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중심으로 해서 부모님은 1촌 형제는 2촌 그래서 부모님의 형제는 3촌이고! 3촌의 자녀는 4촌이 되는 것이지요^^♡ 그리고 외가쪽 사촌은 이모쪽이라서 이종사촌! 친가쪽 사촌은 고모쪽이라서 고종사촌! 이렇게 되는 것 같습니다^^♡
나를 중심으로 원가족
호칭-관계 아버지-나를 낳아주신분 어머니-나를 낳아주신분 할아버지-아버지의 아버지 할머니-아버지의 어머니 증조 할아버지-할아버지의 아버지 증조 할머니-할아버지의 어머니 고조 할아버지-증조할아버지의 아버지 고조 할머니-증조할아버지의 어머니 남편-지애비,아비 아내-지어미, 자기부인 아들-내가 낳은 사내아이 며느리-아들의 아내 딸-내가 낳은 여자아이 사위-딸의 남편 형-손위 형제 아우-손아래 동생 제수-아우의 아내 누이-손위 남매 자형-누이의 남편 누이동생-손아래 자매 매제-누이동생의 남편
친가쪽(고종)
호칭-관계 큰 아버지-아버지의 큰형 큰 어머니-아버지의 형수 작은 아버지-아버지의 동생 작은 어머니-아버지의 제수 당숙-아버지의 사촌형제 당숙모-아버지 사촌의 부인 재당숙-아버지의 육촌의 형제 재당숙모-아버지 육촌의 부인 종조부-할아버지의 형제 종조모-할아버지의 형수,제수 종형제-아버지의 조카 종수-아버지의 조카며느리 재종형제-당숙의 아들 재종수-당숙의 며느리 조카-형,아우의 아들딸 조카며느리-조카의 아내 당질-사촌의 아들 당질부-사촌아들의 아내 종손-조카의 아들 재종손-육촌의 손자
외가쪽(이종)
호칭-관계 외할아버지-어머니의 아버지 외할머니-어머니의 어머니 외숙-어머니의 남자형제 외숙모-외삼촌의 부인 외사촌-외삼촌의 아들 외종수-외삼촌의 며느리 외당질-외사촌의 아들딸 외당질부-외사촌의 며느리 진외당숙-아버지의 외사
호칭-관계 이모-어머니의 여자형제 이모부-이모의 남편 이종-이모의 아들 이종수-이종의 부인 이질-이종의 아들딸 이질부-이질의 아내
시집간 여자 입장(시댁)
호칭-관계 시아버님-남편의 아버지 시어머님-남편의 어머니 시숙-남편의 형, 시아주버니 동세-남편의 형수 동서-남편형제의 아내 시동생-남편의 아우 시누이-남편의 자매, 아가씨
장가간 남자입장(처가집)
호칭-관계 장인-아내의 아버지 장모-아내의 어머니 처백부-아내의 큰아버지 처백모-아내의 큰어머니 처숙부-아내의 작은아버지 처숙모-아내의 작은어머니 처남-아내의 남자형제 처남댁-처남의 부인 처조카-처남의 아들딸 처조카며느리-처조카의 아내
사돈간 호칭
호칭-관계 사돈-바깥사돈 (아들과 며느리 양가 아버지의 호칭) 사부인-안사돈 (아들과 며느리 양가 어머니의 호칭) 사장-사돈의 아버지 또는 안사돈이 바깥사돈에 대한 존칭 노사장-사돈의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 노사부인-안사돈의 어머니 또는 할머니 사돈도령-안사돈이 사돈의 미혼 아들에 대한 호칭 사돈댁 색시-사돈의 미혼한 딸, 사돈새아씨의 약칭
기타 주요 호칭
관계-호칭 큰아버지-백부(伯父) 작은 아버지-숙부(叔父), 사숙(舍叔) 큰어머니-백모(伯母) 작은 어머니-숙모(叔母), 사숙모(舍叔母) 장인 / 장모-빙장(聘丈) / 빙모(聘母) 누이의 아들-생질(甥姪) 누이의 딸-질녀(姪女) 아버지의 사촌 형제-당숙(堂叔), 종숙(從叔) 6촌형-재종형(再從兄) 조카 며느리-질부(姪婦) 사위-교객(嬌客), 가서(家壻) 맏형-백형(伯兄), 가백(家伯), 사백(舍伯) 형-가형(家兄), 사형(舍兄) 자신의 손자-손자(孫子), 손아(孫兒) 남의 손자-영포(令抱), 영손(令孫) 남의 아내-영부인(令夫人), 영실(令室), 합부인(閤夫人) 자기의 아내-처(妻), 내자(內子), (어른에게) 제댁 친하고 정다운 벗-대형(大兄), 인형(仁兄) 남의 아우 / 맏형-계씨(季氏), 제씨(弟氏) / 백씨(伯氏) 손윗누이의 남편-자형(姉兄), 매형(妹兄), 자부(姉夫) 누이의 딸 / 사위-생질녀(甥姪女) / 생질서(甥姪壻) 남편의 형-시아주버니(媤叔)
출처: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박문각
이렇게 가족호칭을 달달 외우고 있는 사람이 어디 있을까요^^? 외울 수 없다면 간직했다가 펼쳐보는 수 밖에 없잖아요^^♡
필요하시다면 공유가 아주 좋겠지요^^♡ 댓글은 정감있게 해야 진짜 이웃임을 느끼게 되더라구요^^♡