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보드에 있는 자판 배열순서는, 나름대로 고도의 연구를 통해 가장 적합한 상태로 배열되어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물론 이 얘기는 한글의 경우에 그렇다는 말씀입니다. 영문의 경우에는 오히려 더 불합리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요즘 우리가 가장 많이 쓰고 있는 키보드 배열방식을 '쿼티'자판이라고 하는데요, QWERTY라는 스펠링을 갖는 단어를 쓰구요, 무슨 뜻이냐구요? 여러분들의 키보드를 한번 슬쩍보세요. 맨 윗줄에 F1부터 F12까지 기능키의 배열이 있구, 그 다음줄엔 숫자들이, 세 번째 줄에 비로소 영문자 배열이 있는데, 그 줄을 보면 그 배열이 Q, W, E, R, T, Y 순서로 되어있지요? 그래서 붙은 이름입니다.
우리가 보통 생각할 때, 미국사람들은 매우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키보드 자판배열을 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구나'하는 것을 느끼실거예요. 여긴엔 한가지 에피소드가 있는데요. 원래 키보드의 자판배열은 옛날부터 사용되던 수동타자기의 배열과 꼭 같거든요. 기억이 나실는지 모르지만, 수동타자기의 원리는 키를 누르면 그에 해당하는 활자가 움직여서, 리본을 때려주고 원래의 자리로 되돌아가는 구조로 되어 있쟎아요? 그런데, 아주 능숙하게 타자를 치는 사람이 굉장히 빠르게 자판을 두드리면, 먼처 쳤던 글자의 활자가 미처 되돌아오기도 전에 다음 활자가 도착해서, 몇 개의 활자들이 서로 엉켜 꼼짝달싹 할 수 없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곤 했다는 거예요. 그래 생각 끝에,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들을 오히려 손가락이 닿기 어려운 쪽에 뒤죽박죽 섞어 놓아서, 타자를 빨리칠 수 없도록 개악(改惡)했다는 겁니다.
근데, 그게 이젠 습관이 돼서 활자의 움직임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컴퓨터 자판배열에 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는 말씀입니다.
첫댓글 아...그런뜻이 있었네여..잘읽었습니다.^^
원본 게시글에 꼬리말 인사를 남깁니다.
오호... 그런 깊은 뜻이 있었구나.. 확실히 하글도 3벌식이 빠르다던데 - -;; 적응이....
ㅎㅎ 저도 영타가 느리다는.....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