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맞춤법 글은 전 중앙일보 과학기술부장과 전 한국과학기자 협회장을 역임한 신종오 과우회 회원이 과우회 카페에 올린 것을 옮긴 글입니다. |
외국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도 표기원칙이 있습니다.
바로 "외래어 표기법"이란 것입니다.
■ 기본 원칙
o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o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o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o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0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 표기 예시(한글 가나다 순)
o '→' 표시가 있는 말은 될 수 있으면 '→' 표시 뒤의 우리말로 바꾸어 써자.
(ㄱ) (ㄴ)
가십(gossip) 가톨릭(catholic) 개런티(guarantee) 갤러리(gallery) → 화랑, 갤런(gallon)
곤돌라(gondola, 이) 깁스(Gips, 도) 나프타(naphtha) 난센스(nonsense)
내레이션(narration)→해설, 이야기, 냅킨(napkin) 네트워크(network) 논픽션(nonfiction)
뉘앙스(nuance, 프)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l)
(ㄷ)
다이내믹(dynamic) → 역동적, 다이너마이트(dynamite) 다큐멘터리(documentary)
데뷔(debut, 프) 도넛((doughnut) 딜레마(dilemma)
(ㄹ)
라벨(label)/'레테르(letter, 네), 라이선스(license) 러닝 셔츠(running shirts)
레인보(×레인보우) 레커차(wrecker차)→견인차, 레코드(record)
레크리에이션(recreation) 레퍼토리(repetory) 렌터카(rent-a-car) 로열 젤리(royal jelly)
로열티(royalty) 류머티즘(rheumatism) 륙색(Rucksack, 도) 르포(←reportage, 프)
리더십(leadership) → 지도력, 리모컨(remote control) 링거(Ringer) 리플릿(leaflet)
(ㅁ)
마니아(mania) → 애호가, 마사지(massage) 마케팅(marketing) 매머드(mammoth)
머플러(muffler) 메리야스(medias, 스 / meias, 포) → 속옷, 메시지(message)
몽타주(montage, 프) 밀크셰이크(milk shake)
(ㅂ)
바리케이드(barricade) 바비큐(barbecue) 바통(baton, 프)= 배턴(baton), 배지(badge)
배터리(battery) 빈(×비엔나) 베테랑(veteran, 프) ) 보이콧(boycott) 불도그(bulldog)
부르주아(bourgeois, 프) 부츠(boots) 뷔페(buffet, 프) 브래지어(brassiere, 프)
브로슈어(brochure) 블라우스(blouse) 비스킷(biscuit) 비즈니스(business) 비전(×비젼)
(ㅅ)
산타클로스(Santa Claus) 새시(sash) 색소폰(saxophone) 샹들리에(chandelier, 프)
서커스(circus) ) 셔벗(sherbet) 슈퍼(←supermarket) 슈퍼마켓(supermarket),
스케줄(schedule) → 일정, 스태미나(stamina) → 정력, 스태프(staff)
스탠더드(standard) → 표준, 스테인리스(stainless) 스펀지(sponge)
스티로폼(Styrofoam)/스티로폴(Styropor), 스폿 뉴스(spot news)
스프링클러(sprinkler) → 물뿌리개, 슬래브(slab) 심포지엄(symposium)
(ㅇ)
아이러니(irony) 알루미늄(aluminium) 알코올(alcohol) 앙케트(enquete, 프) 애드벌룬(ad-baloon)
어젠다(agenda) 애프터서비스(after + service) 앰뷸런스(ambulance) → 구급차, 에스컬레이터(escalator)
오르가슴(orgasme, 프) 옴부즈맨(ombudsman) 옵서버(observer) 왁친/백신(Vakzin, 독 / vaccine),
워크숍(workshop) 이슈(issue) → 쟁점, 잉글리시(×잉글리쉬)
(ㅈ) (ㅊ)
제스처(gesture) 주스(juice) (×쥬스), 지프(jeep) 초콜릿(chocolate)
(ㅋ)
카디건(cardigan) 카레(curry) 카바레(cabaret, 프) 카이자르(×시저) 카스텔라(castella, 포)
카페테리아(cafeteria) 카펫(carpet) 캐러멜(caramel) 캐럴(carol) 캐리커처(caricature) 캐비닛(cabinet)
커리큘럼(curriculum) 커튼(curtain) 커피 숍(coffee shop) → 찻집, 콘셉트(concept)컨소시엄(consortium)
컨설턴트(consultant) 컨테이너(container) 컨트롤(control) → 통제, 코냑(cognac, 프) 코미디(comedy)
콘서트(concert) 콘크리트(concrete) 콩트(conte, 프) 크레디트 카드(credit card)
크리스털(crystal) → 수정, 클랙슨(klaxon) → 경적
(ㅌ) (ㅍ)
타깃(target) → 목표, 과녁, 표적 테크놀러지(technology) → 기술,
텔레비전(television) 토마토(tomato)
트럼펫(trumpet) 팀워크(teamwork) 태스크포스(task force)
파일럿(pilot) → 조종사, 패스트푸드(fast food)
팸플릿(pamphlet) 페넌트(pennant) 펜치(pinchers) 포클레인(Poclain, 프) 퓨즈(fuse) 플라스틱(plastic)
플랑크톤(plankton) 플래카드(placard) 플랫폼(platform) 피날레(finale, 이) 피켓(picket) 피톤치드(phytoncide)
(ㅎ)
하이라이트(highlight) 해트 트릭(hat trick) 헬멧(helmet) 호치키스(Hotchkiss)
* 표기법도 간혹 바뀌는 경우가 있어 위 예시 가운데 틀린 것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concept도 한때는 컨셉트라고했는데 어느날 보니까 콘셉트로 바뀌었드군요.
추가
fighting’의 발음기호(국제음성기호)는 [fáitiŋ]입니다.
우리 어문규정에는 [p]나 [f]기호는 [ㅍ]으로 적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파이팅’이 맞고 ‘화이팅’은 틀린 표기입니다.
참고로 ‘파이팅’은 ‘운동 경기에서, 선수들끼리 잘 싸우자는 뜻으로 외치는 소리.
또는 응원하는 사람이 선수에게 잘 싸우라는 뜻으로 외치는 소리’로서 ‘힘내자’로 순화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