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레 약은 하루 세 번, 식후 30분에 먹어야 하는 것으로 아는 사람이 많다. 약국에서 약을 지을 때 약사한테서 흔히 듣는 얘기이기 때문이다. 과연 그럴까? 꼭 그렇지는 않다. 우리 몸속에 들어오는 다른 물질과 마찬가지로 약도 4단계의 과정을 거친다. 즉, 흡수와 분포, 대사, 배설의 절차를 밟아서 자신의 생명을 마친다. 약을 삼키면 우리 몸은 재빨리 녹여서 흡수하고 필요한 곳에 나눠준다.
그러고서 약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대사작용을 거치고 약이 제 역할을 마치면 몸 밖으로 빼낸다. 이 각각의 과정이 진행되는 시간은 약마다 제각각이다. 그래서 어떤 약은 하루에 세 번 먹어야 하고, 어떤 약은 하루에 한 번만 먹으면 된다. 우리 몸에서 효과가 지속하는 시간이 다르기에 약마다 복용법이 다르다는 말이다.
또 약의 종류에 따라서 반드시 식전에 먹어야 하는 게 있는가 하면, 식사와 관계없이 먹어도 되는 약도 있다. 음식물과의 상호작용 탓이다. 환자 개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달리 복용해야 하는 때도 있다.
그럼 대부분 약에서 가장 좋은 복용법은 무엇일까? 치료에 필요한 약물의 약효와 농도를 지속시키기 위해 시간을 고르게 나눠서 약을 먹는 것이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하루가 24시간이니 하루를 3등분해서 8시간마다 먹는 것이다. 하지만, 일부러 자는 시간에 일어나 먹을 순 없는 노릇이다. 따라서 깨어 있는 활동시간을 3등분해서 5~6시간 간격으로 약을 먹는 게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루 두 번 먹는 약이면 아침 9시, 저녁 9시에 먹거나 10시간마다 먹으면 된다.
약 중에는 음식물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게 있다. 이런 약은 식후에 먹어야 한다. 무좀약 중에서 이트라코나졸 제제(스포라녹스 캡슐 등)가 대표적이다. 이 약은 꼭 밥을 먹고서 바로 복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약이 독해서가 아니다. 이 약 자체가 지용성 음식과 같이 먹거나 위산이 많을 때 흡수가 잘 되기 때문이다. 당뇨약인 메트포민 제제(다이아벡스정)도 마찬가지다. 이 약은 금속성 맛이 나고 위장장애 부작용이 있다. 그래서 식후 곧바로 먹는 게 좋다.
거꾸로 밥을 먹기 전에 먹어야 하는 약도 있다. 당뇨약 중에서 설포닐우레아 계통 약(아마릴 등)이 그런 경우다. 이 약은 밥 먹기 전에 먹어야 식후에 혈당이 올라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쓰이는 씬지로이드도 식후에 먹으면 음식물이 약물 흡수를 방해하기에 반드시 식전에 먹어야 한다.
밤에 먹어야 좋은 약도 있다. 콜레스테롤 저하제 중 심바스타틴이 그렇다. 밤에 콜레스테롤이 많이 합성되는 만큼 이 약은 밤에 먹는 게 훨씬 효과적이다. 칼슘 역시 밤에 합성되기에 칼슘제도 밤에 먹는 게 좋다.
약을 먹을 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반드시 물하고만 먹고, 한 컵 이상의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이다. 특히 카페인이 든 녹차나 커피, 콜라와 함께 약을 복용하는 일은 삼가야 한다. 많은 약물에는 졸음을 쫓거나 각성작용, 피로 방지 등의 목적으로, 정상인의 몸에 크게 해를 끼치지 않을 정도로 최소한의 카페인이 들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상황에서 카페인 음료와 함께 약을 먹으면 카페인 과잉으로 불면증, 과민증, 불안감, 흥분성, 이명, 근육경련, 두통, 현기증 등 카페인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그렇게 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도 있다. 장에서 녹는 약을 빼고는 일반적으로 대부분 약은 위에서 녹아 흡수된다. 그런데 물 대신 콜라나 주스, 심지어 커피와 함께 약을 먹으면 위의 산도가 달라져 약의 흡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약은 물하고만 복용하는 게 좋다. 물은 단지 약을 삼키지 위한 도구가 아니다. 우리 몸 안에서 약을 잘 분해해서 흡수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조력자이다. 약과 함께 물을 마실 때는 충분한 양의 물을 마셔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약이 제대로 위까지 가지 못하고 식도에 걸쳐서 자극을 주고, 그러면 염증이 쉽게 생겨 식도염으로 속이 불편해질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한다. 충분한 양의 물을 마실 때 약은 가장 효과를 발휘한다.
(참고도서 : '약 사용설명서'(김정환 지음. 지식채널刊), '식후 30분에 읽으세요'(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지음, 이매진刊)) 글 / 연합뉴스 기자 서한기
|
출처: 국민건강보험 블로그「건강천사」 원문보기 글쓴이: 건강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