기러기
정약용
동작나루 서편에 갈고리달 떠 있는데
놀란 기러기 한 쌍 모래톱 위를 날아가네
오늘 밤 눈 덮인 갈대숲에 함께 지내다
날 밝으면 각각 머리 돌려 날아가겠지
驚雁-到果川作(경안-도과천작)
銅雀津西月似鉤(동작진서월사구) 一雙驚雁度沙洲(일쌍경안도사주)
今宵共宿蘆中雪(금소공숙노중설) 明日分飛各轉頭(명일분비각전두)
[어휘풀이]
-到果川作(도과천작) : 과천에 도착해서 지음, 놀란 기러기 한 쌍은 지은이 부부를 비유함.
-銅雀津(동작진) : 서울의 동자동에 있던 나루.
-月似鉤(월사구) : 갈고리달, 곧 초승달.
[역사이야기]
정약용(丁若鏞:1762~1836)은 조선 정조 때의 문신이자 시인이며 실학자로 호는 다산(茶山)이다. 다산(茶山)은 근기지방(根器地方) 남인 가문 출신으로 정조 때 주요 관직에 있었으나 청년기에 접한 서학(천주교)으로 인해 장기간 유배 생활을 하였다. 유배 기간 중 학문을 연마해 6경 4서에 대한 연구와 『경세유표(經世遺表)』, 『목민심서(牧民心書)』, 『흠흠심서(欽欽新書)』 등 500여 권의 저술을 남기고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을 집대성했다.
정치, 경제, 사회, 역사 현상 전반에 걸쳐 전개된 그의 사상은 조선왕조의 기존 질서를 전적으로 부정하는 혁명론이기보다는 파탄에 이른 당시의 사회를 개량하여 조선왕조 질서를 새롭게 강화기키려는 뜻을 가졌다. 18세기 후반 조선의 지식인들은 당쟁의 과정에서 오랫동안 정치 참여로부터 소외된 근기(近畿) 지방의 남인들을 중심으로 하여 기존의 통치 방식에 회의를 갖게 되었다. 그리하여 당시 정권을 장악하고 있던 노론 등이 중시한 성리설과는 달리 선징유학에 기초한 새로운 개혁이론을 일찍부터 발전시킬 수 있었다.
대략 그의 생애를 살펴보면 출생 이후 과거 준비를 하던 22세까지 부친 정재원(丁載遠)의 임지인 전남 화순, 경상도 예천, 진주를 따라 다니며 부친으러ㅗ부터 경사를 배우며 과거시험을 준비하였으며, 서울에 살 때 문학으로 이름을 날린 이가환(李家煥)과 매부 이승훈(李承薰)을 통해 근기학파의 중심인물인 이익(李瀷)의 학문을 접하게 된다.
1783년 진사시험에 합격한 뒤 1801년 발생한 신유박해로 체포되기까지 이후 10여 년간 정조의 특별한 총애 속에 여러 관직에 종사하였으며 1793년에는 수원성을 설계했다. 이 무렵에 이벽(李檗), 이승훈(李承薰) 등과 접촉하여 천주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당시 교회 내에서 뚜렷한 활동은 하지 않았으나 이로 인해 자긴의 정치적 진로에 커다란 장애로 작용하게 된다. 1791년 천주교 신앙과 관련된 혐의로 여러 차례 시달림을 당했으나 천주교와 무관함을 변호하였다. 그러나 정조 사후 1801년 순조가 즉위하면서 일어난 신유박해로 유배를 당하면서 중앙의 정계와 결별하게 된다. 다산은 먼저 유배지인 장기(長鬐 경북 포항)로 떠났으나 곧이어 발생한 ‘황사영 백서 사건’으러 다시 문초를 받고 전남 강진에서 유배 생활을 하게 되었다.
이곳에서 학문 연구에 매진하며 많은 문도를 거느리고 강학(講學)과 연구, 저술에 매달리어 실학의 학문을 완성시키게 된다. 1818년 57세 때 다산이 유배에서 풀려나 고향에 돌아와 1836년까지 500여 권의 저서를 제자들과 함께 정리하여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를 편찬했다. 다산은 유배 과정에서 불교와 접촉했고 유배에서 풀려난 후 서학에 접근했다. 다산은 선진 유학을 비롯하여 여러 사상에 대한 연구를 게을리하지 않았으며 그는 조선 후기 사회의 대표적 학자이며 시인이었다.
[참조]
정약용의 나이 마흔, 신유박해(1801년)로, 멀리 경상도 장기(長鬐) 지방으로 귀양길에 나설 때
아내는 아기를 안고 과천까지 따라와서 여관에서 함깨 하룻밤을 머물렀다고 한다.
출처 : 한시와 함께하는 우리나라 역사 『노을빛 치마에 쓴 시』
지은이 : 고승주. 펴낸 곳 : 도서출판 책과 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