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인 천상병 //
천상병 시인은 스스로 자기를 우리나라에서 제일 유명한 시인이라고했습니다.
서정주니 하는 시인이 유명한 듯 하지만 자신은 버스 안내양도 알아줄 정도라는 것이지요.
사연은 이렇습니다.
종로5가에서 시인의 집이 있는 의정부까지 운행하는 113번 버스 안내양들은 천상병 시인을 모를 수가 없었습니다.
늘 술에 취해 대화 하기가 어렵고, 차비도 없는 시인을 어느 정류장에서 내려줘야 하는지를 입사 첫날부터 교육받게 돼 있었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그 정류장에 도착하여 안내양이 시인을 깨울 때, 중요한 원칙이 있습니다.
'아저씨'나, 외모에 걸맞는 '할아버지' 같은 호칭에 시인은 전혀 반응하지 않습니다.
'시인 아저씨'라고 불러야, 아니면 최소한 '시인 할아버지' 정도는 돼야 이분은 눈을 뜨고 안내양의 부축을 받으며 보무도 당당하게 하차를 승인하곤 하셨습니다.
종점까지 갔다가 돌아오거나 한 바퀴 더 돌아서 종로5가 기독교방송국 앞에서 시인이 소피보는 걸 기다리느니 정중히 모시는 게 문화대국의 국익차원에서 바람직하다고 버스 회사는 판단한 것이지요.
어쨌든 버스 안내양도 알아주는 시인 천상병은 버스 안내양들이 잘 모르기도 하는 서정주 정도의 시인을 안주삼아 막걸리를 마시곤
했습니다.
키가 작고 몸이 작은만큼 막걸리가 많이 필요하지도 않았습니다.
천상병 시인은 생전에 지인들에게 세금(?)으로 500원에서 1,000원을 받아냈습니다.
80년대 이후로는 그게 1,000원~2,000원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징수(?)의 기준이 특이 했습니다.
꼭 지인한테만 받았고 지인이 아닌 사람한테는 돈을 절대 받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어른이라 생각하면 1,000원, 어른이 아니라 생각하면 500원씩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 기준도 나이같은 게 아니라 결혼을 기준으로 했다고 했습니다.
주변 사람들은 천상병이 스스로 어지간히 친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아니면 돈을 걷지 않는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기에 돈을
주면서도 기분이 나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에게 현금지급기나 마찬가지인 바둑의 김인 국수가 어느 날 천원을 못 주겠다고 했습니다.
자신은 대한민국 바둑의 최고봉, 국수인만큼 오늘부터 천원이 아니고, 이천원으로 올리면 주겠다고 으름짱을 놨습니다.
천상병이 김인을 한참 노려보다가 하는 말이
“어이, 김 인이, 까불지 마라. 넌 아직 천원짜리 밖에 안돼!”
둘은 호쾌하게 까르르 웃었답니다.
그는 자신이 구차하게 돈을 구걸하는 게 아니라, 형편을 봐줘서 받아 주는 것이고 그만큼 호의를 베푸는 것이라고 편하게 생각했던 것이었지요.
이렇게 천상병이 걷어간 돈은 대부분 술값으로 소모되었다고 합니다.
평소 친하게 지낸 김동길 교수는 매일 술을 마시니까 이왕이면 좋은 술을 마시라고 비싼 조니 워커 위스키 한 병을 선물했는데, 다음에 만났더니
"교수님이 주신 그 비싼 양주에는 입도 대보지 못했다. 아내가 비싼 술이니까 팔아서 막걸리나 사서 마시라고 해서 팔아서 막걸리를 마셨다." 라고 천진난만하게 말했습니다.
당시 '귀천'에 자주 다니던 사람이 천상병 시인에게 빌린 돈을 언제 갚을 거냐고 묻자 천상병 시인이 이렇게 답했다고 합니다.
"허허, 내가 죽으면 천국과 지옥의 갈림길에서 포장마차를 하고 있을 테니 오거든 갚을 만큼의
공짜술을 주겠네."
이 이야기는 일본인이 쓴 '세계 유명인의 명대사' 란 책자에 나온 적도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중퇴, 그는 천재였습니다.
'서양문학사' 정도는 책 한 권을 다 외웠습니다.
그는 천재였고 부인이었던 목순옥씨도 천사였습니다.
하늘나라에서 둘은 너무 행복할 것 같습니다.
나이 먹어가니 '귀천' 같은 시가 좋다.
귀 천 / 천상병 시인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새벽빛 와 닿으면 스러지는
이슬 더불어 손에 손을 잡고,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노을빛 함께 단둘이서
기슭에서 놀다가 구름손짓 하면은,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가서, 아름다웠다고 말하리라
(받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