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쇠약은 정신노동자에게 잘 생기는 질병으로 쉽게 흥분하고 몸이 늘 피곤하며 머리가 아프고 잠을 잘 자지 못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신경쇠약증 환자에게는 대개 여러 가지 정신 증상과 신체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는데 그 증상은 대략 다음과 같다.
첫째는 쉽게 화를 낸다. 사소한 일로 몹시 슬퍼하고 눈물을 흘린다.
별일도 아닌 일로 고민하고 늘 긴장하고 흥분하며 과거에 어려웠던 일을 회상하며 슬퍼하다가 기뻐하다가 한다.
잠들기가 어렵고 깊이 잠들지 못하며 꿈에 시달리다가 놀라서 깨어나곤 한다. 머리 부분의 근육이 당기고 온몸 근육이 아프고 사지가 뻣뻣해지곤 한다.
둘째는 병이 깊어지면서 체력이 달리고 힘이 없어진다.
모든 일에 의욕이 없고 늘 피곤해서 졸리며 깊이 잠들지 못하고 깨어난 뒤에도 개운치가 않다.
주의력이 산만해지고 기억력이 없어져서 금방 들은 것도 잊어버린다.
셋째는 정신이 흐리멍텅해지고 땀을 많이 흘리며 얼굴이 붉어지고 손발이 싸늘해진다. 밥맛이 없고 소화가 잘 안 되며 변비·설사가 생기고 헛배가 부르다.
남자일 때는 음위·유정·조루가 나타나고 여자일 때에는 생리불순이 나타난다.
넷째는 늘 초조하고 불안하여 고민이 많아진다.
가슴이 뛰고 맥박이 빨라 심장병인가 여겨지기도 하고, 위장 기능이 나빠져서 위암에 걸린 것이 아닌가 여겨지기도 한다. 신경쇠약은 지나친 긴장과 고민 등이 주요 원인으로 정신 노동자에게 나타나기 쉽다.
또는 가정 불화를 많이 겪거나 심한 좌절과 처절한 슬픔을 겪었을 때, 여러 사람에게 몹시 시달릴 때 등에 걸리기 쉽다.
이 같은 신경쇠약에 특효를 볼 수 있는 약초가 산해박이다.
산해박은 박주가리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우리 나라 어디에서나 흔하게 자란다.
대개 야산이나 풀밭 같은 데서 볼 수 있는데 한자로는 서장경(徐長卿), 토세신(土細辛), 천운죽(天雲竹) 등으로 쓴다.
키는 60센티미터쯤 자라고 잎은 마주 나는데 피침 꼴로 끝이 뾰족하고 뜯어보면 흰 즙이 나온다. 굵은 수염뿌리가 달렸는데 이 뿌리를 그늘에서 말려 약으로 쓴다.
꽃은 6∼7월에 엷은 보랏빛으로 피고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산해박은 마음을 안정시키고 통증을 멎게 하는 작용이 강하여 신경쇠약을 치료하는 데 기초가 되는 약초이다.
뿌리·줄기·잎에 정유, 향기가 강한 쿠마린, 알칼로이드 등이 들어 있고, 뿌리에 1퍼센트쯤의 페오놀 성분이 들어 있다.
신경쇠약에는 산해박 뿌리·줄기·잎 등을 그늘에서 말려 가루 내어 한번에 10∼15그램씩 하루 2번 먹거나,
가루 낸 것은 꿀로 개어 5그램쯤 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2개씩 하루 2번 먹는다. 대개 40∼60일쯤 복용하면 치유된다.
신경쇠약증에 불가사의하다고 할 만큼 효과가 좋은 약초가 산해박이다.
산해박은 이 밖에 류머티스성 관절염, 몸이 붓는 데, 이가 아픈데,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안 되며 가스가 찬 데, 생리통, 요통, 신경통 등에도 쓴다. 날로 생즙을 내어 습진, 타박상, 피부염에 발라도 효과가 있다.
달여서 먹을 때 너무 오래 달이면 정유 성분이 날아가 버리므로 20분 이상 달이지 않는 것이 좋다.
또, 몸이 너무 허약한 사람이 복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명현 반응이 몹시 심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산해박을 이렇게 적고 있다.
"별선종(別仙踪), 산해박, 귀독우(鬼督郵)이다.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산해박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과 들에서 자란다. 가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심경, 간경, 위경에 작용한다. 풍습을 없애고 통증을 멈추며 혈을 잘 돌게 하고 해독하며 소변을 잘 누게 한다. 진정작용, 진통작용, 강압작용 등이 밝혀졌다.
멀미가 나는 데, 신경쇠약, 복통, 관절통, 치통, 타박상, 두드러기, 습진, 이질, 부종, 사교창 등에 쓴다. 하루 6~12그램을 달이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이거나 즙을 짜서 바른다."
산해박에 대해서 <중약대사전>에서는 방대한 자료가 있는데 몇가지 요점만 간추리면 아래와 같다.
" 여름에 줄기와 뿌리를 함께 파내어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냄새는 향기롭고 맛은 약간 맵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진통하고 해수를 멎게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위통, 치통, 풍습 동통, 월경통, 만성 기관지염, 복수, 수종, 이질, 장염, 타박상, 습진, 담마진, 독사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하루 4~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한 환을 만들어 먹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시 짓찧어 붙이거나 달이 물로 씻는다.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주의해서 복용해야 한다.
[처방예]
1, 악성악질, 특히 결핵증에 의한 흉통과 고민끝에 기절하여 죽을 듯한 증상의 치료 귀독우분(서장경 분말) 37.5그램, 안식향 37.5그램(술에 담가 부드럽게 갈아 찌꺼기를 버리고 약한 불에 달여서 고로 한것)으로 오동씨 크기의 환으로 만든다. 수시로 식초 끓인물로 한 번에 10알씩 복용한다.
2, 요통, 위한기통, 간경변에 의한 복수의 치료 서장경 8~15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3, 복부 팽만의 치료 서장경 3돈을 달여 반 사발로 만들어 따뜻할 때 복용한다.
4, 치통의 치료 말린 서장경 20그램을 깨끗이 씻어 물 1,500밀리리터를 넣고 달여 500밀리리터로 바짝 졸인다. 또는 뿌리로 가루약을 만든다. 통증이 있을 때 먼저 약물로 1~2분 입을 헹군 다음 30밀리리터의 달인물을 복용한다. 가루약을 복용할 경우에는 한 번에 0.4~3.75그램씩 1일 2회 복용한다.
5, 풍습통의 치료 서장경 30~37.5그램, 저정육 150그램, 노주 75그램에 적당히 물을 넣고 반 사발이 되게 달여 1일 2회 복용한다.
7, 이질, 장염의 치료 이지초(산해박) 3.75~7.5그램을 달여서 하루 1첩 복용한다.
8, 정신분열의 치료
서장경 18.75그램을 물에 담가서 차 대신 복용한다.
9, 피부 가려움증의 치료 적당량의 서장경 달인 물로 씻는다.
10, 대상포진, 접촉성 피부염, 완고성 담마진, 우피선의 치료 서장경7.5~15그램을 달여서 내복하고 더불어 환부를 씻는다.
11, 타박상에 의한 종통의 치료와 접골 신선한 서장경 적당량을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임상보고]
1, 만성 기관지염의 치료 서장경 37.5그램을 탕제나 정제로 만들어 두 번에 나누어 복용하고 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하였다. 54례의 치료에서 유효가 41례, 무효 13례였다. 일정한 소염, 거담, 지해, 천식 억제 작용이 있다. 단순형의 증상에 대한 효과는 비교적 양호했고 천식형에 대하여는 효과가 다소 떨어졌다. 어성초를 가하여 쓰면 치료 효과가 향상되었다. 일부 병례에서 복용 후 입과 목 안이 마르는 등 부작용이 있었다.
2, 진통의 처방 서장경 100퍼센트 주사액을 만들어 1회 2~4밀리리터를 근육 주사하였다. 주사하고 보통 5~10분 후부터 진통 작용이 나타났고 2시간 가량 지속되었다. 장염, 담도회충증, 궤양병, 장회충증, 담낭염, 담석증, 담관 수술 후의 증후군 등으로 일어난 급성 복통을 치료한 47례 중 유효 35례, 무효 12례였다. 그밖에 혈위 주사에 의해 풍습성 동통을 치료할 수 있었다.
3, 피부병의 치료 습진, 담마진, 접촉성 피부염 및 완선등에 모두 효과가 있다. 36례를 치료한 결과 치유 24례, 현효 8례, 무효 4례였다.
용법 서장경을 매회 7.5~15그램씩 달여서 복용한다. 또 환부를 씻어도 좋다. 또는 주사액, 팅크제 등을 만들어 응용할 수 있다. 이밖에 서장경을 내복하거나 외용하여 독사에 물린 상처, 대상포진을 치료할 수 있다. 금작근을 배합하여 만든 100퍼센트 주사액을 근육 주사하여 베체트 병 1례를 시험 치료한 결과 상당한 효과가 있었다."
산해박은 줄기가 곧게서고 잎이나 줄기도 가늘어 여위어 보인다. 뿌리도 캐어 보면 그다지 많지 않다. 발견하기도 쉽지 않아 특별히 필요한 분에게만 소량을 예약 주문받아 채취할 수 있다.
신경쇠약은 정신노동자에게 잘 생기는 질병으로 쉽게 흥분하고 몸이 늘 피곤하며 머리가 아프고 잠을 잘 자지 못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신경쇠약증 환자에게는 대개 여러 가지 정신 증상과 신체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는데 그 증상은 대략 다음과 같다.
첫째는 쉽게 화를 낸다. 사소한 일로 몹시 슬퍼하고 눈물을 흘린다.
별일도 아닌 일로 고민하고 늘 긴장하고 흥분하며 과거에 어려웠던 일을 회상하며 슬퍼하다가 기뻐하다가 한다.
잠들기가 어렵고 깊이 잠들지 못하며 꿈에 시달리다가 놀라서 깨어나곤 한다. 머리 부분의 근육이 당기고 온몸 근육이 아프고 사지가 뻣뻣해지곤 한다.
둘째는 병이 깊어지면서 체력이 달리고 힘이 없어진다.
모든 일에 의욕이 없고 늘 피곤해서 졸리며 깊이 잠들지 못하고 깨어난 뒤에도 개운치가 않다.
주의력이 산만해지고 기억력이 없어져서 금방 들은 것도 잊어버린다.
셋째는 정신이 흐리멍텅해지고 땀을 많이 흘리며 얼굴이 붉어지고 손발이 싸늘해진다. 밥맛이 없고 소화가 잘 안 되며 변비·설사가 생기고 헛배가 부르다.
남자일 때는 음위·유정·조루가 나타나고 여자일 때에는 생리불순이 나타난다.
넷째는 늘 초조하고 불안하여 고민이 많아진다.
가슴이 뛰고 맥박이 빨라 심장병인가 여겨지기도 하고, 위장 기능이 나빠져서 위암에 걸린 것이 아닌가 여겨지기도 한다. 신경쇠약은 지나친 긴장과 고민 등이 주요 원인으로 정신 노동자에게 나타나기 쉽다.
또는 가정 불화를 많이 겪거나 심한 좌절과 처절한 슬픔을 겪었을 때, 여러 사람에게 몹시 시달릴 때 등에 걸리기 쉽다.
이 같은 신경쇠약에 특효를 볼 수 있는 약초가 산해박이다.
산해박은 박주가리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우리 나라 어디에서나 흔하게 자란다.
대개 야산이나 풀밭 같은 데서 볼 수 있는데 한자로는 서장경(徐長卿), 토세신(土細辛), 천운죽(天雲竹) 등으로 쓴다.
키는 60센티미터쯤 자라고 잎은 마주 나는데 피침 꼴로 끝이 뾰족하고 뜯어보면 흰 즙이 나온다. 굵은 수염뿌리가 달렸는데 이 뿌리를 그늘에서 말려 약으로 쓴다.
꽃은 6∼7월에 엷은 보랏빛으로 피고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산해박은 마음을 안정시키고 통증을 멎게 하는 작용이 강하여 신경쇠약을 치료하는 데 기초가 되는 약초이다.
뿌리·줄기·잎에 정유, 향기가 강한 쿠마린, 알칼로이드 등이 들어 있고, 뿌리에 1퍼센트쯤의 페오놀 성분이 들어 있다.
신경쇠약에는 산해박 뿌리·줄기·잎 등을 그늘에서 말려 가루 내어 한번에 10∼15그램씩 하루 2번 먹거나,
가루 낸 것은 꿀로 개어 5그램쯤 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2개씩 하루 2번 먹는다. 대개 40∼60일쯤 복용하면 치유된다.
신경쇠약증에 불가사의하다고 할 만큼 효과가 좋은 약초가 산해박이다.
산해박은 이 밖에 류머티스성 관절염, 몸이 붓는 데, 이가 아픈데,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안 되며 가스가 찬 데, 생리통, 요통, 신경통 등에도 쓴다. 날로 생즙을 내어 습진, 타박상, 피부염에 발라도 효과가 있다.
달여서 먹을 때 너무 오래 달이면 정유 성분이 날아가 버리므로 20분 이상 달이지 않는 것이 좋다.
또, 몸이 너무 허약한 사람이 복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명현 반응이 몹시 심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산해박을 이렇게 적고 있다.
"별선종(別仙踪), 산해박, 귀독우(鬼督郵)이다.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산해박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과 들에서 자란다. 가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심경, 간경, 위경에 작용한다. 풍습을 없애고 통증을 멈추며 혈을 잘 돌게 하고 해독하며 소변을 잘 누게 한다. 진정작용, 진통작용, 강압작용 등이 밝혀졌다.
멀미가 나는 데, 신경쇠약, 복통, 관절통, 치통, 타박상, 두드러기, 습진, 이질, 부종, 사교창 등에 쓴다. 하루 6~12그램을 달이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이거나 즙을 짜서 바른다."
산해박에 대해서 <중약대사전>에서는 방대한 자료가 있는데 몇가지 요점만 간추리면 아래와 같다.
" 여름에 줄기와 뿌리를 함께 파내어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냄새는 향기롭고 맛은 약간 맵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진통하고 해수를 멎게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위통, 치통, 풍습 동통, 월경통, 만성 기관지염, 복수, 수종, 이질, 장염, 타박상, 습진, 담마진, 독사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하루 4~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한 환을 만들어 먹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시 짓찧어 붙이거나 달이 물로 씻는다.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주의해서 복용해야 한다.
[처방예]
1, 악성악질, 특히 결핵증에 의한 흉통과 고민끝에 기절하여 죽을 듯한 증상의 치료 귀독우분(서장경 분말) 37.5그램, 안식향 37.5그램(술에 담가 부드럽게 갈아 찌꺼기를 버리고 약한 불에 달여서 고로 한것)으로 오동씨 크기의 환으로 만든다. 수시로 식초 끓인물로 한 번에 10알씩 복용한다.
2, 요통, 위한기통, 간경변에 의한 복수의 치료 서장경 8~15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3, 복부 팽만의 치료 서장경 3돈을 달여 반 사발로 만들어 따뜻할 때 복용한다.
4, 치통의 치료 말린 서장경 20그램을 깨끗이 씻어 물 1,500밀리리터를 넣고 달여 500밀리리터로 바짝 졸인다. 또는 뿌리로 가루약을 만든다. 통증이 있을 때 먼저 약물로 1~2분 입을 헹군 다음 30밀리리터의 달인물을 복용한다. 가루약을 복용할 경우에는 한 번에 0.4~3.75그램씩 1일 2회 복용한다.
5, 풍습통의 치료 서장경 30~37.5그램, 저정육 150그램, 노주 75그램에 적당히 물을 넣고 반 사발이 되게 달여 1일 2회 복용한다.
7, 이질, 장염의 치료 이지초(산해박) 3.75~7.5그램을 달여서 하루 1첩 복용한다.
8, 정신분열의 치료
서장경 18.75그램을 물에 담가서 차 대신 복용한다.
9, 피부 가려움증의 치료 적당량의 서장경 달인 물로 씻는다.
10, 대상포진, 접촉성 피부염, 완고성 담마진, 우피선의 치료 서장경7.5~15그램을 달여서 내복하고 더불어 환부를 씻는다.
11, 타박상에 의한 종통의 치료와 접골 신선한 서장경 적당량을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임상보고]
1, 만성 기관지염의 치료 서장경 37.5그램을 탕제나 정제로 만들어 두 번에 나누어 복용하고 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하였다. 54례의 치료에서 유효가 41례, 무효 13례였다. 일정한 소염, 거담, 지해, 천식 억제 작용이 있다. 단순형의 증상에 대한 효과는 비교적 양호했고 천식형에 대하여는 효과가 다소 떨어졌다. 어성초를 가하여 쓰면 치료 효과가 향상되었다. 일부 병례에서 복용 후 입과 목 안이 마르는 등 부작용이 있었다.
2, 진통의 처방 서장경 100퍼센트 주사액을 만들어 1회 2~4밀리리터를 근육 주사하였다. 주사하고 보통 5~10분 후부터 진통 작용이 나타났고 2시간 가량 지속되었다. 장염, 담도회충증, 궤양병, 장회충증, 담낭염, 담석증, 담관 수술 후의 증후군 등으로 일어난 급성 복통을 치료한 47례 중 유효 35례, 무효 12례였다. 그밖에 혈위 주사에 의해 풍습성 동통을 치료할 수 있었다.
3, 피부병의 치료 습진, 담마진, 접촉성 피부염 및 완선등에 모두 효과가 있다. 36례를 치료한 결과 치유 24례, 현효 8례, 무효 4례였다.
용법 서장경을 매회 7.5~15그램씩 달여서 복용한다. 또 환부를 씻어도 좋다. 또는 주사액, 팅크제 등을 만들어 응용할 수 있다. 이밖에 서장경을 내복하거나 외용하여 독사에 물린 상처, 대상포진을 치료할 수 있다. 금작근을 배합하여 만든 100퍼센트 주사액을 근육 주사하여 베체트 병 1례를 시험 치료한 결과 상당한 효과가 있었다."
산해박은 줄기가 곧게서고 잎이나 줄기도 가늘어 여위어 보인다. 뿌리도 캐어 보면 그다지 많지 않다. 발견하기도 쉽지 않아 특별히 필요한 분에게만 소량을 예약 주문받아 채취할 수 있다.
첫댓글 약성이 아주 좋은 산해박,,,, 효능이 어마어마 하네요,,잘 보았습니다. 금이님^^*
네 리사님 ^*~
역시 자연에서 얻는것이 제일인것 같습니다.
좋은정보 감사해요많이 배워야겠네요
신경쇠약은 정신노동자에게 잘 생기는 질병으로 쉽게 흥분하고 몸이 늘 피곤하며 머리가 아프고 잠을 잘 자지 못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에고 전디유...아무리 피곤해도 새벽3~4시 되어야 억지로 라도 잠을 청할수 있는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에고 지가 묵어야 되는 거네요... 증상이 딱입니다,-.-
좋은 정보 잘보구 갑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 합니다
잠시 들렀다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