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010. 5. 19. 18:11
■ 나홀로 제51차 능원묘 답사
◌답사지 : 충남 논산/공주 권역 묘지
◌일 시 : 2010.05.16(일) 08:30 ~19:00
▲김종서장군 묘역 입구의 신도비 모습. 최근에 건립한 신도비라고 하지만 귀부(받침돌)가 두꺼비로 만들어
져 있습니다. 어떤 분의 자료를 보니 관리인의 말로는 "마을 입구의 지형이 풍수지리학상 지내의 형상을
하고 있는데 지내와 거북이는 서로 상극이어서 부득이 비석의 받침돌을 거북이가 아닌 두꺼비의 형상으
로 만들었다"고 하는군요.
▲김종서장군묘역 전경. 구 묘비 이외의 대부분 석물은 최근에 조성한 듯...
▲김종서장군 묘역 뒤에서 바라 본 모습
▲이덕사·이태연 묘역전경. 앞단의 묘역이 매우 특이하다. 기존 묘를 납골묘로 하면서 기존의 상석을 둘렀
습니다.
▲이태연선생의 봉분앞에서 내려다 본 납골묘전경. 앞에 보이는 신도비가 이덕사선생 신도비입니다.
▲이태연선생(이덕사의 아들) 묘역전경. 상석전면 각자가 특이하게 뉘어져 있다.
▲이태연선생 묘역(앞)에서 이덕사선생 묘역(뒤) 좌우로는 망주석들이 도열하여 있고...
▲측면에서 바라본 이덕사(李德泗: 송시열의 장인) 선생의 묘역전경
▲김국광(金國光)선생묘역전경(김장생의 5대조로 성종 1년에 좌의정을 지냈다.
▲김국광(金國光)선생 묘
▲묘역 입구에 위치한 김국광선생의 재실(모원재-충남 문화재자료 308호)
▲소재지 : 충남 논산시 벌곡면 양산리 35-3번지
본 사진의 상단봉분이 김집선생 묘이고, 하단봉분은 율곡선생의 서녀인 측실 덕수이씨 묘이다.
▲김집선생 묘역의 후경, 묘역이 상당히 높은 곳에 조성되어있다.
▲묘역 하단에 부도가 보여서 내려가 보니 고운사(孤雲寺) 절터였다.
▲부도와 받침돌이 흩어져 있다.
▲계백장군 유적 전승지 전경
▲계백장군 묘역 전경
▲계백장군 묘역 뒤에서 내려다 본 모습. 사람을 보면 봉분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사계(沙溪) 김장생선생(상단 묘역) 묘역군. 묘역 하단에 어느 가족들의 야외모임을 나온 듯...
▲김계휘선생(김장생의 父)의 신도비 모습. 이수(머릿돌)가 멋있다.
▲측면에서 바라본 신도비 모습. 오늘 답사는 광산 김씨 묘역 순례 같았다.
▲성삼문선생 묘역 전경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월암리에 있는 영규대사(靈圭大師) 묘역-뒤에서 내려다 본 모습.
▲윤원거선생 묘역전경. 상단에는 본처와 합장. 하단은 계배 두 분으로 품자형이다.
▲윤증(윤선거의 아들) 선생묘역. 찾지 못하고 포기하려다가 풍수하시는 닐리리아님 덕분에...
사진보낸이 : 나홀로 테마 여행 운영자 " kryi2@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