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 생극을 아시면 더 빠른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질문상의 직업과 계절을 함께 살피세요.
궐에는 한증과 열증이 있다[厥有寒熱]
왕태복(王太僕)은 “궐(厥)이란 기가 위로 거슬러올라가는 것이다”고 하였다. 이것이 후에 각기(脚氣)라고 잘못 전해졌다.
『내경』에 “한궐(寒厥)이란 손발이 찬 것이고 열궐(熱厥)이란 손발이 다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대체로 아랫도리의 양기가 쇠약해지면 한궐이 되고 아랫도리의 음기가 쇠약해지면 열궐이 되는데 이것은 음기와 양기가 서로 접촉되지 못하여 생기는 궐이다[강목].
○ 궐증(厥證)이란 이기지 못하던 것이 도리어 이기는 것과 같은 것이다. 예를 들면 신(腎)에 있던 한사가 비(脾)로 전해가면 한궐이 되고 심(心)에 있던 열이 신으로 전해가면 열궐이 된다[입문].
○ 궐론(厥論)에 “한궐이나 열궐은 다 신(腎)의 정기가 고갈되어 생기는 것이다”
한궐(寒厥)
한궐로 싸늘해질 때에는 반드시 다섯발가락에서부터 시작하여 무릎까지 올라가면서 싸늘해지는데 이것은 음기(陰氣)는 다섯발가락 속에서 시작하여 무릎 아래에 모였다가 무릎 위에서 뭉친다. 그러므로 음기가 성하면 다섯발가락에서부터 무릎 위까지 싸늘해진다. 이것은 밖에서 찬 기운이 들어와서 생긴 것이 아니라 모두 속에서 생긴 것이다[내경].
○ 한궐은 전음(前陰)은 종근(宗筋)이 모인 곳이며 족태음[太陰]과 족양명[陽明]이 합쳐진 곳이다. 봄과 여름에는 양기(陽氣)가 많고 음기(陰氣)는 적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음기가 성하고 양기는 쇠약해지는데 한궐이 있는 사람이 가을과 겨울에 성생활을 하면 기운이 빠지고 아래에 있던 기가 올라왔다가 내려가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정기가 넘쳐나면서 사기(邪氣)도 따라 올라오게 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속에 찬 기운이 있어서 양기가 쇠약해져 경맥을 축여 주거나 영양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되면 양기는 날로 쇠약해지고 음기만 홀로 남아 있게 된다. 때문에 손발이 싸늘해진다[내경].
○ 『내경』에 “신(腎)이 허약해지면 한궐이 생기고 기분이 좋지 않다”고 씌어 있다. 또한 “아랫도리가 허약하면 궐(厥)이 생긴다”고 씌어 있다.
○ 한궐 때에 맥이 침삭(沈數)하고 실(實)한 것은 열이 있는 것이다. 동원(東垣)이 다리와 무릎, 엉덩이가 다 차고 맥이 침삭하면서 힘이 있는 어떤 환자에게 자신환(滋腎丸, 처방은 오줌문[小便門]에 있다)을 두번 먹여서 치료하였는데 나았다. 또 어떤 환자가 윗도리는 덥고 아랫도리가 차다고 하기에 기제해독탕을 써주었는데 잘 나았다. 한궐에 약을 쓸 때에는 반드시 주의하여야 한다[강목].
○ 한궐에는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처방은 허로문(虛勞門)에 있다)에 부자를 더 넣어 쓰거나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을 쓴다[입문].

열궐(熱厥)
열궐로 달아 오를 때에는 반드시 발에서부터 시작되는데 이것은 양기(陽氣)는 다섯발가락 겉에서부터 시작되고 음맥(陰脈)은 발바닥에 모였다가 발바닥 가운데 몰린다. 그러므로 양기가 성하면 발바닥이 단다[내경].
○ 열궐은 위(胃)에 술이 들어가면 낙맥(絡脈)이 가득 차고 경맥(經脈)이 허해진다. 비는 주로 진액을 위(胃)로 돌게 한다. 그러나 음기가 허하면 위로 양기가 들어가게 된다. 그러면 위가 조화되지 못하고 위가 조화되지 못하면 정기가 고갈되는데 정기(精氣)가 고갈되면 팔다리를 영양하지 못하게 된다. 이것은 반드시 자주 술에 취하거나 배불리 먹은 다음 성생활을 하여 비에 기가 몰려서 흩어지지 못하고 또 술 기운과 음식의 기운이 서로 부딪쳐서 속에 열이 성해졌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그리고 그 열이 몸에 퍼지기 때문에 속이 달아 오르고 오줌도 벌겋게 된다. 대체로 술 기운은 몹시 세고 빠르기 때문에 신기(腎氣)를 날로 쇠약해지게 한다. 그러면 양기만 혼자 성하게 된다. 때문에 손발이 단다[내경].
○ 열궐에는 승양산화탕이나 화울탕(火鬱湯, 처방은 다 화문(火門)에 있다)을 쓴다.
첫댓글 궁금증이 풀이는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