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병영순교성지.
동래에 있는 수영 장대와 마찬가지로 울산시 중구 남외동에 위치한 울산장대벌은
천주교인들이 무참하게 처형된 순교 터이다. 병인박해는 한국 교회사상 가장 혹독
했던 박해로 기록된다. 울산 장대벌에서 처형된 순교자들은 소위 군문 효수(軍門梟
首)의 형에 처해졌는데, 이는 처형된 이들의 목을 죽어서도 장대 위에 매달아 두는
대단히 가혹한 처형 방법이었다. 박해 당시 이곳에는 좌도 병마 절도사가 있었고
장대(將臺)마당이 있었다. 그래서 이곳은 군인들의 주둔지로서 군사 훈련뿐 아니라
중죄인을 처형하는 장소로도 쓰였다. 1860년 경신박해와 병인박해 중인 1868년,
두 처례의 큰 박해 때 수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이곳에서 순교했다. 경신박해 때는
백지사형으로 순교한 오치문, 병인박해 때에는 경주 감옥에 갇혔던 허인백, 김종륜,
이양등 회장 등이 이곳에서 군문 효수를 당했다. 언양 사람으로 해주(海州) 오(吳)
씨 명문가의 자손인 오치문은 1801년 이곳 언양에 귀양 온 강이문에 의해 이 지방
에서는 처음으로 교인이 된 것으로 전해진다. 학자이면서도 벼슬길에 나서지 않고
외교인과도 별로 가까이하지 않던 그는 오로지 산골에서 숯을 굽는 교우들과 깊은
교분을 가지며 신앙 생활에 충실하다가 1860년 체포되어 울산 장대벌에서 백지
사형으로 순교했다. 허인백(야고보)은 김해 출신으로 언양 간월로 이주해 살다가
경신박해 때 체포되었으나 풀려 난 바 있다. 그 후 1868년 병인박해 때 간월보다
더 깊은 산중의 대재 공소로 숨어들었다. 그곳에서 그는 충청도 공주에서 박해를
피해 온 김종률(루가)과 대재 공소 회장이던 이양등(베드로)의 가족들을 만난다.
이 세 가족은 안전한 피난처를 물색하다가 범굴을 찾고 이곳에 가족들을 피신시켰다. 이들은 목기(木器)를 만들어 팔고 부락으로 내려가 밥을 빌어 오는 등 어려운
생활을 했으나 밤마다 가족들이 둘러앉아 기도를 드리는 등 열심한 신앙 생활을
했다. 하지만 포졸들은 이 깊은 산중에까지 들이닥쳐 결국 이들은 경주로 끌려간다.
이 즈음은 오페르트의 남연군묘 도굴사건으로 대원군이 크게 노해 매우 혹독한
박해령을 내렸기 때문에 포졸들은 혈안이되어 산 속 깊은 곳까지 신자들을 찾아
샅샅이 뒤지고 다녔던 때인다. 경주에서 가혹한 형벌과 신문을 받던 이들은 다시
2개월 후 울산으로 이송되어 문초를 받다가 마침내 1868년 8월 14일 이곳울산
장대벌에서 순교했다. 순교자들의 유해는 허인백의 부인이 수습해 사형장 근처에
가매장했다가 신앙의 자유가 허용되어 교인들의 장례가 가능해지자 연고가 있는
경주시 산내면 진목정안산에 합장된다. 그러다가 1932년 허인백의 손자 허명선과
김종률의 손자 김명옥에 의해 대구 월배동 감천리 천주교회 묘지로 다시 옮겨졌다.
1962년에는 대구 가톨릭청년회 주선으로 월배 묘지 내 성모상 앞의 석함 속에 안장
됐다가 또다시 1973년 대구 복자 성당(병인박해 100주년 기념성당)으로 이장됐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가톨릭출판사, 1996]
첫댓글 성지순례의 내용을 자세히 올려주시어 고마움을 전합니다. 작가로 등단 하심이 좋을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